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덴의 악녀
페이 웰던 지음, 김석희 옮김 / 쿠오레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내세우고 있는 페미니즘, 학교 다닐 때 여성학 시간에 배우긴 했지만, 그게 이런 거였던가, 싶게 같은 여자 입장에서도 주인공 루시의 복수에 감정이 이입되어 통쾌할 수 없는 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여성의 참정권이나 교육권, 시민권 등등을 페미니즘의 격류 덕에 얻어냈다는 성과에 대해서야 뭐라 감사의 뜻을 표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감격스러운 일이지만, 그 이후의 페미니즘의 동향은 뭐라 석연치 않은 느낌이 있다.

언젠가 한겨레신문에서 도리스 레싱을 ‘페미니즘 문학의 선구자’라고 소개한 적이 있었다.  스웨덴 한림원이 그녀의 문학을 ‘남녀관계에 관한 20세기적 관점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책’이라고 평했다고 하는데, 정작 도리스 레싱은 페미니즘이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남녀 관계를 과도하게 도식화한다며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규정하는 것을 못마땅해 했다는 내용이 그 기사에 실려 있었던 것 같다. 대학 시절 여성학 교수님도 그런 점을 염려하셨던 건지, 강의 내용 중에 여성운동은 남녀평등이 아니라 남녀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식의 말씀을 하셨던 게 유독 기억에 남아 있다. 

아름다운 연애소설 작가 메리 피셔와 바람을 피우는 잘생기고 능력 있는 남편 보보는 끝내 못생긴 외모를 가진 조강지처 루시를 헌신짝처럼 버린다.  그 때까지 그래도 요리와 청소, 정원돌보기와 육아에 헌신하며 가정을 지킨 루시는 언젠가 남편이 자기에게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모욕과 수모를 참아내는데, 어느 날 보보에게 ‘악녀’라는 이야기를 들은 후부터 손바닥 뒤집듯 사람이 싹 달라져 버린다.  세상이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내가 변한 것이라는 루시의 외침이 이해가 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루시의 복수를 지켜보는 마음이 그리 썩 개운치가 않다. 

루시가 그렇게 독하게 변화해서 보여주는 모습이란 게 고작 메리 피셔 따라하기, 바로 그 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루시의 복수는 점점 더 역겨워지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메리 피셔가 가여워지기 시작한다. 이런 불쾌감은 아마도 앞에서 언급한 도리스 레싱의 ‘너무 과도하게 도식화한 남녀관계’를 설정한 탓이 아닐까. 어쩌면 루시의 복수는 보보나 메리 피셔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외모지상주의와 사회적 편견에 대한 조롱일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메리 피셔 정도의 외모를 갖추지 않으면 받아주지 않는 세상(심지어 가정에서조차도!!!), 너무나 쉽게 무너져 버리는 원칙과 가치들(심지어 판사나 신부까지도!!!), 약자에게 더욱 가혹한 갖가지 규칙과 법률들(여자에게 불리한 이혼법과 배변조절이 불가능한 노인들을 내치는 노인요양원의 규범들), 악녀가 되어야만 자아를 확인받을 수 있을 정도로 여성에게 팍팍한 이 세상을 향해 썩소 한 방 날리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도 소설을 읽고난 뒤끝이 뭐 그리 깔끔하진 않다.  루시처럼 악녀가 되어야 내가 원하는 걸 얻을 수 있고, 사랑에 사로잡히고 양심에 신경쓰다보면 메리 피셔처럼 결국 가진 것도 다 잃게 된다는 이야기 자체가 상쾌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기엔 무리이지 싶다.

그런데 이 책의 묘한 마지막 구절이 또 너무 허탈하다.  솔직히 어렵지 않은데도 읽어내기가 쉽지 않았던 특이한 책이었는데, 마지막 구절로 힘을 쪽 빼놓는다.  결국 내가 읽었던 게 ‘허구 속의 허구’였단 말인가 하는 애매모호한 결말.  어릴 때 책 속 모험 이야기에 빠져서 실컷 재미있게 읽으며 아슬아슬한 절정까지 올라 과연 어떻게 될까 잔뜩 기대하고 있는데, 결국 꿈이었더라 하는 무책임한 결말로 배신감에 떨게 했던 동화가 떠오르는 마지막이었다고나 할까.

패미니즘을 위해서라면 차라리 다른 책을 읽거나 ‘Fried Green Tomatoes'나 ’바그다드 카페‘, ’The Color Purple' 같은 페미니즘 영화를 감상하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지금 같이 살고 있는 남편에게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다거나 아니면 적어도 복수를 상상하고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 책이 어느 정도 대리만족을 느끼게 해줄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