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낮의 해변에서 혼자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 33
김현 지음 / 현대문학 / 2021년 3월
평점 :
시가 좋다. 동경한다. 공들여 잘 벼린 것들이 가지는 분위기가 아름답다. 그래서 읽지만 매번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끔은 풀 수 없는 수학공식을 들여다보는 기분이 든다. 읽지 못하는 시, 잠시도 내 것이 되어 주지 않는 세계는 쓸쓸하다.
시를 읽기 전 여타의 정보를 찾아보지 않는다. 새로 만난 시가 주는 느낌이 깨어질까봐. 어차피 오롯이 혼자인 유일한 경험, 원치 않는 색들로 채색될까 경계하는 것이다. 그러다 아무리 애써 봐도 읽혀 주지 않는 시들을 결국 놓아버린 기억이 오래지 않다.
그렇기도 하고, 고집스런 결심이 약해지기도 하고. 뭐든 방법이 있다면 결국엔 시를 잘 읽고 이해하는 쪽을 택하리란 이유를 들어 시인의 에세이를 먼저 읽어 보았다. 작가를 모르고서 작품을 잘 이해하는 일이 가능할 리 없다 하나 에세이 한 편 읽는 것이 얼마나 이해를 높일까도 확신은 없지만 이번에 그렇게 해 보았다.
선입견에 있어서 나는 참 구태의연한가보다. 시인의 에세이가 뜻밖에 뜨겁고 선명하고 강렬해서 그 어조에 놀라고 어색했다. 시인은 잠시 화가 난 게 아니라 분노하고 있다. 그래서 슬프고 그런데 모두 사랑하는 이야기이다 ― ♡. 시집을 넘기는 내 손 끝에서 따끔거리는 불꽃이 빠삭거린다.
“그는 어디에도 머물지 않으며 누구와도 있지 않고 그 자신을 바라보지 않았다. 해변에서는 누구나 남길 것인가 지울 것인가, 선택의 기로에 선다. 해변에서 그런 갈림길에 서보지 않은 사람을 나는 가까이하고 싶지 않다. 가지 않은 길에 관해 후회 없이 인간다운 척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나는 그가 사랑의 기로에 서 있길 바란다. 몰락은 대체로 위대한 창조로 이어진다.”
오래 만나지 못해 더 그리운 친구가 옮겨 살고 있는 제주를 찾아가 어디든 적요하고 아름다운 해변에 앉아 함께 읽으면 좋겠다. 그러지 못해 아쉽다. 대신이라기엔 무례할 지도 모르지만 본 적 없는 동물과 새와 식물과 꽃이 함께인 강주리님의 작품 표지를 한참 보았다.
하나도 반가운 뿔소라가 세 개나 있다. 제주 삼춘들이 바다에서 캐다 준 뿔소라를 꽝꽝 깨부수어 꼬득또득 씹어 먹으라던 다사로운 친구가 더 그리워지고. 그리움은 이기적이라 그 곁에 가서 앉고 싶어 잔병이 들거나 눈물이 날 것 같다 ― ♡.
첫사랑은 그 이후의 모든 사랑은 가사처럼 어쩌다 생각이 나는 게 문제이다. ‘아무 일 없이도’ ‘언젠가 조용해진 연인이 되어’ ‘홀로 걷게 되는’ 날이 오면 ‘소리 없이 흔들리는 나뭇잎’도 나의 불행만을 확인해준다. 이별의 시간마저 달리하는 이별을 하고 ‘비로소 헤어질 준비가 된’ 나는 [뿔소라]를 선물로 내민다. 그때의 뿔소라가 매끈하고 빛난다면 수명이 다했거나 속이 텅 빈 상태일 것이다. 이끼가 끼여 두텁다면 아직 살아 온기가 남은 마음이 거기 있을 것이다 ― ♡.
