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가 되렴 책읽는 가족 47
이금이 지음, 원유미 그림 / 푸른책들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금이님의 첫 장편동화다.  1988년에 출간된 후 이런저런 사정으로 절판되었다가 2005년에 개정판으로 재출간된 책이다.  처음엔 <가슴에서 자라는 나무>였던 제목도 <다리가 되렴>이라는 책 내용과 더 잘 어울리는 예쁜 이름으로 바뀌었다. 

책의 제목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이 이야기에는 사람들 사이를 흐르는 강이 등장한다.  서로 오고 갈 수 있는 다리도, 배도 없다.  소통을 위한 수단과 방법들이 모색되어지기 보다 거부당하고 포기함으로써 대립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강은 더 넓고 깊어진다.

안터말 아이들과 희망원이라는 이름의 고아원 아이들 사이를 흐르는 강도 서로 넘나듦이 불가능한 광대한 강이었다.  이 사이에 서울에서 전학 온 '은지'라는 아이가 다리를 놓으면서 강은 점점 시냇물이 되었다가 도랑물이 되었다가 마침내 사라지고 만다.   은지는 그 중간자적 입장답게 어머니를 여의고 위암에 걸린 아버지와 함께 사는 아이다.  고아는 아니지만 고아의 가능성을 가진 아이.  안터말과 희망원 사이에 놓인 아이인 것이다.

또 다른 강이 있다.  한국전쟁 당시 부모와 자식을 모두 잃은 기와집 할아버지와 기와집 할아버지네 집에서 머슴으로 일했던 순보할아버지 사이에 놓여진 강이다.  순보할아버지는 당시에 북한 인민군 쪽에 서서 기와집 할아버지의 부모와 자식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장본인이다.   그 사이의 중간자가 되어주는 사람은 은지의 단짝친구 순혜네 할머니다.  순혜 할머니의 가슴 속은 오래 된 장롱 같아서 지난 날의 기억들이 잘 빨아 넣어 둔 옷가지들 처럼 차곡차곡 들어 있었다.  그 많은 사연과 기억으로 지난 날의 아픔과 절망들을 꼭 안아 녹여내는 분인 것이다.  그래서 순보할아버지가 안터말에 돌아왔을 때 가장 먼저 받아들여지고 보살핌을 받을 수 있었던 곳도 순혜네 할머니의 인정 가득한 마음 속이었다.

책을 덮고 나서 생각해 본다.  그 강에 흐르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편견, 무관심, 오해, 몰이해, 오만과 이기심, 패배주의와 자기 연민, 열등의식...  그렇다면 그 강물을 건널 다리는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을까...

어떤 사람은 다리가 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강의 물결을 더 거세게 만들기도 한다.  사람 사는 세상 어디에나 갈등과 대립이 필요악처럼 존재할 수 밖에 없다면 적어도 강물에 깊이를 더하거나 넓이를 보태는 일이라도 하지 말고 살아야 할텐데 하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스스로 다리가 될 재간도 용기도 없으면서 한강에 다리 늘어나듯이, 다리가 되어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하고 뻔뻔한 바램을 가져보기도 한다. 아니면 강을 흐르는 것이 사랑, 이해, 온정, 수용, 나눔..뭐 그런 것들로 바뀌어서 사람들이 그냥 강물에 풍덩풍덩 몸을 던져 모두 즐겁게 어우러져 헤엄치며 놀 수 있던지.. 아예 다리가 필요 없는 세상, 우리가 정말 원하는 건 그런 세상이련만. 

역시 이금이님이다.  이금이님이 이야기라는 보자기로 싸서 안은 세상이 따뜻하고 아름답다.   이금이님도 우리 시대에 흐르는 갈등과 대립의 강 사이를 가로지르는 아름답고 튼튼한  다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