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한국의 문기>를 읽고는 내친 김에 빼들고 읽기 시작한 책이다. 참 이상하게도 나는 서양화보다 우리 옛 그림들이 더 낯설다.  아마 화가 이름을 대보라고 해도 서양화가들의 이름을 우리 옛 화가들보다 더 많이 댈 수 있을 것이다.  나의 그런 점이 못마땅하기도 해서 우리 옛 그림에 대한 책을 사서 꽂아두곤 했는데, 그 낯설음에 쉽게 펴보질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왜 좀 더 일찍 펴보지 않았을까, 하는 후회가 일었다.  이미 2005년에 작고하신 오주석님이 생전에 열강하신 내용을 그대로 옮겨 적은 이 책은 우리 옛 그림의 세계로 들어가는 마법의 문을 열어 놓고 있었다.  옛 그림들을 세세하게 살펴가며 설명해주는 오주석님의 칼칼하고도 열정에 찬 목소리가 귓가에 쟁쟁하게 울려 퍼지는 것 같은 착각 속에서 너무나 재밌게 페이지를 넘겨 갔다.  게다가 이 책은 풍부한 작품 사진을 포함하고 있는데, 김홍도의 송하맹호도나 이 재,이 채의 초상 등등 많은 작품의 세부를 확대해 놓은 사진들은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덕분에 글 중간 중간 작고 흐린 글씨로 ‘청중들 “와”하고 크게 감탄하는 소리’, ‘청중 웃음’과 같은 강의 현장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지문(?)들의 지시에 따라 나도 “와”하고 감탄하고 웃기도 하는 감응과 공감의 묘미를 맛보기도 했다. 

오주석님은 특히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것 같으나 ‘풍속화가’라는 그릇된 선입견밖엔 아는 게 없는 김홍도의 인물됨과 그의 작품세계에 대해 더욱 열강을 토하신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비로소 김홍도를 풍속화가라고 규정짓는 것이 왜 말도 안 되는 소리인 줄을 알겠다.  또 우리 옛 그림의 깊고도 구수하고 오밀조밀 아기자기한 매력을 조금은 알 것도 같다.  그 커다란 여백들 속에, 단숨에 내려 그은 듯한 일필휘지의 붓자국 속에, 바늘처럼 가느다란 세필로 그려진 수천 번의 붓질 속에, 어눌하고 어수룩해 보이는 저 그림 속 인물들 안에 오랫동안 바라보고 씹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는 다른 세계가 있구나, 하는 느낌은 가슴 속까지 찌릿하게 만들었다. 

우리의 훌륭한 명작들이 일본식 표구에 갇혀서 그 빛을 마음껏 발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안타까웠다.  과연 김홍도의 송하맹호도를 가두고 있는 일본식 표구와 이명기의 채제공의 초상을 부드럽게 안고 있는 우리의 장황은 비교가 무색할 만큼 차이가 확연했다.  오주석님의 말씀대로 일본식 표구는 ‘개꼬리가 개를 흔드는’ 꼴이라는 게 딱 맞는 표현이었다. 

우리 나라의 국가 공식 영정이라는 이순신 초상, 논개 초상, 춘향 초상 등이 일본 총독에게 한복 입은 아녀자들이 금비녀를 뽑아 바치는 그림을 그려 대동아 전쟁 선전에 앞장선 김은호라는 사람에 의해 그려졌다는 것은 안타까움을 넘어 참담스러웠는데, 저자의 주장대로 우리 나라 화폐의 인물 초상들도 빨리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조바심이 일기도 했다. 

우리의 옛 그림에서 읽을 수 있는 조선의 합리적 유교주의, 성리학적 세계관과 도덕관은 자본주의의 천박함을 기워줄 대안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민족주의는 극단의 부족주의로 치달을 위험도 있다.  그러나 극단의 보편주의 또한 위험하다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다양성의 인정인데, 우리나라로 보자면 오히려 자기 빛깔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것이 더 병이지 않나 싶다.  일제의 문화말살과 역사왜곡의 억압 정책 속에서 뒤틀리고 조각나 버린 우리 문화를 회복하고 세계의 다양성 속에서 당당히 제 빛깔을 발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