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스트들아 이번에는 하루키의 소설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이야. 제목은 넷킹 콜의 노래 ‘South of the border’에서 인용했어. 다 알지?

넷킹 콜이 부르는 노래는 60년대의 멕시코를 말하거든. 에드 시런이 카밀라 카베요와 함께 부른 사우스 오브 보더도 있어, 제목만 같아

넷킹 콜 60년대에 우리나라에 와서 공연한 거 알지? 그때 앨범에 아리랑도 수록하고. 60년대에 한국에 온 재즈의 신들이 좀 있었어. 부비디밥바 하는 루이 암스트롱도 한국에 왔다가 그 앞에서 노래를 기가 막히게 부르는 아이가 너무 잘해서 데리고 미국으로 가서 트레이닝을 시킨 가수가 윤복희잖아

이 소설은 하루키의 몇 안 되는 리얼리티 소설이잖아. 주인공 하지메는 하루키의 모든 소설을 통틀어 가장 지질하고 아내와 가족을 생각하지 않는 무례하고 자기 주관적인 주인공이라는 생각이 들었지

하루키가 가지고 있는 모든 모든 문학적 미문을 사용해서 포장을 해도 하지메는 개츠비의 데이지처럼 개쌍놈임 ㅋㅋ

홍상수 영화에 나오는 지질한 주인공과 다를 바 없게 느껴졌어. 일상이지만 전혀 일상 같지 않고 도처에 잘 볼 수 없는, 일탈을 긁어모아 만든 캐릭터잖아

어떤 사람에게도 꺼내지 못하는 말들, 절대 말해서는 안 되는 터부 같은 마음을 구어를 통해서 배설해버리는 찌질한 인간

아닌 척 자신을 포장하지만 실은 허울뿐이고 그저 자신을 사랑하는 아내에게 변명이나 늘어놓는 그런 사람이 하지메라는 생각이 들었지. 어릴 때 만났던 첫사랑을 잊지 못해 몇십 년을 속에 꿍쳐놓고 있다가 결국 만나서는 아내와 딸을 버리고 살아온 과정을 잊은 채, 아니 과정은 중요하지 않으니 – 과정 속에 있는 사랑하는 나의 아내, 나의 두 짤은 모두 버릴 수 있으니 나는 시마모토 너에게 가겠다,라는 식이야

눈치채는 아내에게 이런저런 꾸며진 말들로, 물론 자신은 진실되게 이야기를 한다고 하지만 아내의 입장에서는 그것이 진실이든 거짓이든 다른 여자를 사랑한다는 말은 듣고 싶지 않을 거야

이 소설은 하루키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적었다고 했잖아. 하루키는 바람의 노래를~, 노르웨이 숲 이후에 자신은 리얼리티 소설과 맞지 않기 때문에 절대 쓰지 않겠노라고 했는데

그만 지질하고 구질구질하고 보잘것없는 하지메의 이야기를 적어 버렸어. 긴 장편을 적는 와중에 빠져 나와 어? 하면서 적어버린 이야기가 이 소설이니까, 마치 하루키도 인간이라 그 당시 지금보다 젊은 하루키는 아내와 단둘이 생활하는 것에 대한 어떤 염증을 느꼈을까? 그런 자신이 싫어서 소설을 빌려 자신을 꾸짖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까

주인공 하지메가 어릴 때 다리를 저는 시마모토의 집에서 레코드로 음악을 틀어. 시마모토의 긴 손가락이 소파에 앉은 그녀의 치마의 격자무늬를 천천히 더듬는 것을 멍하게 보던 하지메와 기묘한 기류가 흐르려고 할 때 난데없이 저 멀리서 넷킹 콜의 ’국경의 남쪽‘이 들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 알 수 없는 나의 위(장)

나는 날 때부터 안 좋은 위를 달고 태어났다. 그래서 조금만 위에 부담이 가게 먹었다면 소화가 안 된다. 소화가 안 되는 게 뭐 대수냐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래서 소화제 하나 마시면 되는 일이잖아,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남다르다.

