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이 책을 사두고 읽기를 주저했던 건 완전히 나의 착각 때문이었다. 나는 이 책이 꽤 무겁고 진지한 내용일 거라고 생각했고 조용히 집중해서 읽을 시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군사독재에 대항하여 투쟁의 삶을 살다 간 파블로 네루다가 떡하니 제목에 자리 잡고 있지 않은가. 게다가 책을 대충 휙 넘겨보는데 뒷부분에서 살바도르 아옌데라는 이름이 언뜻 눈에 띄었던 것이다. 그럼 그렇지. 쿠바의 카스트로가 선물한 기관총을 손에 들고는 머리가 깨어져 뇌수가 바닥과 벽 여기저기에 흩어진 모습으로 피노체트가 이끄는 쿠데타에 희생되었다던 아옌데와 파블로 네루다가 만났으니, 이 소설 알만 하겠군, 하며 각오를 단단히 하고 읽으리라 마음먹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김병종의 라틴화첩기행>을 읽게 될 입장에 놓이자 어쩐지 남미문학 한 편 정도는 읽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일종의 준비예식 쯤으로 책장에서 빼내어 손에 잡게 된 것이다. 그런데 잔뜩 폼 잡고 앉아 책을 읽던 나는 얼마 안가서 키득키득 웃고 말았다.
방금 바다에서 건져 올린 물고기마냥 소설 속 인물들이 얼마나 싱싱하게 펄떡거리던지, 얼마나 육감적으로 생생하게 다가오던지, 그들이 던지는 말 한마디 한마디가 얼마나 실감나게 내 귓가에서 울리던지, 책 속에 푹 빠져들고 말았다.
고기잡이 일에 정을 못 붙이고 아무런 낙 없이 빈둥거리며 지내던 마리오가 수신인이 네루다 한 사람 뿐인 이슬라 네그라를 담당하는 우편배달부가 된다. 네루다에게 저자 사인과 헌사를 받고 싶다는 욕심으로 첫 번째 월급과 두 번째 월급을 차례로 털어서 네루다의 시집을 산 마리오는 어느 틈에 시에 빠져들고 네루다로부터 메타포에 대한 강의(?)까지 듣게 된다. 그 과정에서 넉살좋은 마리오와 우편배달부에게 스스럼없이 시를 낭송해 줘가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네루다의 진솔하고 소박한 성품이 웃음을 자아낸다.
네루다가 읊는 시를 듣고 ‘’제가 선생님 말들 사이로 넘실거리는 배 같았어요“‘(p.31)라고 이야기하며 ‘“온 세상이 다 무엇인가의 메타포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p.32)라고 철학적이면서도 정곡을 찌르는 질문으로 네루다에게 놀라움을 선사하는 마리오는 이제 빈둥거리고 인생을 소극적으로 살아가던 예전의 마리오가 아니다. 마리오는 시에 눈을 뜨면서 베아트리스의 사랑을 얻어내고, 네루다의 벗이 되고, 무엇보다 자기 인생의 주인이 되어 삶을 선택하며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시와 언어에 대한 등장인물들의 생각도 재미있다. 마리오와 네루다가 시와 메타포에 매료되어 사로잡힌 사람들이라면 상대적으로 베아트리스의 어머니인 로사 곤살레스 부인은 언어는 ‘허공에서 사라지는 불꽃놀이’(p.63)이고 글은 ‘빨리 읽든 늦게 읽든 뜻은 똑같’(p.105)다는 생각으로 ‘글을 읽는 게 아니라 삼켜 버리’(p.106)는 사람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에서 가장 육감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바로 이 로사 곤살레스 부인이다. 그녀가 쏟아내는 말에서 얼마나 키득거리며 웃어댔는지, 큰딸이 옆에 있다가 ‘엄마, 그 책이 그렇게 재밌어?’하며 궁금해 했다.
그러나 역시, 네루다와 아옌데, 아니 칠레에 불어 닥친 비극적인 바람은 피할 수 없는 것이어서 소설의 뒷부분에 이르면 웃음은 점차 사라지고 진지함과 애잔함이 깃들기 시작한다. 모두가 아는 것처럼 아옌데의 인민연합 정부가 추진하려고 했던 정책들 (주요산업의 국유화와 철저한 농지개혁, 분유 무상보급 등)은 미국의 원조 삭감, 국제금융기관의 대출 정지, 미국 중앙정보국과 거대 기업 아이티티사의 후원을 받은 우파의 정권 전복 공작 등으로 실패하고 만다. 물론 소설 안에 그런 세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저 네루다의 죽음과 마리오의 실종으로 그 비극을 전할 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등장인물들의 열정적이며 육감적인 생생한 삶의 모습, 소박한 행복에 싸여 털털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기꺼이 즐거워하던 그만큼 비극의 느낌은 예리하게 마음을 그었다.
책을 덮으며 정말 명작이다, 싶었다. 사람을 웃겼다 울렸다 하면서 결국 권력과 폭력 앞에 희생되는 인간의 모습, 부조리한 세상 속에서도 삶을 지탱하고 변화를 꿈꾸는 반짝이는 민중의 모습으로 우리를 이끌고 있었던 것이다.
난 아직 영화 ‘일 포스티노’를 보지 못했다. 영화로 네루다와 마리오, 베아트리스와 로사 곤살레스 부인을 만나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해진다. 이슬라 네그라 해안가의 네루다의 집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그를 기리며 찾아든다고 한다. 그리고 울타리에 메시지를 써놓고는 한다고. 그 중엔 이런 글이 남아있다고 한다.
“사랑은 결코 죽지 않는다. 장군이여, 아옌데와 네루다는 살아 있다. 한순간의 암흑은 우리의 눈을 멀게 하지 못한다.”라는.
* 서평을 쓰면서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서경식 지음/이목 옮김/돌베개)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