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딸이 되려고 몇 생을 넘어 여기에 왔어
이순하 지음 / 이야기장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와 딸’의 서사는 간혹 펼치기 두렵기도 한데. 먼저 읽은 이들의 추천이 독려의 에너지가 된다. 오래 전 분석하고 기억하려하지 않아도 꿈속까지 찾아들던 할머니의 대하서사 같은 삶처럼, 그렇게 문장 따라 출렁이며 듣는 작품이라고.


.....................








연배가 십 수 년 높은 분이긴 하지만, 개인사는 간결 요약된 기록된 역사와 완전히 다르긴 하지만, 이분의 이야기를 만나고 나니, 한국 근현대사에 대해 완전 무지한 기분이다. 삶을 건성으로 살아 모르는 것만 많은 중년이 된 듯하다.


“전쟁은 그들의 영혼을 미라처럼 마르게 했다.”


내용에 기가 막히고, 놀라고, 어리둥절했다가, 속이 턱턱 막히기도 했다. 판소릴 사설 풀 듯 유려하게, 멈출 수 없는 노래처럼 들려주는 이야기들에 입을 턱 벌리고 읽은 듯하다. 정보 없이 본 새 드라마에 홀려 밤샌 기분이랄까.


구전으로 들은 어느 할머니 할아버지 이야기보다 극적이고, 책으로 읽은 어느 개인사보다 격렬하고, 어떤 영화보다 다채롭다. 믿을 수 없이 놀라운 기억력은 물론, 천재가 펼치는 재담 같은 문장들이다. 화들짝 놀라 벙벙해지면서도 팍팍 넘기며 끝까지 다 읽었다. 


“우리의 젊음은 아랫목 이불 속에 덮어둔 갱엿처럼 진득하게 처졌다가도 새치머리 엿가락이 흰엿처럼 실타래를 만들며 나이를 먹어갔다.”


실향민으로 사는 일, 혼인 따위 존중할 맘이 없는 듯 사는 바람둥이의 아내이자 아이들 엄마로 사는 일, 남편 죽고 애들 키우며 살아남는 일, 먼먼 타국에서 제 자식도 생면부지의 사람들도 구원하며 사는 일. 하나 같이 믿을 수 없는 서사들이다. 에세이니 모두 실화일 텐데, 이런 분들이 더 많을 것도 같은데, 그동안  참 시시한 성공담만 회자되었구나 싶다. 


기가 막히는 가족사이자, 탁월한 미시사의 기록이자, 당당하고 간곡한 토로의 문학이다. 엄마 생각에 눈물짓는 그런 연약한 감상과 그리움은 찾아들지 않았다. 출간 전 연재가 왜 폭발적으로 공유되었는지 잘 알듯하다. 


살아 있는 동안은 내내 챙겨 먹어야 살 수 있는 가장 고단한 생의 비밀인 끼니(음식) 이야기들이 다른 이야기와 찰떡처럼 붙어 여러 번 등장한다. 대개가 즐기지 않는 식재료들임에도 허기가 배를 두드리곤 했다.


‘먹고 사는’ 이야기를 너무 강조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는데, 저자가 하는 ‘먹고 사는’ 이야기는 계속 들을 수 있을 듯하다. 에세이 속 이웃들과 친척들도 한 권은 너끈한 자신만의 녹진한 이야기들이 한 보따리는 있을 것 같다. 그분들의 안부가 자꾸 궁금하다.


“띵까 영감은 자기가 하지 않은 일에 대해선 끝까지 당당해야 한다는 것을 아려주었다. 말해야 할 때 말하는 것이 용기임을 배웠다.”


같은 반이었다면 절대 친구가 되지 않았을, 평생 데면데면한 내 어머니와 나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돌아가시기 전 할머니는, 부모는 나이 들수록 자식 그릇을 닮아간다고 하셨는데, 내 깜냥이 늘지를 않아, 관계의 온도가 올라가지 못한다. 어머니와 식사를 해야겠다. 입맛도 전혀 안 맞지만, 세상에 우리 둘이 맛있게 먹을 음식 하나 없을 리는 없을 것이다. 


드라마도 잘 못 챙겨보면서 이런 비교는 좀 민망하지만, 오감으로 느끼는 한국 근현대사 드라마처럼 드라마틱하고 독특하고 심장에 무리가 올 정도로 물러섬 없이 솔직한 놀라운 글입니다. 꼭 재밌게 읽으실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