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 1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구려 3 - 미천왕, 낙랑 축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드디어 기다리던 전쟁이 시작되었다. 역사상 가장 많은 전쟁을 치루고 가장 많은 영토를 가졌지만 기록이라는 것이 변변히 없다 보니 무시당하고 있는 고구려의 역사적 순간의 시작이다. 3권에서 작가님께 내가 작가와의 만남에서 질문을 드렸던 부분의 답이 보이는 듯했다.
내가 작가님께 드렸떤 두가지 질문은 첫째 1. 고구려의 왕 중에서 특히 미천왕으로 시작하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요?

김진명 작가님 답변 : 미천왕은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그리고, 역사적 업적에 비해 너무나 알려지지 않았다. 작가님은 그래서 미천왕과 고구려의 알려지지 않은 많은 역사를 알리고 싶은 병이 재발하신 듯하다. 난 늘 작가님은 이 고질병을 즐기시는 것 처럼 보였다. 어떤 책이든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겠지만 김진명 작가님은 특히 생각하게 하고 한국인의 개념을 심어 주려 하시고 숨겨지고 꾸며진 사실이 아닌 역사의 진실을 알리고 싶어 하시는 것 같다.

 

2. 고구려를 통해서 전하고 싶은 이야기의 맥이 무엇인지요?(사실 즉흥적으로 질문을 적어서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김진명 작가님 : 고구려의 정신 특히 내면적 단결을 이야기 하고 싶다. 작가님 말씀을 듣다보니 고구려의 영토적 특성상 많은 북방 민족과의 전쟁이 모든 왕들의 숙제였지만 그런 환경에서 700년이 넘는 왕조를 지킨 나라다. 신라가 천년이라지만 백제 700년을 빼면 환경상 고구려의 700년은 대단하다는 작가님 말씀이 완전 와 닫는다.

낙랑과 한사군 그토록 일본이 그리고 중국이 외곡을 하고는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우리의 역사인 낙랑을 토벌한 미천왕을 너무 잘 적으놓으셨다. 전쟁상황을 읽으며 이렇게 흥분해 본건 외란종결자 이후로 처음인듯하다. 앞으로 나올 열권의 고구려에서 왕과 그의 신하, 왕자들, 왕비들 왕족들 그들의 적들에 관한 많은 아름답고 용맹하고 슬기로운 지혜들과 역사들을 만날 것을 생각하니 미리 가슴이 뛴다. 앞으로 2년 동안은 늘 두근 거림의 연속의 나날이 될 듯하다.

빨리 4권이 읽고 싶어요. 이 책이 세트로 갖춰지는 날이 빨리 오기를 그때는 나도 고구려에 대해 어느정도 이야기 할 수 있으리라 짐작된다. 아마 아들이 중국에서 돌아오면 삼국지 초한지 보다 더 좋아하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구려 2 - 미천왕, 다가오는 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낙랑에서의 생활이 끝나고 드디어 고구려 땅으로 새로운 역사를 엮어 가는 을불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소 재목부터가 다가오는 전쟁이다. 고구려와 전쟁은 따로 생각 할 수가 없을 정도로 전쟁을 많이 했을 것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번 2권에서는 을불이 평양성으로 입성을 하는 과정이 그려진다. 그 과정중에 사람을 얻고 사람, 시간과 병법을 이용하는 것을 볼 수있다. 작가의 의도처럼 삼국지가 아니어도 고구려에 진정한 브레인이라 할 수있는 창조리가 있었고 다른 나라에 비해 대범하고 지략이 뛰어난 여성도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예나 지금이나 정치에는 뒤에서 도우는 자와 앞서 칼을 휘두르는 자가 다르 다는 것도 볼 수있었다.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말 중에 종손, 종부는 타고 나는 것이다 라는 말도 있듯이 왕재는 하늘에서 내린다고 하는 말도 있다. 어떻게 상부같은 폭군들도 있긴 하지만 어린 시절 홀로 떠돌면서도 왕재로 키워 지는 것을 보면 하늘이 내리긴 했나 보다 싶다. 백성으로 유민으로 살아본 현장경험으로 인해 백성를 진정 섬기는 왕이 되는 을불과 언제가 될지 모르면서 그저 어떤 때를 기다리는 충신들을 보면서 지금도 저런 정치인이 아니 조금 흉내내는 정치인이 있기는 하나 싶기도 하다. 

