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역 이옥전집 1 : 선비가 가을을 슬퍼하는 이유 ㅣ 완역 이옥 전집 1
이옥 지음,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옮김 / 휴머니스트 / 2009년 3월
평점 :
이옥은 자신을 경금자(絅錦子)라 칭한다. 絅은 홑옷, 錦은 비단을 뜻하니 곧 화려한 옷을 가리기 위해 그 위에 홑옷을 덧입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주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옥은 문재는 빼어났으나 행정업무처리 능력은 어리버리 했던 모양이다.
이옥의 과거 시험 답안지의 문체가 괴이하다고 여겨 정거停擧(유생에게 주는 형벌의 하나. 얼마간의 연한 동안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정지시키는 것)를 명했던 정조는 충군으로 명령을 바꾼다. 정거를 당하게 되면 과거에 다시 응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조는 이옥이 편적된 읍에 명하여 과거에 응시할 휴가를 주라고 배려한다. 황공하고 감격하여 울기까지 한 이옥은 다시 서울로 와서 과거에 응시하였지만 정조는 ‘초쇄’가 심하다고 하여 또다시 좀 더 먼 곳으로 충군을 명한다. 경상도 삼가현에 편적하고 다음해 2월 초시에서 수석을 하지만 임금은 이옥을 꼴찌로 강등시킨다. 국법에 수석이든 꼴찌든 충군된 자가 한번 과거에 붙으면 죄를 용서해준다고 하였는데 그 삼가현에 옮겨둔 적을 다시 서울로 옮기지 않아 용서는커녕 삼가현으로 다시 끌려가 죄수처럼 몇 개월을 빌어먹다시피 보내다가 1800년 다시 과거를 보러 돌아오는 길에 사면 소식을 듣는다. 30대 후반을 욕되고 비참하게 보낸 셈인데 부친상까지 당하여 ‘거적자리에서 흙덩이 베개를 베고 울부짖으며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했다. 해배이후 이옥은 과거를 그만두고 글쓰기에 전념한다.
이옥 전집 1 『선비가 가을을 슬퍼하는 이유』는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賦)/서(書)/서·발(序·跋)/기記/논論·설說·해解·변辨·책策이 그것이다. 賦는 지금의 시와 같다. 개구리, 거미, 벼룩, 나비 등의 자잘한 동물과 흰 봉선화, 초룡(포도)등 식물에 관한 시 뿐만 아니라 규장각을 거하게 칭송하는 규장각부, 판소리 한마당 같은 삼도부 등도 있다. 특히 자신의 처지를 빗대어 쓴 <흰 봉선화를 읊은 부>는 겨울 새벽에 내린 서리처럼 맑고 아름답다. <거미를 읊은 부>와 <벼룩을 읊은 부>는 논리가 정연하고 호기롭고 거침없으며 그 표현들이 과녁의 중심을 정확하게 파고드는 화살 같다.
마치 은바늘로 터진 솔기를 꿰매는 듯
재빨리 살갗을 파고드는데,
장미꽃에 잘못 부딪혀
붉은 가시에 살갗이 찔린 듯
피와 신경이 놀라고 자지러져
사람으로 하여금 배겨내지 못하게 한다.
벼룩이 사람을 물었을 때의 상태를 형상화한 글이다. 어렵게 벼룩을 붙잡아 손톱 밑에서 꿈틀거리며 살려는 생각이 남아있는 벼룩을 꾸짖는 장면은 이렇다.
너는 미물로서
침상과 자리에 모여 사는구나.
마침 나는 천성이 게을러서
석 달 동안 소제를 하지 않았으니
목마르면 땀을 마실 수 있고
굶주리면 때를 빨아먹을 수 있다.
<주자대전> 한 질을 암송하여 몇 페이지 몇 째 줄에 무슨 구절이 있는지 정확히 기억했다고 하고 문장이 도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문이재도의 문장론을 주장한 정조가 이 글을 보았다면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 이래놓고는 이옥은 또 비단에 꽃을 수놓 듯 페르시안 카펫보다도 더 화려한 <규장각부>를 적었다.
서書는 편지글을 말한다. 과거 준비를 위해 서울에서 머물 때 교유한 인물로 여겨지는 최구서에게 보내는 편지가 한통 실렸다.
서序·발跋 은 지금으로 말하면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듯하다. <묵토향> <묵취향>뿐만 아니라 <노자를 읽고>,<초사를 읽는 법>, <주자의 글을 읽고>등 책을 읽고 난 후의 독후감도 있다. 노자, 초사, 주자 등을 읽기는커녕 보지도 못한 내가 무어 할 말이 있겠냐마는 이옥의 글은 비유에 능하고 막판 뒤집기에 유의해야 한다.
기記는 말 그래도 일상을 기록한 글이다. 신기한 이야기나 소풍간 이야기에서부터 심지어 충군을 명령받고 삼가현에 가며오며 적은 글도 있다. 그가 경유한 여정도까지 상세히 나와 있다. 이옥의 심신의 고단함을 헤아리노라면 엄숙해지고 혀를 내두르며 경탄해야 마땅하겠지만 나는 자꾸만 웃음이 나왔다. 삼가현의 적을 서울로 옮겨두는 것을 잊었듯이 이옥은 자기가 왜 이 길을 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깜빡 깜빡 잊었던 건 아닐까해서다.
논論 설說 해解 변辨 책策은 말 그대로 이다. 곡식을 계량하는 말(斗)에 대해 논하고 북관기생의 한밤중 통곡의 의미를 논한다. 과거 급제자에게 촉규화의 형태를 취한 꽃을 내려주는데 본받을 만한 것도 쓸모도 없는 것의 모양을 왜 본 땄는지 설하고 진정한 군자란 어떠해야 하는가 설한다. 선비가 가을을 슬퍼하는 이유를 해하며, 강철(짐승이름)에 대해 변하고 과거시험장의 고쳐야할 점을 책한다.
조선시대 다양한 글의 갈래를 직접 읽으며 내 깜냥으로 가늠해보았다. 기억을 헤집거나 도움을 받고자하면 어렵지 않을 것이나 그냥 두기로 한다. 형식을 고려하지 않으면 아마츄어라고 말하더라마는 옛날의 이옥에게서 본받아야할 것은 그 형식이 아니라 정신임을 명심해두기로 한다. 정신에 대해서는 전작을 다 읽고 난 다음에라야 말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옥의 전집 5권 중 3권을 마련했다. 값이 적지 않았으나 책을 읽고 나니 하나도 아깝지 않았다. 하고많은 독자중의 하나일 뿐인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마는 이 책을 번역한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와 출판사에게 독자로서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