-
-
내 마음 하나 잊지 말자는 것이다 - 만화로 읽는 나혜석
유승하 지음 / 창비 / 2025년 7월
평점 :
“네까짓 계집이 뭘 해?”
만날 기회도 자료도 많지 않아서 익숙한 이름만큼 궁금한 나혜석을 만화로 만나게 될 줄 몰랐다. 기쁘고 반가운 조우다. 창작이란 경이롭다. 멈춘 시간을 포착된 벽화 같은 자료들을 살려 내어, 그 사람을 만나게 한다. 언젠가 영상으로도 만날 수 있으려나 즐거운 상상도 하게 한다.

말간 풍경보다 언제나 노동을 필요로 하는 삶의 풍경을 더 잘 보는 화가 나혜석의 그림들에는, 온갖 노동을 감당해야 했던 여성의 사실적인 노동이 기록되어 있다. 그 시선은 아무 것도 가능하지 않은 오늘에 지지 않고 내일을 보며 똑바로 살아간 사람만이 갖는 힘이다.
“우리는 아무도 살아본 적 없는, 새 시대를 만들어가는 개척자들이니까.”
나혜석과 친우들이 그 시절에 만들고 싶었던 새 시대는 2025년에도 충분히 실현되지 못했다. 육아 출산은 아직도 여성만의 일 인양 정책에서도 인식에서도 차별 받는다. 평등한 노동으로 차려진 평화로운 식사도 귀하기만 하다.
“나는 내 나라를 잃었지만 잃어버린 그 나라에서 여자는 인간 대접을 못 받았어. 다시 나라를 찾는다면 여성들도 평등하면 좋겠구나.”

여성은 아직 평등한 존재가 아니다. 인간으로서 그 존엄을 존중받지 못하고, 소유물로서 친밀한 관계의 남성들에게 맞거나 죽임 당한다. 비난 받는 것으로 “우리의 역사를 채우겠다”는 당시의 결심은, 협박과 비난을 감수하는 오늘의 여성들과 연대한다.
연말을 망친 내란의 밤들, 빛을 밝혀, 광장에 모여, 내란을 막고 탄핵시킨 이들이 있다. 그때 나눈 이야기들은 나혜석이 바라던 세상, “모두가 평등 평화를 누리며 온세상 차별 없이 모든 생명의 귀함을 아는 세상”과 많이 닮았다.
좌절할 이유는 없다. 매일 한 명씩 살해당하는 현실에도, 많은 나혜석들은 여전히 없는 길을 만들어, 한걸음씩 나아간다. 그러니 “제자리로 돌아간다”거나 “회복을 바란다”는 말은 사양이다. 단 한걸음도 뒤로는 이전으로는 가지 않는다. 오직 앞으로 미래로 새롭게 만든 곳으로 계속 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