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 낭만과 상실, 관계의 본질을 향한 신경과학자의 여정
스테파니 카치오포 지음, 김희정 외 옮김 / 생각의힘 / 2022년 10월
평점 :
신경과학과 뇌역학 연구 분야의 권위자가 저자인 책의 제목에 ‘사랑’이라니 엄청나게 궁금하고 염려(?)도 되었다. 이 주제에 대해 총체적이고 완결적인 설명을 한 이는 없기 때문이다. 분석이 불가능한 각양각색의 감정에 인간의 생사가 좌우되는 저항 불가한 매력이자 함정이다.
“‘사랑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불완전하다’는 게 줄 수 있는 가장 후한 점수일 것이다. (...)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과학자라면 그냥 계속해서 양파 껍질을 벗겨 내 볼 수밖에 없다.”
나도 진실로 사랑에 ‘빠진’ 적이 있는지의 여부는 차치하고(?) 즐겁게 책을 펼쳐본다. 고해처럼 솔직히 인정하자면 근래에 신뢰하는 정답지들 중 하나가 뇌과학 분야이다. 따라서 독서 효능에 대한 기대가 아주 높다. ‘사랑’ 자체와 그와 관련된 많은 것들에 대해 배워보리라.
MRI란 기계가 뇌의 단층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면서, 드디어 인류는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를 스캔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사랑에 빠진 자신의 경험을 재료로 이 책을 만들었다. 사랑이 드디어 ‘신경생물학적 현상’이 된 것이다.
차근차근... 정말로 이렇게 하나씩 알아가는 시절이 왔구나, 감동하며 읽었다. 어쨌든 사적인 경험에서 출발하는지라 모두 동의하진 못하지만, 진화와 뇌의 풍경이 이 책 덕분에 이미지들처럼 구체적으로 떠오른다. (실험 내용이 방대하여 구체적인 소개 생략) 결론적으로,
‘사랑’은... 힘이 센 진화의 산물이자 용기의 바탕이자 생존의 무기가 맞다. 과학 인지적인 감동을 느낀다.
“사랑은 자유롭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우리를 가장 행복하게 하는 것은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선호하는 것(“마음으로 진짜 원하는 것”)인 경우가 많다.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이 말했듯 ‘감정에는 이성이 알 수 없는 이유들이 있다.’”
‘쓸모없는 감정은 없다’는 심리학자의 글을 읽었는데, 저자 역시 사랑이 욕망과 같은 뇌의 영역에서의 반응이라는 논문을 언급한다. 즉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 변환된 것, 생존을 위해 진화되고 유전된 본능과 감정의 영역에서 사랑은 욕망보다 추상적인 영역의 발현이라고.
그렇다면, 외로움과 혐오 역시, 같은 메커니즘에서 발생하고 진화하고 유전되는 것들 - ‘혐오 신호aversive signals’ - 이다.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위험한 상황들을 혐오하도록 특정된 능력이다. 두려움도 외로움도 뇌의 판단 기능에 따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신호인 것이다.
“두려움이란 행복과 마찬가지로 우리 뇌 안에서 화학물질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을 막을 수는 없지만 그 일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제나 그렇게 생각할 수는 없다 해도 말이다.”
형언 불가한 참혹한 상황에서도 흐릿한 빛과 미지근한 온기를 찾아서, 이것이 사랑이 아니면 무엇이냐고 위로하던 다정한 시인들의 시를 만난 예전 기억이 떠오른다. ‘사랑’은 생물인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자, 우리는 사랑의 일부이다.
인류가 모든 가용 수단들을 통해 지키고 싶던 믿음에 과학이 힘을 실어준 것이다. 기대 이상의 사고 전환과 큰 위로가 동시에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