숙신을 보면서 천추태후시절의 변방유민들과 신라시대의 가야유민과 김유신이 생각나는 것은 역사의 반복이 보이는 듯 해서 인가 보다. 늘 반복되는 전쟁으로 인해 승자와 패자가 생기고 그 중간에 백성들은 피박과 멸시, 가족과 생명도 잃게 되는 비참함을 겪되 되는 것이다. 어쩌다 고구려 시절 그 땅들을 빼앗기고 반도  한쪽으로 밀려 강대국들의 힘겨루기 마지노선이 되었는지 안타까울 뿐이다. 그래도 3편은 낙랑을 축출한다니 엄청 기대된다. 

3권을 천천히 읽고 싶다. 아직 4권이 안 나온 탓이다. 하지만 있는 책을 안 읽을 수도 없지 않나 자 이제 낙랑을 축출하러 떠나 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또 다시 시작된 김진명의 세계속 기행, 나는 늘 그의 책을 읽으면 책인지 현실인지 구별못해 헤메이고 다닌다. 내 정신은 온통 책속의 내용으로 인해 혼자 슬퍼하고 혼자 흥분하고 혼자 아파하며 나만의 세계에 빠진다. 그것을 늘 즐기며 그의 책을 맞이한다.

고구려. 나는 고구려하면 광계토왕과 광할한 대지를 떠 올리곤 그 다으은 별로 생각나는 것이 없다. 왕자들이 싸우다 결국 망한 나라며, 그 많은 땅을 지키지도 못한 안타까운 역사로 생각한다. 한단고기를 읽으면서도 왜 우리는 지금 한반도라는 반도국가로 묶여 버린 것인지 너무나 못난 우리가 안 스럽고 챙피하기도 했다. 작은 섬하나로 싸우고 재대로 주장도 못하는 우리 자신이 부끄럽기 그지없다. 늘 삼국지 정도는 읽어야지 그러면서 아들에게 삼국지 수호지 초한지 같은 책을 사주는 아버지들은 그저 다른 이들이 다 읽은 책이니 읽히는 것인 경우도 많다. 그 속에서 물론 배울 것도 많겠지만 후덕한 유비나 덤직한 장비 관우 조조 모두 배울점들이 많기는 하지만, 우리국민중에 유비나 조조는 알아도 재갈공명은 알아도 창조리가 누구인지 어떤 인물인지 아는 이는 별로 없을 것이라 본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고 나서 이런 인물도 있었구나 그리고, 왕의 업적에는 많은 신하들이 함께 했으며 그들 또한 우리의 조상들이며 고구려 시절부터 우리 조상들은 다른 민족의 많은 침략과 약탈을 당해 왔음을 그러면서도 아직 제대로 된 자주를 못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는 시간이었다.

을불이 왜 도망자가 되어야 했으며 어떤 목표를 위하여 얼마나 많은 시간과 정성과 두뇌가 모아 져야 하는지도 세삼 느끼며 이젠 삼국지보다 먼저 고구려를 읽고 전략과 지혜를 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 속 인물들을 연구하고 조사하는 사람들도 많아 지리라 믿어 본다. 역사적 지식이 얼마나 많아야 이런 소설을 쓸수가 있을지 여러권의 책들을 보면서 작가님의 노력에도 찬사를 보낸다 이 책이 언제 완간이 될지는 모르지만 자꾸 뒤가 그리워져 참지 못하는 나 자신 때문에 완간후 모두 구입해서 읽을 생각으로 참고 참다 1권을 읽으며 벌써 출간 되지 않은 뒷 날짜만 기다리는 모순을 나는 범하고 있다. 1권은 도망자 신분이지만 2권은 어떻게 진행될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구판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 114 | 1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