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봄이다. 초여름 날씨처럼 덥다가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지고 찬바람이 불어댄다. 어제는 시조부님 기일이라 산소에 가는데 도로 화단에 심어놓은 팬지 꽃들이 세찬 바람에 꽃잎을 떨어대는 모습이 안쓰러웠다. 
꽃이 늦어진다 했더니 순서도 없이 한꺼번에 다 만개해버린 것도 올봄이 유별나다는 증거다. 매년 노란 산수유 꽃이 피고 나면 가녀린 매화가 짧게 피었다 져버리고, 그 다음에 개나리와 벚꽃이 핀 다음 목련이 바닐라 아이스크림처럼 나무가지 위에 툭툭 피어나곤 했다. 그런데 올봄엔 산수유와 매화와 개나리, 벚꽃, 목련이 다 한꺼번에 피었다. 신기하게도 민들레 꽃은 참 드물게 보인다. 작년에 첫 민들레를 3월 14일에 보았고, 재작년에는 3월 21일에 보았는데, 올해는 3월 30일에서야 민들레를 보았다. 그것도 거의 찾아다니다시피 해서 너무나 작고 약해 보이는 민들레를 만날 수 있었다. 
올봄은 지금까지 내가 맞이했던 봄들 중에서 제일 못됐다. 



미세먼지에 날씨도 요동을 쳐서 가뜩이나 나다니기 싫어하는 나는 거의 매일 집에 틀어박혀 지냈다. 


책을 읽었다. 



<다윈 영의 악의 기원>을 읽고 호감을 느꼈던 작가 박지리의 첫 소설책이다. 이 작품으로 2010년에 제 8회 사계절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던 것 같다. 오합, 오체라는 이름의 쌍둥이 형제의 이야기인데, <다윈 영의 악의 기원>에 비해 문체가 밝고 경쾌했다. 다음엔 <맨홀>을 읽어볼 작정이다. 



오래 전부터 읽어봐야지, 했던 책이었다, 얼마전 가수 요조가 이 책을 '내 인생의 책'으로 소개하는 걸 읽었다. '요조'라는 이름도 이 소설의 주인공 이름을 딴 거라고 했다. 더욱 기대가 부풀어 올랐다. 나는 이 책이 내 인생을 뒤흔들만큼 인상깊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고개를 끄덕이며 "응, 그래, 맞아. 나도 그럴 때가 있었어."하는 마음으로 자꾸 곱씹게 된다. 물론 이 작가와 나는 살아가는 시대적 상황이 다르고, 환경도 여건도 다 다르고, 나는 무엇보다 자살 기도를 할 정도로 삶이 고통스럽다거나 세상에 환멸을 느껴본 적이 없지만 소설 속 주인공 요조가 인간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 공포, 인간 삶의 난해함 같은 것들이 자꾸 마음을 건드렸다. 
아무래도 한 번 더 읽어야 할 것 같다. 읽고 나서 불편해지는 책은 대부분 좋은 책이다. 


김사인 시집 <가만히 좋아하는>을 매일매일 가만가만히 작은 공책에 옮겨 적고 있다. 지금까지 63쪽 '나비'라는 시까지 옮겼다. 옮겨 적으면서 새롭게 다가오는 구절들이 있다. 눈으로 쓰윽 읽었을 땐 그냥 스치듯 지나갔던 행들이 갑자기 돋을새김을 한 듯 눈에 띈다. 그럴 땐 잠시 펜을 멈추고 시를 다시 들여다보게 된다. 
<가만히 좋아하는>을 다 옮겨 적고나면 집에 있는 시집들을 한 권씩 꺼내어 옮겨 적는 일을 계속 해보려고 한다. 


책을 샀다.
며칠 전에 마음책방 '서가는'에 가서 책을 두 권 사왔다.


