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뉴스로 출근하는 여자 - 빨래골 여자아이가 동대문 옷가게 알바에서 뉴스룸 앵커가 되기까지
한민용 지음 / 이야기장수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이틀은 현재의 나를 과장하고, 내가 지나온 날들은 축소했다.”

 

역차별이니 하는 억지를 듣고 살아야 하지만, 통계는 한국사회의 평등지수가 얼마나 처참한지 유의미하게 드러낸다. 누가 봐도 그럴듯한 성취와 성공이 누군가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은 아니지만, 워낙 여성의 사회적 활동과 직업유지가 역경과 고난이라서 무조건 응원하고 싶은 기분이 먼저 든다.

 

내가 처음이었다는 사실보다 마지막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나는 더 자랑스럽다.”

 

JTBC 뉴스를 시청하지 않은 지가 오래되어서, 저자의 진행을 동영상으로 찾아 들으며 읽는다. 잘 관리된 외형보다 더 깊고 오래된 이야기를 읽으며 듣는 육성이 좋다. 화면엔 앵커 한민용이, 글에서는 기자 한민용이 더 선명하다. 보도 자료처럼 생생하고 박진감 넘치게 잘 읽히는 멋진 이야기다.

 

죽음을 아파하다 결국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낸 사람도 많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나아가게 하는 건 언제나 그들이었다.”

 

마음껏 실패할 여유가 없었다고 하지만, 실패 횟수가 늘 성장과 비례하는 건 아니다. 어쩌면 저자는 이런저런 실패를 할 이유가 없었을 지도 모르다. 내 기준에서는 놀라운 행동력으로 꿈을 향해 곧게 전진한다. 이리저리 꼬인 내 속을 내가 알기에, “움츠러들지 않는저자의 시간들이 부럽게 빛난다.

 

내 보도는 미약하나마 분명 세상을 바꾸었다. 나만은 그 사실을 알고 있다. 이것은 오래도록 나의 명예가 될 것이다. 나는 명성 없는 명예를 얻었다.”



 

태어나 살다보면, 어릴 적 꿈과는 달리 성취라 할 만한 게 미약하다. 나이와 함께 지혜가 쌓이지도 않고, 그나마 알던 것도 잊어버리고, 체력은 떨어지고, 어떤 노인으로 살 것인가, 어느새 그런 생각이 든다. 반백인 독자의 기준은 낮지만, 그럼에도 보도로 세상을 바꾸었다고 기록하는 한민용은 반짝인다.

 

순산 후 돌아온 그가 보여줄, 세상을 또 바꾸게 될 보도를 고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