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책을 읽는가 - 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독서를 위하여
샤를 단치 지음, 임명주 옮김 / 이루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지 않아도 더이상 부끄러워하지 않는 시대라고들 한다. 그래도 뒤늦게 책과의 사랑에 빠진 나는 지인들을 볼때마다 책 얘기를 함께 나누고싶은 억누를 길 없는 욕망 탓에 꽤 노골적으로 독서의 즐거움과 효용을 언급하며 얄팍한 독서 전도사를 자처하고 만다. 번번히 돌아오는 시큰둥한 반응에 이제는 그닥 실망조차 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상대의 관심 여부에는 전혀 개의치도 않고 전도만이 인류 구원의 길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 열혈 기독교신자들의 심정이 다 이해될 지경이었다.

 

그러던 차에 만난 샤를 단치의 『왜 책을 읽는가』는 막연하게 가지고 있던 독서에 대한 나의 이러저러한 생각들을 얼마나 속시원하게 정당화해주었던지, 그동안 촌스럽게 들이대는 느낌을 주지 않으려 최대한 소심한 태도로 내가 독서전도를 시도했던 모든 지인들에게 이 책을 한 권씩 나눠주고 싶을 정도다. 일단 그들이 이 책을 읽을 것인지가 관건이긴 하지만!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가 다독가라는 이야기가, 마치 그들이 책을(그것도 인문학 책을!) 많이 읽었다는 사실이 그들의 사업적 혜안과 성공을 가져왔다는 식으로 포장될 때 선뜻 "아, 그랬구나~."하지 못했던 나는 샤를 단치의 다음과 같은 단호한 문장에 속이 다 후련해졌다.

 

"독서는 그 어느 것에도 봉사하지 않는다. 그래서 독서가 위대한 것이다. 우리는 인생에 관한 책을 읽지 않아도 얼마든지 펀드매니저로 성공할 수 있다! 그래서 책을 읽는 권력자들에게 친절한 시선을 보낼 필요가 있다. 그들은 뭔가 다른 일을 해낼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257-258쪽) 

 

빌 게이츠는 다독가이기에 성공한 자본가가 된 게 아니라, 다독가이기에 기부하는 자본가, 인간적인 자본가가 된 거다. 책을 읽었으므로 부자가 되었다거나 세속적인 성공을 했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책을 읽지 않는 부자도 많다. 아마도 책을 읽는 부자보다 그렇지 않은 부자가 훨씬 많을 것이다. 우리가 빌 게이츠에 관해 이야기하기를 멈추지 않는 이유도 그가 '뜻밖에도' 책을 읽는 부자여서가 아닐까?

 

어쩌면 '성공'하거나 출세하기 위해서는 책을 멀리하는게 유리할 수도 있다. 책을 읽을수록 '성공'을 향한 질주를 하기에는 이것저것 마음에 걸리는게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독서에도 어떤 목적이 있다면 세속적 성공이 아니라 오로지 품격있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다. 무지한 단순성에 갇힌 야만인이 되지 않기 위해서다. 단치의 이 책을 읽고 나는 이런 생각에 대해 더욱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단치는 "원래 비열한 인간은 라신을 읽는다 해도 비열한 인격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만일 그가 교양이 없다면 교양을 두른 비열한 인간으로 바뀔지는 모르겠다"며 독서의 효용을 최대한 깎아내리려 애쓰기도 한다. 그러나 그건 독서를 순수하게 '이기적인' 마음이 아니라 '교양'(그러니까 타인을 의식한 독서)이라는 불순한 목적만으로 대하려 할 경우를 말하는 것이리라. 왜냐하면 그의 책에는 이런 말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이기심에서 비롯되지만, 결국 독자가 얻게 되는 것은 이타심이다. 애당초 책을 읽을 때 이타심 같은 것은 원한 적이 없다고 해도 그렇다."    

 

어떤 식으로든 독서의 실용적 가치를 짜내보려는 강박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졌으므로 이제 나는 조금 더 마음이 가벼워졌다.

