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영 삼국지 三國志 세트 - 전10권
고우영 지음 / 애니북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본인은 중고딩때 고우영 삼국지(우석출판사간 10권짜리)를 이미 수차례 그야말로 황홀경, 삼매경에 빠져 탐독한 바 있으며, 지금도 비록 삭제판(일명하여 걸레판..쩝)이지만 5권짜리 삼국지를 아쉬운데로 책꽂이에 꽂아 두고는 있습니다

냉정하고 야비한 것 같지만 낡은 전통과 인습을 과감히 거부하는 개혁적 정치가 조조, 명분과 명예를 중시하는 듯 하지만 어딘가 음흉음험한, 심장에 시커멓고 뻐덩한 털이 무성한, 능구랭이같은 유비, 천진무구 단순무식하여 오히려 등장인물 중에 제일 인간적으로 애정이 갔던 장비, 근엄과 지조와 용기와 자존의 화신 관우, 무불통지의 기생오래비처럼 예쁘장한 계집얼굴 제갈량, 귀신같은......

기존의 촉한정통론에 의거한 해석의 반대편에 위치한 조조와 유비에 대한 이러한 견해는 이미 여러사람들에 의해 제기되어왔던 문제입니다만, 제갈공명과 관우의 관계를 라이벌 관계로 설정하고, 제갈량을 불치병 환자(각혈로 보아 폐결핵?)로 묘사한 점들은 참 독특했다는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고우영 개인의 창작인지 어디서 쬐끔 빌려온 것이 있는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공명은 화용도에서 기선을 제압하여 관우의 기를 꺽어놓고....끝내는 관우의 죽음을 방치하는 걸로 고우영은 그리고 있었습니다.

고우영 특유의 그 약간은 시니컬하고 조금은 야~한 유머들, 간간히 나오던 전라 여인네들이 연출하는 그 야리꾸리한 장면들을 보던 재미도 참으로 솔솔했었는데...중고딩 때 그 나이에 말입죠.......물론 지금도 변한 건 별로 없지만서도요.....호색이 어찌 영웅 한량들만의 몫이겠습니까? 글하는 선비라고......헐헐......유홍준이 이미 꿰뚫어 보았듯이 낮 퇴계와 밤 퇴계가 어찌 여일하겠는가....이런 말입죠...

대학들어와서 이문열 삼국지를 읽으면서 고우영 삼국지와 참 많이 닮아있다는 것을 느꼈던 것인데.....그래서 본인은 이문열이 고우영 삼국지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나 요런 생각도 조금은 했더랬습니다. 물론 이문열이라고 고우영 삼국지를 안봤을리는 없을테니까요...70년대 당시 그야말로 낙양의 지가를 올리며 경향각처를 들썩들썩 떠들썩하게해 성인만화의 붐을 일으켰던 그 삼국지를 말입죠.......이문열이 신문지상이나 어데 잡지같은 곳에 고우영 삼국지를 한 번도 언급하지 않은 것 같아 상당히 섭섭하게 생각했던 그런 기억도 나는군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논 2010-08-28 1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붉은돼지님의 이문열이 고우영님의 삼국지에 영향을 받았다는 부분에 절대 공감합니다.
본인이 의식했건 안 했건 간에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