뭐 잘 뉘우치지 않는다는 것이 자랑은 아닐진대, ‘살리는 것보단 죽이는 게 쉬우니까/사시사철 뜨거운 사람도 아무나 하는 게 아니니까 [자국]’ ‘뿔소라의 내장에는 독이 있다’는 핑계로 빈 공간으로 날뛰던 사랑도 부재를 견디지 못하던 슬픔도 모두 말 못 되는 지껄임이 되어. 상대가 홀연히 경쾌하게 자리를 옮기는 것을 보고서야 남은 할 말에 ‘혼비백산’하게 되어. ‘잘 사시는지, 잘 살고 있는지. 보이시나요, 저의 마음이, 왜 이런 맘으로 살게 되었는지. 보이시나요, 저의 마음이, 왜 이런 맘으로 살게 되었는지 ― ♡.’
네가 보여준 그 날의 바다 풍경이 오고서야 ‘혼자서 해변을 걷노라니 온갖 상념이 반복적으로 밀려왔다 밀려가곤 했다’의 구절을 이어 읽었다. ‘그 여름 해변에서 네가 내 손에 쥐여줬던 조개껍데기에 관해. 사랑할 때만 소중한 것에 대해.’ 인간은 사랑하기 때문에 발견한 사랑할 무언가를 사랑하는 이의 손에 자꾸만 놓아 준다. 오래 전 우리가 물고기였을 때 새였을 때 건네던 선물들을 기억하는 것처럼. ‘쥐여줬던’ 손과 손이 향연처럼 떠올라, 잠시 ― ♡.
(...)
어스름한 저녁에 책상 앞에 앉아 뿔소라에 귀를 대보면
언제 왔는지
어디서 왔는지
네가 어깨에 손을 올리고 묻는다
뭐 해 불도 안 켜고
(...)
큰 꿈을 꾸거나 큰 행복을 바라는 방법을 몰라서 평생 작은 것들만 욕심내며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나도 그렇다. 소확행을 바라는 큰 무리에는 끼지 못해 혼자 행복만을 알아보곤 한다. 언젠가의 내 행복도 ‘도봉로 10길 잔치국수에 담겼’던 적이 있다. 플라스틱이 아닌 그릇에 담긴 그릇에 행복했으니까. 작은 행복의 띄엄한 흔적으로 이어나가는 삶이지만 시인은 ‘큰 시를 쓰기로 한다’ ‘어딘가 복스러운 사람을 보면/무럭무럭 자라서/인류의 등불이 되길/부러워서 부끄럽게/열심히 지켜보았다/해시태그 인생사.’ 나도 바라본다, ‘인류의 등불’이 출현하길, 열심히.
삶은 오늘도 ‘쏟아지지 않’고 슬픔과 더불어 ‘소년은 (...) 순식간에 사라졌다’ [인내의 이유]는 매일 충분하니 ‘맞다. 대체로 삶이 문제다. 끝날 때까진 계속이니까, 계속 밀고 가야 하니까.’ 이제 남은 삶에는 쫒아 올 행복한 사람도 행복도 없을지 모른다. 그래도 ‘이럴 수가 아름다워 보여서/희망적인 사람이기로 했다’
(...)
꺾이지 않는
피를
똑
똑
똑
흘리면서
도망쳤다
(...)
시를 소리 내어 읽으면 잘 울게 된다. 특히나 사랑이 사랑에게 사랑을 사랑하자는 스물 한 편의 시와 한 편의 에세이를 읽는다면. 이 모두를 세 시간에 완독할 수 있다는 네 말 때문에 나는 다시 다사로운 해변에 홀로이다. 움직이지 못하는 발 옆에 뿔소라가 하나, 둘, 셋 있어 주면 좋겠다. 두 귀에 입술에 대어보고 싶으니. ‘우두커니 남의 인생을 재생하다 보면 (...) 똑같이 따라 써보게’ 되면 따라 읽어 보게 되면. ‘그런 게 간혹 시가 되기도 하고. 시가 될 뻔 하기도 하고. 시가 되라고(...) ― ♡.’
...............................................................................
꼭 싸 안고 며칠을 지내 봐도 부화는 없다
그만 품에서 내어 놓을 때
시는
좋고
낯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