 

책을 읽거나 쓰는 이유 가운데 또 하나 강하게 공감했던 부분은 죽음의 부분적인 극복이라고 말하는 대목이다. 책을 읽는 짧은 순간만큼은 우리를 유한하게 만드는 죽음을 극복하는 순간이며, 좋은 책은 영원하지는 않더라도 저자보다 오래 살아남기 때문이다. 나 역시 책을 읽는 순간 만큼은 나를 제한하고 있는 모든 시간적, 공간적, 물리적 환경 뿐만 아니라 비루한 나 자신의 정신세계마저 초월하여 한껏 자유로워지고 고양되는 (설령 그것이 순간적일 지라도) 경험이 가져다주는 치명적인 매혹 때문에 허겁지겁 다음 책을 찾는다.

 

"죽음은 망각이며, 특히 단순화이다. 반면 독서는 죽음의 꼭두각시가 되기를 거부하며 인생의 아름다운 복잡성을 회복시킨다. 무덤을 꺾을 유일한 경쟁상대는 결국 도서관인 셈이다." (259쪽)

 

"눈물이 없다는 건, 생각이 없다는 것. 이것이 죽음의 승이라면 그런 것이다."(260쪽)    

 

"인생의 아름다운 복잡성", "눈물", "사유"... 새겨보게 되는 말들이다. 그런데 마지막으로 단치가 시선을 보내는 곳은  "권력"이다. 얼마 전, 내가 최고의 독서 안내자라고 생각하는 로쟈(이현우)의 책에서 우리가 책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는 바로 "속지않기 위해서"라고 하는 말을 읽은 적이 있는데, 단치 역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책의 끝맺음을 이 말로 하는 것을 보면 독서에 대해 무엇보다도 그가 강조하고픈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정보화된 미래는 권력자들에게 더 충실히 봉사할 것이고, 그럴수록 인류의 정신은 더욱 조그만 상자 안에 갇힌다는 사실이다... 더 이상 책을 읽지 않으면 인류는 자연으로 되돌아가 짐승들과 함께 살 것이다. 그리고 미개하고 착하고 순한 독재자가 곳곳에 설치된 총천연색 화면들 속에서 미소를 지으리라!"

 

정말 섬뜩한 '위협'이다. 이런 말을 듣고도 어찌 책을 멀리하겠는가!

 

2013. 07.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인시공 - 책 읽는 사람의 시간과 공간
정수복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과학자가 쓴 예쁜 책. 휴식같은 책, 솔바람같은 책. 특히 양상치 셀러드처럼 상큼한 앞부분이 좋다. 이 책을 읽고나서 <프로방스에서의 완전한 휴식>을 사야겠다는 생각에 가슴이 두근두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 발상에서 좋은 문장까지
이승우 지음 / 마음산책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인공물, 세계관, 은유, 독서, 다른 거울, 자세한 밑그림... 귀중한 키워드들, 믿음직한 작가가 알려주는 소설의 기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 장석주의 소설창작 특강
장석주 지음 / 들녘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마흔의 서재라는 인기 신상으로, 애서가뿐만 아니라 그간 책이 자신의 삶의 일부가 아니었던 이들의 구미마저 잡아당기고 있는 장석주 작가가 10여 년 전 썼던 두툼한 소설 창작 강의록이다. 내게는 처음 접하는 소설 작법책이지만, 사실 이 책은 구체적인 작법을 기대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 오히려, 막연하게 소설 읽기를 즐기지만 자신이 왜, 어떤 부분에서 소설 읽기에 매력을 느끼는지, 소설을 읽을 때 어떤 부분들을 의식하면서 읽으면 소설을 더 재미있게, 더 잘 이해하며 읽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콕콕 집어주는 책이라고 하는 게 맞을지 모른다. 그러므로 이 책은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려는 사람보다는 소설 읽기를 좋아하는 독자를 위한 책에 가까운 것 같다. 뒤늦게 어마어마한 양의 정신의 양식을 눈앞 가득 쌓아두고 무엇부터 어떻게 먹어치울까 행복한 고민을 하고 있는 지금의 내 처지에는 딱 맞는 책이었던 것이다. 오랜 시간을 굶주려온 탐식가이긴 해도 무작정 배만 불리는 것보다는 맛을 제대로 음미하면서 그 영양을 섭취하고싶으니까.

