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상하게 2년마다 한 번씩 이사를 가게 되었다. 철마다 발이 간질거리는 철새형이라기보다는 어디에 자리를 잡으면 선뜻 떠나지 않는 텃새형인데, 스스로도 이상하다.

그나저나 이사를 할 때마다 책이 골치다. 이삿짐을 나르는 분들은 책장을 보면 다 상을 찡그린다. 그래서 어지간하면 책도 잘 안 사고 또 툭하면 버리고 나눠주고 해서 꽤 많이 줄어들었는데도 아직도 부담스럽다. 제일 문제는 젊은 시절에 열심히 사고 읽고 했던 책들이다. 마르크스의 저작들은 앞으로 읽을 일이 없겠지 싶으면서도 무조건 챙긴다. 하지만 중국혁명, 제2인터내셔널과 코민테른, 라틴아메리카 혁명사, 종속경제론 등등의 지금은 잊혀진 분야의 책들은 늘 고민이다. 이걸 헌책방에 갖고 갈까? 힘들게 가져갔는데 안 사면 어쩌나? 그냥 내놓을까? 그래도 혹시 필요한 사람이 있을지 모르는데 너무 아깝잖아!... 지난 5,6년간 한번도 들쳐보지 않았으니 앞으로도 볼 일이 없을 성싶다. 그런데도 차마 버리지를 못한다. 미망인지 미련인지... 어차피 이삿날은 코앞. 이번에도 다시 싸들고 가게 생겼다. 그러나 이번엔 이사를 가서라도 큰맘 먹고 헌책방을 가봐야겠다. 혹시 한국 식민지시대사에 관심이 있어 [노동관계자료집]이나 [조선은행사] 영인본이 필요한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니까, 그러면 덩치 큰 책들이 빠진 자리에 재미있는 소설책이며 만화책들을 여럿 꽂아놓을 수 있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스트셀러는 일부러 안 읽는다. 속지 않기 위해서, 바보가 되지 않기 위해서. 하지만 그러다가 가끔 월척을 놓친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이제야 읽고 무지 후회하다. 박민규의 최근작에 비해서 더 솔직하고 열정적인 이 소설이 사랑스럽다.

[연금술사]는 명성에 걸맞게 유려하고 부드럽게 주제를 풀어간다. 하지만 깨달음을 얻기는 어렵다. 깨달음은 깨달음에 대해 읽거나 생각해서 얻는 것이 아니니까.

요즘 한창 지가를 올리는 정이현의 초기작 [낭만적 사랑과 사회]. 읽다보니 언젠가 텔레비전 드라마로 보았던 소설도 있다. 단편들 중에는 수작도 있고 범작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유행코드들과 젊음의 활용을 제외하면 무엇이 새로운지 알 수 없다는 기분. [달콤한 나의 도시]를 벼르고 있었는데 접어도 될 듯.

[부모와 아이 사이]는 아이가 없어도 읽어두면 도움이 된다. 의사소통에 관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랄까. 그런데 교정은 좀 새로 봤으면.

-지난 열흘간 이상의 책들을 섭렵하다. 전체적으로 많이 팔리고 많이 읽혀서 나쁘지 않은 책들이라, 앞으론 베스트셀러에도 눈을 돌려야 할 필요를 느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 이젠 양으로 승부한다!

요 몇 년간 책을 읽는 데 너무 진지했단 생각이 든다. 눈도 아픈데 아무 책이나 읽을 순 없지 하면서, 고르고 골라 한 권씩 읽었다. 밥벌이의 고단함이 책 읽기를 방해한 측면도 있다. 하지만 양질의 책만을 취사선택하겠단 결심에는, 섬세하게 선택된 책만을 골라 읽으면 영혼의 정화를 이루리라는 믿음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그 결과 어떻게 되었느냐? 서재는 쓸쓸해지고, 책값은 줄어든 대신 술값은 늘었으며, 눈은 과다한 TV시청으로 더욱 악화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늘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한다. 일 년에 100권씩의 무식(?)한 목표는 세우지 않겠다. 다만 틈날 때마다 손에서 책을 놓지 않기로 하다.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해선 한 줄짜리 소감이라도 반드시 남기기로 하다. 그리고 좋은 책을 골라 읽기도 하겠지만, 화장실과 지하철을 적극 활용해 온갖 책을 다 섭렵하기로 결심해 본다. 어쨌든 양질 전화의 법칙이 통하지 않는 걸 아직까지 보지 못했으니, 책 읽기 또한 그 기본으로 돌아가야 하겠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