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가끔 엄마 아빠를 버리고 싶어 미래아이문고 7
발레리 다이르 지음, 김이정 옮김, 이혜진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부터 섬뜩하다.  아이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엄마’인 나로서는 어째 좀 오금이 저리고 가슴이 뜨끔거린다.  혹시, 우리 아이들도 나를 버리고 싶었던 적이 있는지도 몰라, 하는 의심이 꼬물거린다.  서둘러 이 책 속 엄마 아빠를 만나봐야 할 것 같다.  도대체 어떻게 생겨먹은 부모기에 애가 엄마아빠를 버리고 싶어지게 만드는 거야!!  이 책 속 엄마 아빠의 ‘못 돼먹음’을 빨리 확인해야 ‘적어도 나는 이 정도는 아니야’하고 빨리 안심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내가 했던 나쁜 부모의 상상을 뛰어넘었다.  이 책에 나오는 부모란 작자들은 자기들만의 조용하고 낭만적인 휴가를 보내기 위해 열두 살짜리 딸 릴리를 고속도로 휴게소에 버린다.  이 책이 아무리 먼 나라 프랑스에서 날아왔다지만, 어떻게 이렇게 황당무계한 사건이 벌어질 수 있는 건지. 그 나라에선 이런 일이 “있음직한 일”로 통하는 건지, 그 나라 청소년들이나 어린이들은 자기들이 이런 식으로 버려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는 건지, 이 정도로 지나치게 철딱서니 없는 부모들이 그 나라엔 너무 많아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건지,,, 적어도 난 나 편하자고 아이들을 휴게소에 버릴 생각을 하진 않아... 그래도 아이들은 가끔 엄마인 날 버리고 싶어질까? 머리 속으로 별별 생각이 다 끼어들어왔다.

그런데 부모에게 버림받은 소녀 릴리가 너무 측은해서 마음이 물에 젖은 솜, 그것도 먹물에 젖은 솜처럼 캄캄하고 무거워질 때쯤, 지금까지의 이야기가 릴리가 쓴 소설이었음을 밝혀진다.  뒤통수를 제대로 맞은 거다.  측은했던 릴리가 갑자기 맹랑해 보인다.  그러면서도 “그러면 그렇지..”하는 안도감이 스며든다. 

마치 오르내리는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이 책은 독자를 가지고 논다.  릴리의 소설노트와 현실 사이를 오가면서 가슴 조이다 풀다를 반복하게 한다.  그러나 마지막에 남은 것은 릴리는 너무나 좋은 부모님을 갖고 있으면서 왜 그런 발칙한 상상들을 하는 것일까, 하는 궁금증이다. 안정된 일상의 따분함 때문일까, 아니면 부모의 보호망을 벗어났을 때의 자신의 생존 능력을 가늠해보려 했던 것일까? 

“그리고 노트에 두 사람에 대해 그런 글을 쓴 것에 대해 용서를 구하고 싶었다.  진실이 아닌, 아이 완전한 진실은 아닌, 아무래도 상관없는 쓰레기 같은 글들.
순간, 릴리는 언젠가 자기도 엄마와 아빠의 나이가 되면, 아마도 부모의 삶을 살 것이고, 같거나 거의 비슷한 세상을 물려받고 그들을 이해하게 될 거라는 걸 깨달았다.“ (p.151)

이 문장들이 해답일까?
아무리 좋은 부모와 자녀 사이라도 거기엔 서로 이해하고 소통할 수 없는 벽이 몇 개쯤 존재하는 건지도 모른다.  아이가 우리 나이가 되고 나서야 이해받을 수 있는 무언가가, 끝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을 ‘완전한 진실’ 몇 가지가.  그러니 릴리의 부모처럼 우리 부모들은 모두, 아이들의 사랑하고 소중한 부모임과 동시에 가끔 버리고 싶어지는 부모일 수도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겠구나, 싶다.  그리고 이 불안한 십대를 더 부드럽고 따뜻하고 너그럽게 품고 감싸주어야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