 

이 책은 소설창작의 기초에 관한 설명이 중심인 1부와, 90년대 한국소설 양상에 대해 개괄하고 있는 2, 이렇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게 보다 실질적인 정보를 주었던 건 2부의 내용이었다. 1부는 소설의 구성요소와 글쓰기 훈련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들을 담고 있는데, 소설의 구성요소에 관한 강의는 중고교 시절 교과서를 통해 배웠던 일반적인 내용을 정리해 놓은 것이었고, 글쓰기 훈련에 관한 조언은 주로 나탈리 골드버그의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의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이 책 강추한다!)

 

2부의 내용은 다른 책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보석과도 같은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90년대 한국 문학계 전반에 걸쳐 일어났던 거대한 지각변동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놓았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문제작들에 대한 주요 비평들까지도 총망라해 놓았다. 80년대의 이념적, 이성적 사유에서 벗어나, 다양한 개인의 실존의 문제와 감성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드러나게 된, 거대한 변화의 시기였던 90년대 한국 문학의 특징을 포스트 모더니즘의 시발점이 되었던 소설, 페미니즘 소설, 대중소설, 환상소설 등으로 명쾌하게 축약해서 정리해준 저자 덕분에 이 시기 한국 문학의 흐름을 더욱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된 듯한 느낌이다. 2000년대 흐름도 이렇게 잘 정리해 놓은 글이 있다면 좋겠다.(찾아봐야지!)

 

무엇보다도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저자가 강의 내용의 예시를 위해 사이사이에 배치해 놓은 주옥같은 단편 여러 편을 통째로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그것도 훌륭한 작가이자 평론가인 저자의 세련된 작품해설을 곁들여서 말이다. 소설 작법 책이 이처럼 재미실용적 가르침을 동시에 주는 경우는 드물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의 공중부양 - 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가장 인기 있는 트위터리안 중 한 사람이라는 생각부터 떠올리게 하지만, 수많은 베스트셀러와 좋은 작품들을 끊임없이 세상에 내놓아온 작가 이외수가 소개하는 창작적 글쓰기의 비법은 과연 무엇일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가 공개한 비법의 핵심은 의외로 간단했다. 좋은 글을 쓰는 비법이란 좋은 인간이 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데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좋은 인간이란 도대체 어떤 인간을 말하는가? 작가 이외수가 생각하는 좋은 인간이란 바로 만물을 사랑할줄 아는 감성을 가진 인간이다. 나쁜 사람은 자신 밖에 모르는 인간, 즉 '나뿐인 사람'이고. 사랑, 정의, 용기 등등 인간이 지녀야할 덕목 가운데 으뜸은 사랑이라는 예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그도 벗어나지 않는다.  


나쁜 놈은 좋은 글을 쓰지 못한다. 나쁜 놈은 바로 나뿐인 놈이다...남들이야 죽든말든 자기만 잘되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부류들은 무조건 나쁜 놈에 속한다.(52쪽)


그런데 사랑은 아름다움을 느끼는데서 생겨나는 것이므로 모든 사물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감성을 키우는 것이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은 마음을 활짝 열고 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글은 쓰는 자의 인격을 그대로 반영한다. 사물의 속성을 파악하는 일은 사물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일이며 사물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일은 사물과의 사랑을 시도하는 일이다. 얼마나 거룩한 일인가. 나뿐인 놈들에게는 절대로 기대할 수 없는 일이다.(53쪽) 


(육안이 아니라 마음의 눈, 즉) 심안과 영안으로 보면 세상에 추악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사랑은 아름다움으로부터 출발한다.(56쪽) 


따라서 대상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마음 공부가 가장 중요하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사물을 사랑하고 사물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영적 수양을 게을리하지 않으면 누구라도 깨달음의 경지에 오르게 된다고 한다.저자에 따르면, 깨달은 자들은 가장 작고 하찮은 것들에 눈물겨워 한다고 한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으면 저절로 시가 터져 나오는데, 대부분 자연(달빛, 강, 산)을 노래한다.