내가 요즘 내 오래된 기억들을(예를 들면 내가 기억하는 첫 집, 어릴 때 엄마가 사줬던 목걸이, 어릴 적 동네의 풍경 같은 것들) 확인하려 든다고 했더니 책방 쥔장이 추천해준 책이다. 아직 읽어보지 않아서 어떤지 알 수없지만 정신분석학자인 저자가 자기의 여러 기억들을 돌아보는 내용인 것 같다. 나의 기억을 돌아보는 것. 나와 나의 기억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사람들이 아니라면 아무도 '나의 기억'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정신분석학자는 자기의 기억으로 책을 한 권 써냈다. 정신분석학자가 생각하는 '기억'의 가치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의미있고 '나'를 넘어서는 확장된 공감을 일으킬만한 것일까. 나의 기억이 지금의 나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읽어볼 수 있을 것 같다. 


불안을 다룬 심리 그림책인데,  그림책이라는 형식을 선택한 이유가 뭘까 궁금해지는 책이다.  그림책이지만 그림책 같지 않은 책.  뭐랄까, 그림책으로서의 매력이 약하다는 게 아쉽다. 일러스트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아마 글작가가 정신의학과 교수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설명문 같은 글들이 부자연스럽다. 굳이 따지자면 그림책이라기보다 글이 적고 그림이 예쁜 짧은 교양심리에세이? 


오늘, 아니다. 이미 어제가 되어버렸다. 어제 우리동네 세 책방(카모메 그림책방, 프루스트의 서재, 서실리)이 모여 '호호서가'라는 이름의 플리마켓을 열었다. 바람 불고 춥고 비까지 뿌리는 날씨였다. 집에서 늑장을 부리다 3시 반이 지나서야 집을 나섰다. 가면서 속으로 '날씨도 구질구질한데 벌써 철수한 거 아닐까. 다 철수해서 없으면 걷기 운동했다 치고, 아직 마켓을 하고 있으면 책 구경을 하면 되고.'하는 마음이었다. 
바람 불고 춥고 비까지 뿌리는 날씨였지만 플리마켓은 진행 중이었고 책 3권을 데려올 수 있었다



'심리학과 뇌과학이 파헤친 시간의 비밀'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은 혹시 자기계발서인 건 아닐까 슬쩍 의심이 가기도 했지만 저자가 '철학과 물리학, 심리학과 뇌과학을 넘나'드는 사람이라고 하니 일단 믿어보기로 했다. 게다가 이 책은 중고책이라 단돈 3천원에 내 품으로 들어왔다. 집으로 돌아와 꺼내놓으니 큰딸이 재미있을 것 같다며 눈을 반짝였다. (응, 나도 재미있을 것 같아서 데려왔어.)


난 임경선이라는 작가를 모른다. 그리고 '예담'이라는 출판사도 나와 성향이 맞는지 확신할 수가 없었다. 내 경험을 돌아보면 '예담'의 책들은 거의 나와 잘 맞지 않았다. 그런데도 이 책을 고른 건 제목때문이었을 거다. 자유라잖아. 자유로워지라잖아. 어떻게 하면 자유로워질만큼 대담할 수 있는지 가르쳐줘, 하는 마음이었을 거다. 아마 이 책이 나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울 거다. 자유로워진다는 건 말이 쉽지,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니까. 책을 가만히 보고 있자니 메모지에 '화분에 물줄 것'이라고 적어 놓은 걸 보는 기분이다. '자유로울 것'이라니...... 이 작가는 어떤 생각일까. 그 생각이 궁금해진다. 



김선우의 시집이다. 사실 난 김선우의 글은 시집보다 에세이를 더 좋아한다. 하지만 아까 적었듯이 나는 매일 시를 옮겨적는 사람. 그러니 기념으로 시집 한 권을 더했다. 집에 있는 시집을 다 필사하려면 시간이 꽤 걸릴 것이지만 거기에 이 시집을 한 권 더하는 건 꽤 걸리는 시간에 아주 조금을 보태는 정도밖에 되지 않을 거다. 김선우의 시와는 좀 친해져보고 싶은 마음도 있으니까 집에 있는 김선우의 다른 시집들과 한꺼번에 이어서 필사하면 좋겠다. 

내일부터, 아니 오늘부터는 날씨가 풀린다고 했다. 이제 미친 봄은 그만하고 화사하고 청명한 봄을 새로 시작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