소화가 안 된다는 게 단순하게 소화만 안 되는 게 아니라 머리도 어지럽고 가슴도 뛰면서 이만저만 고생스러운 게 아니다. 그래서 늘 적당한 수준의 양으로 먹으려고 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예나 지금이나 늘 비슷한 체형과 몸매가 유지되고 있다.

물론 일 년에 360일 정도 조깅을 하는 덕분이기도 하지만 적당히 먹었을 때 숟가락을 놓는다. 그러나 나는 사람인지라 맛있는 음식이 가득 있으면 그 유혹에서 벗어나는 게 참 힘들다. 너무 맛있잖아? 이거? 하는 음식을 먹을 때에는 평소보다 당연하지만 더 먹게 되니까 그때는 밥을 거의 먹지 않는다.

같은 음식이라도 소화가 안 되는 게 있고 소화가 잘 되는 게 있다. 나는 두부를 거의 매일 먹는데 두부를 지지거나 삶아서 먹다가 남아서 다음 날에 먹게 되었을 때 수분기가 날아가서 굳어버린 두부는 소화가 잘 안 된다. 그래서 다음 날 남은 두부를 먹을 때에는 라면이나 국물에 넣어서 팔팔 끓여서 먹는다.

소화가 안 되는 사람은 국물 요리를 먹으면 괜찮지 않냐고 하는데, 다른 사람은 모르겠지만 나 같은 경우는 국물 음식을 먹어도 좀 많이 먹었다 싶으면 소화가 잘 안 된다. 그래서 국물 음식은 거의 해 먹지 않는다. 국물 음식은 적은 양으로 조리하기가 힘들다. 보통 하면, 전골이든, 탕이든, 국이든 3, 4인분을 하게 되는데 뜨겁게 팔팔 끓여서 먹게 되면 평소보다 빨리 많이 먹게 된다.

햄버거도 롯데리아나 맥도널드 햄버거보다 편의점에서 파는 햄버거가 소화가 잘 된다. 전문점 햄버거는 하나를 다 먹게 되면 이상하게 소화가 안 되는데 편의점 햄버거는 소화가 안 되고 하는 게 없다. 나도 왜 그런지 그게 신기하다.

또 신기한 점은. 위가 소화를 못 시키는 대신 약간 상한 음식을 먹어도 배 아픈 게 없다. 요컨대 잡채 같은 경우 상온에서 보관하다 보면 완전 상하기 전에 시어 가는 맛이 나는데 같이 먹던 사람은 배가 아프고 약을 먹고 하는데 나는 그런 게 없다.

좀 맛이 간 음식을 먹게 되면 한 시간 안에 어김없이 신호가 오고 화장실에서 밀어내기를 한다. 그러면 배가 아프거나 그런 게 없다. 그래서 지금까지 배가 아프다거나 장염이라든가, 그런 게 없다. 예전에는 다 같이 횟집에서 회를 먹었는데 나 빼고 전부 병원 신세를 졌다. 그때 약간 상하기 일보 직전의 반찬이 있었는데 다 그걸 집어먹었다.

나는 집으로 와서 시원하게 으샤 밀어내기 한판하고 그것으로 끝났는데 일행들은 전부 병원 신세였다. 그런 것을 보면 나의 위는 이상하긴 참 이상하다. 집에서 음식을 했는데 버리기는 아깝고 먹기에는 상한 맛이 나는 건 지금까지 내가 먹어 치웠다. 나는 괜찮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둥, 하라가 헷타의 고로 상의 고독한 미식가가 극장판으로 2015년에 나온다. 고독한 미식가는 지금 시즌 10을 하고 있는데 다 하면 다시 시즌 1부터 도돌이표로 계속 보여준다. 고독한 미식가에는 게스트로 나오는 유명 배우나 가수를 보는 재미가 있다.

