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을 처음 읽은지 거의 2년이 지났다.
다 읽고나서 나는 “이 소설은 두번 다시 읽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했었다.
아무리 소년의 마음의 성장을 표현한다 해도 온갖 고통을 어린 소년에게 들씌운다는 건, 나에겐 못했다.
소설 읽는 독자에 지나지 않는 내가 뭣을 “안한다”, “못한다” 해도 그 내용이 변하는 건 아니니까 매우 어리석은 말이다.
하지만 그래야만 내 마음속에 스며든 이 소설의 모든 등장인물들의 마음이 편안해진다는, 그런 착각에 거의 사로잡혔다.

그런데 며칠전, 문득 그게 아니다는 느낌이 떠올랐다.
주인공 한동구는 말을 많이 하지 않았지만 가족을 매우 사랑하였다.
아직 어려서 어떻게 하면 가족이 모두 편안할까 그 방법을 찾아내지 못하여 고생하였다.
자신도 “난독증”이라는 일종의 병이면서도, 그를 극복하느라 고생하면서도.
엄마를 사랑하였고, 여동생을 사랑하였고, 권위주의적인 아버지도 사랑하였고, 가족불화의 원흉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할머니도 사랑하였다.
그러기에 그의 마지막 결단을 더 따뜻이 봐 주어야 하지 않았던가.
이 소설은 주인공 한동구를 통해서 내가 느끼지 못했던 또 다른 뭔가를 상징하고 있는게 아닐까.

2년만에 읽었다.
오랜만에 읽어 보니 처음 읽었을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주인공 한동구는 이 나라와 이 나라의 국민을 상징하였다는 느낌.
언제나 소란스로운 가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아 그로 인해 “난독증”이 되었던 소년.
그건 마치 70년대 80년대의 우리 나라 국민이 놓인 상황을 상기하게 한다.

한동구는 3학년이 되어서 겨우 박영은 선생님이라는 선녀같은 분을 만나 “난독증”을 해결하게 된다.
그러나 고통은 그걸로 해결하지는 않는다.
무엇보다도 어린 소년이 손댈 수없는 어른들의 다툼은 마음의 성장의 길 앞에 가로 놓인다.
그 과정에서 희생된 것은 돌이킬 수없이 크고 아프고 도저히 일어 설 수 없을 정도로 절망적이었다.
그러나 소년은 오히려 그 절망속에서 성장한다.
소년은 어른들이 이루어내지 못했던 해결책을 제시한다.
소년과 어른들이아픔을 고루 나누는 방법으로.
그리하여 소년은 그의 “아름다운 정원”과 헤어질 각오를 하게 된다.
그 “아름다운 정원”과의 작별은 “환상”에서 벗어나 “현실”을 책임질 이 나라 국민의 각오를 상기한다.

2년만에 읽어보니,이 소년의 절망감이 다시 내 마음속에 스며들어 나의 눈물을 짜내었다.
그러나 동시에 작가의 그 참혹하다고도 할 수 있는 표현의 의도를 좀 알게 되었다고 느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인 2010-06-22 0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윤경씨는 저의 전작주의 작가에요. 그의 작품을 사랑하며 함께 나이먹어갈 수 있는 동갑내기 작가가 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있어요. ^^

ChinPei 2010-06-22 12:08   좋아요 0 | URL
좋은 작품이라는 건 틀림 없는데, 영주가 넘 불쌍해서,영주 잃은 동구가 넘 불쌍해서, 가끔 이 작가를 원망했어요.
그 원망 땜에 별 하나 깎았지요.
그래도 이 작가의 다른 작품도 꼭 읽어 봐야 된다고 느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