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의 탄생 - 현상과 실재, 인식과 진리, 인간과 자연에 던지는 첫 질문과 첫 깨달음의 현장
콘스탄틴 J. 밤바카스 지음, 이재영 옮김 / 알마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반 대중의 평범한 지식이란‘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를 서양 철학의 근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전부였으며, 또한 철학이 우리 인간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여전히 모호한 느낌을 갖는 것이 지극히 정당해 보였다. 그러나 이 저술을 통해 주술적 단계에만 머물러 있을법한 기원전 7세기의 그리스인들의 사유를 접하곤‘철학이란?’하는 본질적 의문이 해소됨을 느끼게 된다.
철학은 바로 “자기인식에 대한 우리 스스로의 욕구, 다시 말해 세계와 삶에 대한 우리자신의 관념과 사유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고자 하는 욕망”이며, 바로 이러한 욕망의 대상에 대한 경이, 경외심, 초시간성이 철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동기임을 알게 한다.
콘스탄틴 박사의 이 저술은 21세기 오늘의 우리 사고체계와 과학의 출발이자 철학이 시작되었던 소크라테스 이전의 기원전 800년에서 200년 사이에 진행된 정신적 과정 속에서“세계사의 가장 심대한 전환기”의 그리스 정신을 그의 탁월한 통찰력과 천재 과학자들과 사상가들을 통해 추상적이고 상상력 넘치는 철학 의 세상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소개되는 10인의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우주의 기원과 현상의 본질에 대한 직관적 사유를 보고 있노라면 그 사고와 통찰력의 천재성에 대해 25세기(2500여년)가 지난 오늘에야 진정 무지함을 깨닫게 된다. “철학은 무지에서 벗어나기 위한”사색임을 겸허하게 인정하게 된다.
이러한 무지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리스의 정신이 스스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진리를 발견 할 수 있다는 통찰에 이르게 된 역사적인 순간은 기원전 7세기에 일어났다!”이 사건이라면 사건인 인류가 심오한 근원(archai)에 도달하려는 노력, 즉 뛰어난 추상능력과 체계화, 주술적 신앙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의지가 시작 된 것이다.
존경하는 이 저술은 이와 같이 인류사에 일대 전환을 가져온 철학의 발상지인 그리스의 사회와 종교, 그리고 신화와 서사시, 서정시, 미술, 지역간의 교류등과 같은 배경에서 인간의 자아의식과 자기인식의 출현에 이르는 배경과 철학적 근간의 요소들을 발견하고,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개관’이라 하여 저술의 본문인 10인의 철학자 개별에 대한 각론에 앞서 친절하게 그들의 우주관과 철학적 본질에 대한 세계의 변화를 연대기적으로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다.
인류 최초의 자연철학자로 불리는 탈레스로부터 시작되는 이오니아 밀레토스 3인의 철학자인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의 만물생성에 대한 최초 기원요소로 물, 무한자, 공기라는 인식에서부터, 영혼, 대립, 필연성과 같은 본질의 사유를 칼 야스퍼스, 하이젠베르그, 포퍼, 베르너 얘거, 스티븐 와인버그 등 석학들의 관점을 인용하여 그 철학적 의미를 보다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피타고라스에 이르러서는 저술자의 서구철학에 대한 자부심이 다소 지나쳐 여전히 신화적이고 주술적인 차원과 완벽하게 결별하지 못했던 당시대의 사유에 대해 “그 자체가 목적이었던 것이 아니라 스스로 확고한 활동적인 삶에 도달하기 위한 준비과정”이었다고 아쿠스마타, 심볼라(비밀표식)을 설명하는 그들의 종교적 삶을 근대 철학의 차원까지 상정하는 듯 미화하기도 한다. 급기야 ‘철학하기’란 “내 삶을 생각하고, 내 생각을 사는 것”이라는 앙드레 콩트 스퐁빌의 정의를 빌어 피타고라스는 이미 철학자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고 추켜세우기도 한다. 흥미로운 발상이고 지루한 철학서에서 이탈하려는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적절한 순간이었다고 치부하고자 한다.
독자들은 이 10인에 철학자들의 개별적 주제를 모두 독파하려하지 않아도 이 저술의 취지나 목적을 상실하지는 않는다. 다만, “하나의 신은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전통종교의 수많은 신들을 대체하는 존재도 아니다”라는 전형적인 부정신학의 대표자였던 ‘크세노파네스’의 인간중심적 이론, “인간의 극단적인 비극성과 숭고한 존엄성이 결합되는 지극히 드문 순간을 목격하게 되는”‘헤라클레이토스’,그리고 “존재란 무엇인가?”하는 이 간단치만은 않은 숨 막히는 질문과 “있다”와 “없다”로 시작되는 존재의 속성, 존재와 비존재, 존재와 진리에 대한 사유로 유럽철학사에 결정적 전환점을 마련해주고, 인식론의 기초를 성립시킨 ‘파르메니데스’, 그리고 우주의 무계획적 생성론으로 후세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던 물리학적 사유의 기원을 마련한‘엠페도클레스’와 당대의 모든 지식을 철학 속으로 끌어들인 보편적 정신이라 일컬어지는 원자론의 ‘데모크리토스’는 꼭 읽어야 할 부분이다.
우리 인간들이 감각하는 세계는 과연 진실인가? 표면적 무질서와 다양함의 심층 속에 있는 질서와 통일, 지속성의 세계를 통찰해낸 그들과 그들의 철학세계를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를 비롯해 러셀, 그리고 맥스웰, 에른스트 마흐, 러더퍼드, 슈뢰딩거, 하이젠베르크에 이르는 현대 물리학의 거장들의 단상과 연구 성과, 철학적, 과학적 결실들을 종횡무진 누비며 들려주는 철학의 심원한 이야기는 실로 탄성을 질러대게 한다. 인식과 진리, 우주와 인간에 던지는 최초의 질문에 대한 깨달음이 무성하게 들려온다. 일찌감치 올해의 책으로 추천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