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 ㅣ 그림책은 내 친구 38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햇살과나무꾼 옮김, 일론 비클란드 그림 / 논장 / 2014년 6월
평점 :
이 책을 보고는 먼저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3년 전쯤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라는 그림책으로 '로타'를 만난 적이 있어서 오랜만에 재회하는 기분이랄까.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야 워낙 아이들의 세계를 잘 그려내는 작가라고 인정받는 대가니까 내가 뭐라고 중언부언 설명을 보탤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린드그렌의 책을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나태주의 <풀꽃>이나 이창희 시, 백창우 곡의 <꽃은 참 예쁘다> 같은 시와 노래가 떠오른다. 그러니까, '예쁘지 않은 꽃은 없'는데 우리는 그것을 자세히 보거나 오래보지 않아서 예쁘고 사랑스러운 줄을 모른 채 무심히 살고 있고, 린드그렌은 꽃 하나하나의 빛깔과 모양과 향기를 오래오래 보고 자세히 또 보고 마음에 담아서, 그 예쁘고 사랑스러운 모습을 우리 앞에 이렇게 글로 펼쳐놓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린드그렌의 글을 읽고 그제서야 "아! 그래! 어릴 때 우리도 이랬고, 우리 아이들도 이렇지!"하고 그 사랑스러운 유년의 시기를 돌아보며 감탄을 하게 되는 거다. 그리고 린드그렌의 책을 읽으면 언제나 아이들을 향한 린드그렌의 따스한 눈빛을 느끼게 된다. 이 책도 딱 그렇다.
'뭐든지 다 오빠 언니랑 똑같아지고 싶었'던 5살 로타는 요나스 오빠와 미아 마리아 언니처럼 '진짜 자전거'를 타고 쌩쌩 바람을 가르며 언덕을 내려오고 싶다. 생일 선물로 '진짜 자전거'를 못 받자 이웃에 사는 베리 아줌마의 창고에서 '진짜 자전거'를 훔치기로 결심한다. 우리집 10살짜리 딸아이는, 비밀 운운하며 자신이 할 수 없음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이 자존심 강한 로타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듯 웃음짓다가 자전거를 훔치려고 마음 먹는 부분에서는 긴장하는 표정을 지었다. 그만큼 린드그렌의 글은 어른들에게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게 할 뿐 아니라 아이들의 마음을 잘 파고드는 것 같다.
이 책의 줄거리를 요약한다는 것도 불필요한 일인 것 같다. '뭐든지 다 오빠 언니랑 똑같아지고 싶은' 로타의 도전과 모험과 역경과 극복의 이야기라고만 설명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린드그렌의 글맛을 느끼지 못한 채 책의 줄거리만 자세히 안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 책은 굳이 그림책으로 나오지 않아도 괜찮았을 거다. 그림작가에게는 미안하지만 그림 없이 글만 읽어도 이야기는 생생하게 전달되니까. 그러나 그림이 있으면 아이들의 책에 대한 호감은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개인적으로 린드그렌의 책이 그림책으로 나오는 것에 대해 굳이 반대하고 싶지는 않다. 단, 원작에 충실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림 부분에서 내가 재미있게 느꼈던 건 같은 또다른 로타 이야기인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라는 그림책을 펼쳐놓고 이 책과 비교해 보았을 때였다.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나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나 모두 한 작가가 그림을 그렸다. '일론 비클란드'라는 작가인데 린드그렌 책 대부분에 그림을 그린 것 같다. (삐삐 시리즈는 일론 비클란드가 아니라 롤프 레티히가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두 그림책이 모두 로타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고, 그림작가가 같은데도 불구하고 그림의 느낌이 참 다르다.<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는 부활절 시기에 일어난 일을 담고 있는데 그림의 분위기가 좀 을씨년스럽다. 모르겠다. 스웨덴은 부활절 즈음까지도 이렇게 겨울같은 풍경이 계속되는지는.. 그에 반해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는 꽃이 만발하고 초록 이파리들이 싱그러운 봄의 기운이 가득 차있다. 로타의 집이 있는 거리 풍경을 예로 들면 이렇다.
위의 그림이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에 나오는 로타네 동네 풍경이고, 아래 그림이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에 나오는 그림이다. 두 그림에 나오는 집들이 비슷해서 어느 집이 로타네 집인지 금세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의 그림이 더 어둡고 칙칙하다.
이웃집 아줌마도 양쪽 책에 다 등장하는데, 그 이웃집 아줌마네 방 풍경도 아주 흡사하다.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에는 베리 아줌마네로 나오고,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에는 베르크 아줌마로 등장한다.
탁자 위에 놓인 전등과 의자, 소파, 소파 위의 쿠션, 바닥에 깔린 카펫, 벽지와 화장대, 화장대 위에 놓인 액자..
모두 똑같다. 텔레비젼과 청소기, 강아지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있지만 말이다.
식탁에 로타네 가족이 모두 모여 식사를 하는 장면이다. 식탁에 테이블보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있지만 가족들이 앉은 위치가 똑같다.
그림의 느낌이 사뭇 다르지만 같은 작가의 그림인 것 맞는 것 같다. 작가의 그림풍이 왜 이렇게 다르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비교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았다. 그림의 톤이 밝고 색도 더 선명하고, 그림이 좀 더 귀여운 느낌이 들어서,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이들이 <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의 그림을 더 선호하지 않을까 싶다. 예쁜 그림이 모두 훌륭한 그림이 아니라는 거, 안다. 하지만 밝고 사랑스러운 로타 이야기와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 풍의 그림은 뭔가 잘 안맞는 느낌이 든다.
얼마 전에 린드그렌의 평전을 읽었다. 고통스러운 십대시절을 보내며 상대적으로 린드그렌은 자신의 유년시절을 더욱 빛나는 보석으로 간직했을 것 같다. 글을 쓴다는 것이 린드그렌에게는 행복했던 유년시절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암튼,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린드그렌에 대해 다시 감탄하며 린드그렌의 책들을 기웃거리고 있다.
사랑스럽고 깜찍한 로타를 <나 이사 갈거야> (논장)과 <말썽꾸러기 로타>(다락방), <난 뭐든지 할 수 있어>(논장)에서 더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