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빠는 1등만 했대요 ㅣ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16
노경실 지음, 김진화 그림 / 시공주니어 / 2008년 7월
평점 :
밖에서는 아무리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며 헤매고 산다고 하더라도, 애들에게는 완벽한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게 부모 마음 아닌가요? 아이에게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을 부모로서의 자존심 지키기나 과시욕, 혹은 열등감의 반작용이라고만 보기에는 그 속엔 뭔가 애틋한 것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하지만 아이들은 항상 1등만 했던 엄마아빠의 화려하고 완벽한(하지만 날조된) 경력 때문에 ‘나는 왜 일 등을 못 하지요? 나는 우리 아빠 아들이 아닌가요?’하며 심각한 고민에 빠지기도 하지요. 이 책은 부모의 그런 속마음과 항상 1등만 하는 엄마아빠의 완벽한 과거경력에 대해 고민하는 아이들의 속마음을 함께 잘 담아냈습니다. 그림도 무척 재미있고 유쾌합니다. 속표지의 그림은 우주의 블랙홀이 열리는 듯, 시공간이 휘어지며 다른 차원으로 통하는 틈이 벌어진 것 같은 그림인데요, 이 책의 주인공인 현호라는 아이가 아빠의 과거를 낱낱이 들여다보고 확인할 수 있는, 부모로서는 무시무시하고 섬뜩한 통로지요.
현호는 받아쓰기도 1등, 여자애들에게 인기도 1등, 먹는 것도 건강도 1등, 독후감 쓰기도 1등에 알통대장이었다는 아빠의 주장이 영 미덥지 않습니다. 현호가 보아온 일상생활 속의 아빠 모습은 양말을 벗으면 냄새가 나고, 줄넘기 백 번도 못 하고 캑캑거리고, 책 읽다가 책 베고 잠들어 버리고, 똥배가 튀어나온 정반대의 모습이니까요. 그래서 현호는 아빠의 과거를 볼 수 있는 타임머신을 만듭니다. 그림책에 나온 타임머신에 필요한 재료들은 저도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만드는 방법이 나와 있지 않아서 좀 아쉽네요. 이 책을 보고 타임머신 만들어 보겠다며 나설 아이들도 있을 것 같군요.
타임머신을 통해 현호는 아빠의 어린시절의 모습이 1등만 했다는 아빠의 주장과는 너무나 다르다는 걸 알게 됩니다. 아빠의 ‘뻥’이 들통이 났으니 아빠는 ‘뻥쟁이’라고 아들에게 비난받게 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더군요. 하지만요, 저도 아이들을 키워봐서 압니다. 아이들은 우리 어른들보다 훨씬 더 너그러운 마음을 가졌답니다. 현호는 아빠의 초라한 어린시절의 모습에 오히려 안도하고 기뻐합니다. ‘나는 우리 아빠 아들, 아빠는 진짜 진짜 우리 아빠! 아빠와 나는 똑! 꼭! 쑤욱! 찰싹! 닮았어요.’하며 기뻐합니다. 아빠와 마주서서 줄넘기를 넘는 아이 그림이 하늘색 배경으로 날아갈 듯 가볍습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며 아빠를 그린 그림에 주목하게 됩니다. 무표정한 얼굴, 후줄근하고 헐렁한 티셔츠 차림이거나 하얀 런닝셔츠에 늘어진 트레이닝 바지 차림, 침대와 합체가 되어 누워있기도 하고 소파에 모로 누워 잠들어 버리는 아빠의 모습이 참 친근하다는 게 오히려 슬퍼집니다. 아마도 아이들이 가장 많이 보는 실제 아빠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아들에겐 영웅이고 싶지만 녹록치 않은 현실과 싸우다보니 힘들고 지친 아빠, 그래서 현실 속의 영웅이 되기 어려워 아들에게 자신의 어린 시절을 화려하게 꾸미는 ‘뻥’의 힘을 빌려서라도 영웅이 되고 싶은 아빠, 그렇게 해서라도 아들이 자극을 받아 열심히 노력해서 현실 속의 영웅으로 자라나기를 희망하는 아빠의 모습에 부모로서 공감되는 부분이 없지 않습니다.
아빠의 ‘뻥’과 그 뻥에 상처받은 현호에 대한 이야기지만 이 책이 보여주는 것은 아들 현호와 아빠의 품 넓은 이해심과 단단한 애정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건강하고 밝은 가족입니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현실 속에선 아이들이 엄마아빠의 과거를 확인해볼 타임머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거겠지요. 아이들이 모를 거라고, 들통 날 염려가 없다고, 아이들을 불안하고 우울하게 만들 위험이 있는 ‘뻥’을 함부로 치며 살지 말라는 게 이 책의 교훈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과거에 뭐든지 1등이었던 아빠는 아쉽게도 아이들에게 존경도, 사랑도 받을 수 없다는 걸 보여주고 있으니까요. 자, 이제 공은 우리 엄마아빠들에게 넘어왔군요. 고민을 좀 해봐야겠습니다. 과거는 폐기처분되었으니 지금, 여기에서 아이들에게 어떤 엄마아빠가 되어야 할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말입니다. 이 책 마지막 장면에서처럼 아이와 손잡고 나가 함께 줄넘기를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살짝 스쳐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