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례자
파울로 코엘료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 2년 전쯤이던가? 연금술사를 읽었다. 한창 베스트셀러로 잘 팔리는 책 중에 하나였는데 딸이 친구가 읽는 걸 보고는 사읽고 싶다고 하길레 같이 읽었었다.
글쎄.. 별로 좋다는 느낌을 받진 못했다. 그 책에 쏟아진 엄청난 찬사들 때문에 내 기대치가 너무 높았졌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이야기라는 포장지로 잘 싸여진 종교서적을 하나 읽은 것 같은 기분이 들었었다. 하긴 "영적구도서"라는 별칭을 달고 다니는 책이니까 그럴수도 있으련만 기독교의 의식과 성서를 모티브로 쓰여진 책이라는 것 빼고는 그다지 "영적"인 깊이도 느끼지 못했던 것 같다.
그리고 시간이 한참 흐른 어느 날 <순례자>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저자의 초기 작품이라고 하는데 차라리 "영적구도서"로서의 깊이는 <순례자>가 더 낫지 않나 싶다. <연금술사>보다는 이야기라는 포장이 덜 된 느낌이 들긴 하지만 현실적인 욕구들 때문에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마는 현대인들에게 던지는 메세지가 더 크게 와닿았다.
"어떤 목표를 향해 움직일 때, 길에 집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에 도달하는 최선의 방법을 가르쳐주는 건 언제나 길이기 때문이죠. 길은 언제나 우리가 걸은 만큼 우리를 풍성하게 해줍니다"
나는 항상 목표에만 집중하느라고 내가 가는 길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경험이 많다. 그건 책 속의 주인공이 안내자 페트루스와 함께 하루면 충분히 넘을 피레네 산맥을 엿새나 걸려서 넘는 부분에서 드러난다. 주인공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산티아고 쪽만 생각하느라 제대로 길을 가고 있는지는 생각지 못한다. 나는? 나는 목표에 너무 가치를 둔 나머지 서두르다가 길을 잘못 들거나 도중에 지쳐버린 적이 수도 없이 많다. 우리가 걸은 만큼 우리를 풍성해주는 길에 가치를 둔다면 아마도 좀 더 수월하게 목표에 이를 수 있지 않았을까.. 왜 서둘렀을까.. 왜 서두르다가 목표에 대한 열망마저 식게 만들어버렸을까.. 내가 길에 더 집중했더라면, 길의 가치를 좀 더 빨리 깨달았더라면 난 내가 길 위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을 느꼈을지도 모르는데..
"선한 싸움"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등장한다. 꿈을 위해 치뤄야 하는 선한 싸움, 사랑이 위선으로 오염되지 않도록 지키기 위해 벌여야 하는 선한 싸움에 대한 이야기다. 나? 나는 이미 사회의 시스템에 거의 완벽하게 길들여진 작은 톱니 바퀴다. 사실 나하나 어떻게 된다고 사회 시스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만큼 중요한 톱니바퀴도 아니다. 어쩌면, 난 사회라는 거대한 시스템이 굴러가기 위한 부속들 중에 하나가 아니라 시스템이 굴러가는 것을 보면서 안도감을 느끼는 걸로 만족하고 있는 별볼일 없는 나사 하나일 뿐이라는게 더 올바른 표현일 수도 있겠다. 그저 소속감 하나만으로 안도하는.. 그래, 코엘료의 말대로 난 예전에 "꿈을 죽인" 것 같다.
싸움을 피해 도망간다는 것은 최악의 사태인 것이죠. 싸움에서 지는 것보다 더 나쁜 겁니다. 패배를 통해서는 무엇이든지 배울 게 있지만, 도망을 간다면 적의 승리를 선언하는 것밖에는 아무것도 얻을 게 없으니까요.
두려움 때문이었던 것 같다. 좀더 젊었던 시절에 보장되지 않는 꿈, 불확실한 미래에 투신할 자신이 없어서 현실적이 되어야 한다는 둥의 핑계로 적당히 타협을 보았던 것 같다. 그래서 나는 패배를 통한 배움을 얻을 기회마저 잃어버린 셈이다. 그러나 크고 작게 벌여야 할 선한 싸움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늘 존재하는 것 같다. 20대의 찬란한 젊음이 꾸는 꿈을 위한 선한 싸움은 아닐지라도 내가 살아있는 동안엔 언제나 마음 속에 희망이나 바램 따위가 바람처럼 불어오고 불어갈테니까 말이다. 그리고 그 희망의 지점과 지금 내가 서있는 이 지점을 잇는 길은 존재할 테니까. "인간은 결코 꿈꾸기를 멈출 수가 없"으니까.
이 책의 주인공은 자기의 "검"을 목표로 순례의 길에 오른다. "검"을 자기 손에 쥐어야 한다는 목표가 너무 강렬한 나머지 그 검으로 무엇을 할 지에 대해선 깊이 생각해보지도 않은채. 그런 예는 현실에서도 넘쳐난다. 자본주의 경쟁사회에서 최고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 너무나 강한 탓이다. 그러나 최고가 된 다음에는? 부모라는 자리에서도 마찬가지다. 아이들을 최고의 자리에 앉히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만 정작 최고의 자리에 앉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선 누구도 쉽게 입을 열지 못하는 것 같다.
그래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길을 따라 목표에 도달하고 나면 그 순간 우린 다시 또다른 길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 목표였던 것이 수단이 되어 다른 목표를 향하여 선한싸움을 하며 나아가야 한다. 처음 가졌던 목표가 유일한 것이며 최후의 꿈이라고 한다면 이미 그 목표는 "성취"만을 위한 아무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코엘료의 말대로 길이 우리를 이끌어주고, 우리를 풍성하게 해준다면 끝없이 잇닿은 길이야말로 우리가 간절히 원해야 하는 바로 그것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