시즌 10에서는 80년대 전설의 아이돌 윙크의 아이다 쇼코가 식당 주인 겸 직원으로 나온다. 당시 코로나 때문에 전부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물 마실 때 마스크를 벗어서 아이다 쇼코가 나왔다는 걸 보여준다.

안도 사쿠라도 시즌 몇 인지 모르겠지만 식당 종업원으로 나오고, 성식영부터 이명세 감독까지 깜짝 게스트로 나오는 배우들을 보는 재미가 있다.

이번 극장판에서는 고로 상이 직접 감독까지 했다. 고로 상의 마츠시게 유타카가 직접 감독까지 하게 된 건, 이 극장판을 봉준호에게 감독을 부탁했었다.

마츠시게가 직접 봉준호 감독에게 영화를 맡아 달라고 부탁을 한 것이다. 하지만 봉 감독은 스케줄 때문에 시간이 도저히 맞지가 않아서 거절을 했다. 그래서 마츠시게가 직접 감독까지 하게 되었다고.

가만 생각해 보면 고독한 미식가는 소파에 앉아서 야금야금 맛있게 음식을 먹어 치우는 고로 상의 모습을 보는 것일 뿐인데 극장에서 여러 사람들이 고로 상의 그 모습만 본다고 생각하면 뭔가 기묘하기까지 하다.

극장판에서는 불란서 파리에서 찍은 모양인데 불란서 요리를 잔뜩 먹을 건가 보다. 고로 상이 이것저것 불란서 요리를 계속 시키고 불란서 식당 직원들이 저 사람 뭐야? 도대체 뭘 얼마나 먹어야 ㅋㅋ

그런 모습을 극장에서 모르는 불특정 다수와 함께 관람한다니. 불란서 유명 배우도 나오려나. 불란서 배우로 유명한 사람이 누가 있지? 소피 마르소가 불란서 사람인가? 소피 마르소가 나오면 좋겠는데.

아 그러고 보니 극장판은 드라마와 달리 로브 스토리가 들어 있다고 한다. 시즌 1인가 메구로 마키가 고로 상의 여친으로 잠깐 나오잖아. 극 중에서 배우로 나오는데 이번 극장판에서 러브러브모드로 이어지려나 아니면 새로운 러브 스토리가 나올까.

고독한 미식가의 고로 상은 얼마나 우리나라가 좋아했던지 2018년에 JTBC 뉴스룸의 앵커 브리핑에서 손석희 앵커가 소개하기도 했다.

고독한 미식가 씨는 언제나 배부르게 잔뜩 먹는데 참 날씬해 얄밉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상을 씹어 먹었던 언니들 TLC 좋아해? 90년대 남자들이 꽉 잡고 절대 놔주지 않었던 힙합의 판도에 와그작 하며 금을 내버린 멋진 언냐들이지

음악적으로 뉴 잭 스윙이나 힙합, 알엔비 같은 용어는 잘 모르니까 그런 건 나에게 묻지 말기 바람 ㅋㅋ 티엘씨의 노래는 듣고 있으면 이렇게, 이렇게 어깨와 머리가 자동으로 움직이잖아

티엘씨의 음악의 장점은 칼군무를 하는 요즘 아이돌의 춤이 아닌 그저 몸이 알아서 움직이면 된다는 거지. 티엘씨의 출발은 묭실이야

그녀들은 왜 남자들만 펑퍼짐한 힙합적인 옷을 입고 노래를 부르냐며 우리도 할 수 있어! 그래서 두 사람이 들어가도 될 법한 큰 티셔츠와 펑퍼짐한 바지를 입고 1집을 들고 나오자마자 세계가 술렁술렁거렸지