그대가 만약 심안과 영안으로 사물을 바라볼 수만 있다면 천하만물들이 모두 보석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68쪽)


두번 째로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예술가가 되고 싶다면 창조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우선 저자는 모방이 창조를 낳는다는 널리 알려진 말을 믿지 말라고 한다. 창조적인 글을 쓰고 싶다면 창조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창조적 시각은 사물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는 훈련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사물을 감각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머리로 인식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사물의 상태를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보는 시도에서부터 사물들(단어들)에 감성을 부여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예컨대 배꼽 달린 개구리를 상상한다던지, 위기감을 표현하는 단어들을 쭉 적어본다던지 하는 식으로. 저자는 또한, 스스로 달라지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내가 달라지기 이전에 세상이 달라지는 법은 없다. 내가 달라지면 반드시 세상도 달라진다. 그대는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대는 아직 달라져 본 적이 없는 하수다. 인격과 문장은 합일성을 가지고 있다. 문장이 달라지면 인격도 달라진다. 인격이 달라지면 문장도 달라진다. 그대가 조금이라도 격조 높은 인생을 살고 싶다면 현재의 자신에서 탈피하라.(97쪽)


셋째, 저자는 글쓰기의 필수요건으로 진실, 소망, 감성, 애증을 꼽는다. 글로써 타인을 감동시키거나 설득시키고 싶다면 끊임없이 자신의 내면을 갈고 닦아 진실하라는 것이다. 진실은 사실과 다른데, 사실을 통해 얻은 감정이 진실이다. 또 글에는 초자연적 힘이 들어 있기 때문에 꼭 미래일기를 쓰라고 권한다. 자기 영혼과의 약속은 의외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며, 힘겨운 상황에 처할 때마다 굳건히 일어서게 만드는 힘이 되어줄 것이므로. 감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마음 바깥에 있는 것들과의 교감을 시도하라고 강조한다. 만약 어떤 대상을 사랑할 수 없다면 증오라도 하란다. 사랑이나 증오는 글을 쓰게 만드는 원동력이므로. 그러나 방관만은 금물이다. 방관은 인간의 모든 감성을 말라 죽게 만들고 모든 소망을 말라 죽게 만들기 때문이다. 저자는 아직도 세상에는 증오해야 마땅한 것들이 너무 많이 남아 있기에 열심히 증오하라고 충고한다. 


넷째, 문장의 치명적인 병폐들을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 가식, 욕심, 허영을 버리고 순수한 문장을 만들라는 것이다. 현학적인 문장, 미사여구가 가득한 문장, 본심과 반대인 문장 모두 감동을 주지 못하고 글쓴이의 정신적 빈곤만을 드러낼 뿐이므로, 오로지 진실에 입각해서 써야한다고. 


다섯째, 사물을 바라볼 때 관습적인 관점을 벗어나서 모든 오감을 동원해서 감각하라는 것이다. 즉, 대상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대상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바라보라는 것이다. 사물들을 일상적이고 습관적으로 바라보면 대상이 전혀 글을 쓰고싶은 충동을 자극하지 못하므로. 


사물을 대하는 감각이 둔한 사람들은 언어에 대한 감각도 둔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쓰는 일에도 읽는 일에도 무관심한 것이다. 하지만 노력하면 둔감한 감각을 예민한 감각으로 얼마든지 되돌릴 수 있다. 사물을 온몸으로 감지하라. 모든 촉수를 곤두세우고 사물들이 간직하고 있는 진실을 탐지하는 습관을 기르라. 아무리 뛰어난 재담가라도 자신이 감동받지 않은 소재로 타인을 감동시킬 수는 없다. 진실하게 써라. 가슴으로 써라. 그러려면 사물에 대한 애정이 기본이다. 사물에 대한 거부감이나 혐오감부터 몰아내 버려라(139-140쪽)


 글쓰는 자로서 사물과 인간에 대한 그대의 편견은 일종의 죄악이다.(153쪽)   

  

여섯째,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조사와 공부가 필수적이다. 


