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 룩셈부르크가 길을 보여주다
가사노동과 자본주의는 당시 페미니스트들이 가장 많이 논의한 주제였다. 일부는 가사노동이 전 자본주의적이라고 했고 다른 사람들은 봉건적 유물로 여겼다. 많은 사람이 가사노동이 단지 ‘재생산‘인지 아니면 사실 ‘생산‘인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MariarosaDalla Costa)는 그것이 ‘노동력‘이라는 상품의 생산이라고 주장했다(1972), - P176

우리는 이 접근이 마음에 들었지만 충분치 않다고 느꼈다. 라틴아메리카와 인도 시골과 도시 빈민가에서 일하면서 우리는 주부와 비슷한 노동 조건을 마주했다. 그들은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재생산‘을 확보할수 없을 정도로 낮은 임금을 받았기 때문에 여러 일을 해야 할 때도 있었다. 그들의 임금은 너무 낮아 생계를 유지하기도 어려웠다. 그러나 자급과 가사노동 사이의 연관성은 어디 있는가? - P176

여기서 로자 룩셈부르크가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우리를 도왔다. 우리 셋 중 베로니카가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지식이 가장 깊었다. 그녀는 쾰른 대학교에서 이른바 자본에 관한 강좌‘에 참가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직접 가르치기도 했다. 반대로 마르크스에 대한 내 지식은 절충적이었다. 나는 ‘노동‘ ‘생산 노동‘ 같은 용어를 명확히 하고 싶을 때마다 마르크스의 파란색 책을 꺼냈다. 그러나 내 생각에 그의 정의는 자본주의에서 가사 노동의 의미를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했다. 1972년로자 룩셈부르크의 <자본의 축적》(Luxemburg, 1913)을 읽은 사람은 베로니카였다. 그녀는 룩셈부르크가 ‘자본 축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고전적 프롤레타리아트를 착취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비자본주의 환경‘도 점점 더 많이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어떻게 증명했는지 우리에게 말했다. 그녀는 이 ‘비자본주의 환경‘이 농민, 소규모 수공업자, 일용직 및 식민지 노동자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유엔에서 정한 ‘비공식 부문‘의 착취는 필연적으로 이들의 생계를 파괴한다. - P176

"그것이 자본주의에서 여성의 노동이야." 베로니카는 말했다. "가사노동은 소위 비자본주의 부문에 표면적으로 속할 뿐이야. 자본주의는 농민, 식민지, 자연을 대하는 것과 같은 식으로 (가사 노동을) 착취하고 합리화하는 거야." - P177

로자 룩셈부르크는 페미니스트가 아니었다. 그러나 그녀는 우리가 ‘자급 생산‘이라고 부르는 것을 설명할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 통찰은 나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이론과 실천의 결정적 돌파구였다. 1983년 공동 저서인 《여성, 마지막 식민지》(Bennholdt-Thomsen,
Mies and von Werlhof, 1983, 영문판은 1988년에 출판)에서 이 문제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논의했다.
그러나 우리가 답하고 싶은 이론적 질문은 많이 남아 있었다. 우리의 가설을 검증할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베로니카는 멕시코로, 클라우디아는 베네수엘라로, 나는 인도로 돌아갔다. - P1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