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의력 통통 사고력 쑥쑥 우리 아이 행복한 책 읽기 - 아이와 함께 크는 엄마 6
신애숙.유성화 지음 / 팜파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내 아이를 ‘생각이 깊은 아이’로 키우고 싶었다. 남들이 하는 대로 떠밀리지도 말고, 세상과 그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수많은 타인들에 대한 배려와 이해도 할 줄 알고, 사리분별에 부족함이 없어 올바른 길을 가고, 그런 삶 속에서 의미와 행복과 사랑을 건져내 자기 것으로 만들어 가며 살아가기를 비는 마음이야 어느 부모나 다 한결같지 않을까. 내 아이가 책을 즐겨 읽는 아이로 자라주었으면 하는 바람은 그런 부모 마음에서 시작되는 것일 터이다.
그러나 그게 부모의 욕심대로 되는 일이 아니라서 늘 고민이다. 우리 집 세 아이만 보더라도 아이 하나하나 성향도 다르고 기질도 달라서 똑같은 방법으로 접근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도서관에 가도 아이들의 책 읽는 모습은 가지각색이다. 옆에 만화책만 잔뜩 쌓아놓고 읽는 녀석이 있는가 하면 일부러 구석진 자리로 찾아가 진지한 독서에 열중하는 녀석도 있다. 책보다는 도서관 시설물이나 친구들에게 더 관심을 보이며 왔다 갔다 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엄마 무릎에 앉아 다소곳이 엄마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아이도 있다.
그것이 나의 고민이었다. 되도록이면 시행착오를 적게 하고 부작용 없이 내 아이와 책을 절친한 친구로 만들어 줄 방법이 뭘까, 하는 것. 모든 이에게 적용되는 통일된 모범답안이 없기에 더욱 어렵고 헷갈리는 육아의 비법을 어떻게 얻을 것인가. 그래서 “내 아이에게 딱 맞는 책 읽기 노하우를 공개한다!”는 책 표지 글에 덥석 낚였던가 보다.
지은이의 논조가 ‘무조건 많이 읽히라!’식이 아니라서 좋았다. 책을 읽으면 아이의 학습 발달에 이런 저런 점이 좋더라 식의 책장사 같은 글이 아니라서 좋았다. 엄마 무릎 위를 고수하며 앉아서 차분하게 귀를 기울이는 아이의 모습을 이상적인 아이의 모습으로 찍어내고 있지 않아서 좋았다. 책을 찢고, 책에 낙서하고, 책 한 권을 끝까지 읽지 못할 정도로 산만하고, 만화책만 좋아하고, 고집불통에 말썽장이인 아이들까지 모두모두 품어 안고 책으로 가까이 불러들이는 것 같아 좋았다. 게다가 엄마들에게 욕심을 덜어내고 아이를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을 불러 일으켜 주니 더더욱 좋았다.
그렇다고 이 책이 이론과 책 읽기에 대한 너그럽고 자애로운 글들만 실어 놓은 것은 아니다. 한글 학습에 관해서만 하더라도 빨리 가르치는 게 낫다거나 학교 들어가기 전까지 안 가르치는 게 더 낫다는 식의 극단론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취학 전 한글 학습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교육현실 상 한글 떼기를 마냥 느긋하게 여길 수도 없는 노릇이다) 독서를 한글 학습의 방편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의 목소리를 높인다. 그리고 논술에 대해서도 보다 근본적인 핵심에 접근해서 설명한다. 글쓰기가 중요한 게 아니라 엄마가 아이의 사고력을 키우도록 도와주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백 번 천 번 옳은 말씀이다.
이렇게 이 책은 현실적인 문제를 외면하지 않으면서 근본적인 핵심을 흩어놓지 않는다. 갖가지 사례별로 구체적인 해결방법까지 실어놓아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림책에 대한 소개가 많이 나와 있지는 않지만 대신 책 읽기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도와주는 글들이 많다. 내 아이 독서에 대한 마음가짐을 바르게 해야겠다. 서두르지 말고, 욕심 부리지 말고, 내 아이의 바탕을 비옥하게 가꾸는 성실하고 우직한 농부가 되어 아이가 스스로 자기만의 열매를 맺으리라는 것을 믿고 기다리는 일, 그게 부모가 해야 할 일이고 내 아이의 뿌리가 깊어지는 일이라는 생각을 했다. 막상 닥쳐보면 그게 무지무지 어려운 일이기도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