그대가 비록 천재라 하더라도 오로지 그대 자신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식이나 재능만으로 글을 쓰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고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하고 관계서적을 찾아보는 행위와 그것들을 응용하는 요령까지가 그대의 능력이다.(194쪽)


지금까지 요약한 글쓰기의 기본 자세나 태도 외에도 저자는 단어와 문장, 수사법 등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관해 많은 예문들을 곁들여 상세하게 설명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와닿는 부분은 역시 글쓰는 이의 인간됨과 기본 마음가짐에 대한 강조 부분이었다. 저자는 틈만 나면 주변 사람과 사물에 대한 사랑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후회 없는 인생이란 많은 것들을 사랑하면서 살아온 인생이다. 우리는 수시로 우리들 자신이 얼마나 많은 것들에게 눈길을 주면서 그것들에게 사랑을 느꼈는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가슴 안에 사랑이 간직되어 있지 않은 인간은 결코 예술을 느낄 수도 없으며 예술을 행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214쪽)


일곱번째, 사랑에 대한 강조에 더하여, 좋은 작가, 좋은 예술가, 보다 나은 인간이 되기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 즉 절대고독에 대한 이야기도 아름답고 깊은 감동을 준다.

 

번데기는 12일 동안 꼼짝달싹도 못한 채 캄캄한 고치 속에 갇혀서 절대고독을 감내해야 한다. 그리고 날개를 가지기 위해 등껍질이 찢어지는 아픔도 감내해야 한다... 번데기의 과정을 한마디로 대신할 수 있는 단어는 절대고독밖에 없다. 절대고독은 유시형곤충들(날개를 가진 곤충들)이 날개를 가지기 위해 필수적으로 감내해야 하는 통과의례다... 절대고독이 두렵고 등껍질이 찢어지는 아픔이 두렵다면 무시형곤충을 선택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대는 오로지 먹고사는 즐거움 하나로 만족하면서 밑바닥을 기어 다닐 각오를 해야한다. 그러나 날개를 가진 공충들은 거의가 아주 소량의 먹이만으로 생명활동을 영위한다. 그것들은 먹이를 최상의 즐거움으로 삼는 단계를 벗어난 생명체들이다. 기어다니는 생명체들과는 차원이 다른 존재들이다. 그것들에게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즐거움이 있다... (220쪽)


우리가 날기를 포기하는 순간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를 암시해주는 다음 이야기는 섬뜩하다.


날개가 없는 곤충들은 대부분 집단적으로 먹이를 공격하거나 남이 잡아놓은 먹이를 훔치거나 상처 입은 먹이를 찾아 헤매거나 다른 동물의 몸에 기생하거나 함정을 만들어놓고 먹이가 지나가기를 끈질기게 기다려야 한다.(220쪽)


어떻든 인간은 날개 달린 존재가 되기위해 절대고독을 감수해야 하는 윤리적 사명을 띄고있는 존재라는 생각마저 들게 하는 이야기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어떤 분야든 장인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요구되는 고도의 집중력과 끈질긴 인내심이 작가가 되기위해서도 반드시 요구되는 자질이라고 말한다. 결국 글쓰기의 성패는 기술의 탁마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탁마로 결정되는 것이라는 저자의 말에 깊이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집중력과 인내심을 기르는 일 역시 정신적 탁마의 일부일 것이므로.


사족 한 마디. 음양오행의 범주에 따른 인물 구성 방법에 관한 저자의 독특한 관점이 재미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인물도 이 음양오행의 범주를 떠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고 단언하면서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놓고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이 책은 다른 창작방법론 서적과는 다른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12. 04.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