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다에서 만난 사람
이기철 지음 / 좋은날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지울 수 없었던 인상은 이 책이 소설이라기 보다는, 작가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지식과 정보들을 열거하는 틈틈이 소설이라는 형식을 끼워넣었다는 것이었다.
등장인물들의 말투는 거의 똑같았는데 텔레비전에서 볼 수 있는 시사대담프로를 연상시켰다. 작가가 지나칠 정도로 자세하게 풀어놓는 지식과 정보는 경탄할만 하지만, 차라리 그럴 거라면 에세이 쯤으로 방향을 잡았다면 훨씬 좋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소설로서의 힘은 없어 보인다.

현학적인 취향의 설명문을 읽은 듯한 느낌이 더 강하고 간혹 그 설명조차 지루했다. 설명이 지루한 건, 설명 속에서 작가의 생각 - 개성적이고 깊이 있는- 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딘가에서 읽어 본 듯한, 어딘가에서 인용해 오기를 주저하지 않는 설명... 난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줄 작가 개인 특유의 사고의 영역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이 소설은 나름대로 지적이고 현학적인 향기를 짙게 풍기면서도 신파적이다. 그 신파의 냄새는 제니의 결혼 요구에 대해 거절하는 관우의 쪽지에서 극을 이루었다.

시인이기 때문일까? 그래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소설로 감싸 풀어내기에 익숙치 않았던 것일까? 중복의 더운 날씨 때문이었는지, 작가의 박식한 지식의 언어들은 나를 감동시키지 못했고, 현학적인 취향의 문체와 온갖 설명들을 담고 있는 문맥들을 따라가는 일도 썩 달갑지 않았다. 작가는 이 글을 쓰면서 제니, 루디아, 옥치옥, 민관우에 대해서 그들의 얼굴은 물론이고, 손가락 길이와 구두소리, 웃음소리, 치마끄는 소리까지도 그릴 수 있고 들을 수 있게 되었노라고 했다. 그런데 작가에게 그토록 세세한 부분까지도 실감나게 다가오는 그 인물들이 왜 나에겐 흔히 볼 수 있는 길 가의 돌멩이보다도 생명력이 없게 느껴졌을까....

아마도 글 속의 제니나, 민관우, 루디아, 옥치옥보다도 작가 자신의 목소리가 더 컸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작가의 박식과 현학적 취향에 짓눌려 제니도 민관우도 루디아도 옥치옥도 숨을 제대로 쉴 수 없었던 건 아닐까... 작가는 소설 속에서 이런 말을 한다.

< 문학이란 심혼을 불어넣어 주는 특종의 예술인데도 대부분의 독자들은 문학 속에 들어있는 심혼을 만나려 하지 않고 겉에 드러난 이야기의 흐름만 따라간다. 내가 한 줄의 글을 쓰기 위해 다섯날 다섯 밤을 불면으로 새웠어도 독자는 그 한 줄을 불과 오분만에 다 읽는다. 내가 백장의 산문, 천 장의 소설을 쓰는 데 석달이 걸리고 이년이 걸렸다 해도 독자들은 그것을 두 시간 혹은 이틀만에 다 읽어 버린다. 내가 글을 쓰기 위해 열번을 지우고 고친 구절에도 독자들은 거기에 두 번의 눈을 주지 않고, 내가 그 부분을 쓰기 위해 스무 번 생각을 반추한 구절에도 독자들의 눈길은 두 번 이상 머물지 않는다.> 라고..

난 작가의 심혼을 들여다 보지 못하고 이야기의 흐름만 따라가는 얄팍하고 예의 없고 문학적 예리함을 갖추지 못한 독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소설의 가치와 무게가 작가가 얼마나 고민하고 얼마나 긴시간을 들였는지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글쓰는 일의 어려움을 모르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 어려움과 고통을 독자에게 알아달라고 강요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독자는 작가의 심혼을 보지 않으려는 게 아니다. 누구보다도 작가의 심혼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다. 다만 작가의 직접적인 설명이나 강의식으로 전달되는 지식과 정보에 의해서가 아니라 소설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풍부함과 자연스러움은 통해서 작가의 심혼과 만나고 싶을 따름이다. 독자들도 목마른 사람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