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세기 소년 21 - 우주인 나타나다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본인의 주 관심사는 북조선국의 핵실험 강행에 따른 한반도의 비핵화 정책 폐기와 미일의 북한 압박과 햇볕정책의 위기와 반기문 장관의 유엔사무총장 선출이 한반도와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쩌고 저쩌고 이런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눈 아래 있는 바 본인의 관심은 와인과 일본 만화에 있다. 얼마전에 그 유명하다는 <20세기 소년> 20권을 샀다. 20권이 끝인줄 알고 20권 모두 샀는데, 이런...이런... 21권이 또 있더군. 낭패랄 것 까지야 없지만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
스토리가 탄탄하고 재미있고 독특하다. 만화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각 장마다 과거와 현재가 호상간 교차되는 방식도 특이하고 흥미를 돋운다. 다만 근심스러운 것은 너무 끌다가는 지리멸렬 흐지부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전도 거듭되면 식상하게 된다. 적당한 때에 적당한 곳에서 마무리 하지 못하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된다. 일러 진퇴양난이라고들 한다. 빼도 박도 못한다는 말이다.
처음에는 그놈의 가면속에 숨겨진 “친구”의 얼굴이 몹시도 궁금해 흥미가 진진했었는데, 보여줄듯 말듯 줄듯 말듯하며 장난을 하도 쳐서 나중엔 가면만 보면 확 잡아 째버리 싶은 것이 슬슬 성질이 나더이다. 하다 하다 가면으로도 안되니까 허연 붕대를 칭칭 감고 나오는 것이 지가 무슨 불탄 미이라라도 된단 말가. 이제는 “친구”가 누군지 궁금하지도 않게 되었다. 너무 끌면 오히려 흥미를 반감시키는 법이다. “켄지”가 “친구”라고 해도 별로 놀랍지 않겠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갈 때 친구와 너무 정신없이 떠들다 보면 혹은 아무 생각없이 자빠져 자다보면(버스칸에서 자빠져 자기는 어렵다. 말이 그렇다는 것이지 고주망태가 되지 않고서야 어찌 공공장소에서 자빠져 잘 수 있겠는가) 내릴 역을 지나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재수가 없으면 종점까지 갈 수도 있다. 나중에 다시 돌아올려면 성질 좀 나고 짜증도 좀 난다는 이야기다. 일본만화는 다 좋은 데 끝이 없는 게 문제다. 내릴 때 내려야 하는데 종점까지 막 갈려고 한다. 그건 그런데, 22권은 언제쯤 나올란가. 눈알이 둘러 빠지겄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330511324391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