악동같은 말괄량이 세 명이 나와서 그저 몸이 가는 대로 춤을 추며 노래를 불렀지. 이 언니들 하면 의상을 빼 놓을 수 없잖아. 이전의 힙합보이들과 다르게 티엘씨는 컬러! 컬러로 보여줄게! 였지. 마치 옷에 미술을 해 놓은 것 마냥 알록달록 파스텔 톤 한 가득이었어

티엘씨는 승승장구해서 악동 같은 이미지에서 아티스트가 되잖아. 그녀들이 발매한 앨범 기록은 내내 깨지지 않다가 후에 데스티니스 차일드에 이르러 깨졌지. 티엘씨는 사실 굉장한 가수, 엄청난 노래를 불렀음에도 흑인이라서 차별을 받았어. 그러나 그녀들은 꿋꿋했지

때는 한일월드컵 준비로 열을 올리고 있던 2002년 4월에 레프트아이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게 되잖아. 충격이 어마어마했지. 거의 10년 가까이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티엘씨가 레프트아이의 죽음으로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했어

그해 한국은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루었고 11월 티엘씨는 레프트아이가 없는 채로 4집을 발표했지. 4집은 생각만큼 세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고 하지만 그 앨범에 있던 ‘노 스쿠버’는 아마 다 들어봤을 정도로 좋았잖아

작년에 예능 혜미리예채파에서 리정이 나는 티엘씨를 좋아한다며(35초) 출연자들에게 티엘씨 노래에 맞춰 몸을 흔드는 걸 가르치데

이 누님들 요즘도 무대에서 열심히 노래를 부르고 있지. 티 보즈 이 누님 후덕해졌지만 뭐 어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지 마이클 좋아해? 조지 마이클은 진짜 조지 마이클처럼 생겼어. 잘 생겼다는 말이지. 너무 멋지게 생긴 거 같아. 웸(이야? 왬이야?) 할 때는 엔드류 리즐리에게 미모를 빼앗겼다고 하지만, 그때에도 소년미를 파고드는 짐승 같은 느낌이? ㅋㅋ

조지 마이클은 웸에서 떨어져 나와 솔로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잖아. 그때에 조지 마이클의 외적 이미지가 탄생한 거 같아.

찢어진 청바지에 가죽재킷에 기타 하나를 둘러매고 춤을 추며 부른 ‘페이스’가 전 세계를 사로잡았잖아. 페이스는 얼굴이 아니라 신뢰, 믿음의 풰이쓰 ㅋ.


조지 마이클의 목소리를 듣는 건 정말 기쁜 일이야. 특히 ‘키싱 어 풀’이나 ‘원 모어 트라이’ 같은 블루스적인 발라드를 부를 때 조지 마이클의 목소리는 천상의 목소리야. 대체 불가능이지.

조지 마이클은 공중 화장실에서 이반이라는 걸 들키고 나서 오히려 자유한 몸이 되었는지도 몰라. 그 뒤로 뭐랄까 노래를 꼭 이야기하듯이 부르는 것처럼 느껴졌거든.

런던 올림픽 폐막식에서도 감미롭고 씩씩하게 노래를 불렀던 조지 마이클은 정말 거짓말처럼 크리스마스에 죽고 말았잖아. 안 그래도 시즌송이 되어 버린 라스트 크리스마스가 이제는 조지 마이클 그 자체가 되어 버린 것 같아.

조지 마이클과 엘튼 존이 함께 부른 ‘돈 렛 더 선 고 다운 온 미’는 언제 들어도 너무너무 좋아. 정말 좋은 거 같애. 1절을 조지 마이클이 부른 다음 신사숙녀 여러분 엘튼 존입니다.라고 소개할 때 개 멋짐 대폭발 ㅋㅋ


아마 조지 마이클의 영화가 나오지 않을까 싶어. 살아있는 엘튼 존의 영화도(엘튼 존 본인이 제작자로 엄청나게 투자를 해서 그런지 재미있었어) 나왔는데 조지 마이클의 영화도 나와야지.

한 간에는 엔드류 리즐리가 조지 마이클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맞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