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1 - 시대를 일깨운 역사의 웅대한 산
한승원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다산(茶山)으로, 그리고 탁옹(籜翁)이기도 한, 여유당(與猶堂) 정약용선생을 인간의 본질, 우주의 근원이라는 원초적 질문에 대한 풀이의 한 가운데 설정하였다. 작가는 19세기 초 조선사회에 일대 정신사(精神史)의 교란을 배경으로 하여 인간의 실존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의 여정으로 우리를 끌어들인다.

1801년 신유사옥이후 다산의 유배생활을 소설적 배경으로 하여, 노론 벽파의 천주교 탄압을 빌미로 시작된 정적의 피비린내 나는 숙청의 시대를 그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한국소설 문학의 많은 작품들이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 팩션이란 형식을 취하고 있듯이, 이 작품이 역사라는 시간성을 차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한 인물에 대한 존경과 풍부한 현학적 성찰을 통해 인간의 극단적인 비극성과 숭고한 존엄성의 결합을 위해 시대적 사건은 지극히 허구적으로 인용되는 정도라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극단적으로 우주와 인간에 던지는 최초의 질문에 대한 갈등과 깨달음과 같은 사색적 견지에서 작품을 대하기에는 다산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그의 행동양식, 사고방식, 신념과 같은 인물성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책1권의 서언격인‘다산비결’의 신비성을 시작으로 『서암강학기』,『도산사숙록』, 『흠흠신서』, 『목민심서』, 『방례초본』(『경세유표』,『다산비결』), 『아언각비』에 이르는 다산의 저술들이 그의 세상에 대한 시선, 즉 “진정한 깨달음은 어짊(仁)이고, 그 어짊은 세상을 환하게 꽃피워 장식하는 사업이다.”와 같이 주제에 녹아 흐른다.

이 작품은 이와 같이 만물생성에 대한 최초 기원요소로 주자학의 5행론(물,불,나무,흙,쇠)과 천주학의 4행론(물,불,흙,공기)의 대립으로부터, 영혼과 같은 본질의 사유를 끌어내거나, 혜장스님이나 초의선사와의 담론을 통해 “하늘의 별은 그냥 별이 아니고 내 눈이 그 별을 만든다 하네,~ 中略 ~ 인식의 차원을 넘어 내 눈의 창조와 개혁을 말 하네”와 같이 인간들이 감각하는 세계는 과연 진실인가? 표면적 무질서와 다양함의 심층 속에 있는 질서와 통일, 지속성의 세계를 통찰하는 철학적 사유체계를 아우르고, 한편은 “아, 덧없다, 꿈이다....그것은 하나의 허방이었다.”로  이 작품의 초입부와 같이 가시적 인간세계에서의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죽음이라는 비극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작가는 “고통이 없으면 세상도 없다. 고통을 비틀어 꼬면 빛이 된다. 그 빛은 깃털 찬란한 새가되어 짙푸른 하늘 한복판으로 날아간다.”고 몇 번씩이나 이 구절을 되뇐다.

또한, 우주율동론으로서의 『주역(周易)』의 등장은 “영기의 율과 음기의 여가 어우러진 소리(律呂)로써 천지를 화합”한다거나, 다산이 곡산군수로의 부임을 앞두고 자아를 진정시키는“향기로운 꽃그늘은 물로써 이기고, 물은 달빛으로 이기고, 달은 해로써 이기고, 해는 밤으로써 이기고, 기나긴 밤은 잠으로써 이긴다.”와 같이 자연의 섭리를 해설하는 수단으로 전편을 장식하고 있다.

작품 속에는 인상적인 싯구들이 꽤나 등장하는데 전편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는 『시경』의 “어여쁜 저 아가씨와 노래 부르고 싶어라, 어여쁜 저 아가씨와 말을 하고 싶어라, 어여쁜 저 아가씨와 함께 얘기하고 깊어라”는 세상사의 논의에 절대적 요소로 정말 멋지게, 심오하게, 적절하게 가슴깊이 새겨지기도 하며, ‘연두색 머리처네와 쪽색의 치맛자락’이 은근한 관능과 인간 본성의 자질로서“비몸살 달몸살”과 같은 예스러움으로 소설적 재미를 놓치지 않는다. 또한, “거문고가 말없이 윤시유의 춤을 즐기고, 기름접시 불이 자지러질듯이 허리를 꼬면서 깔깔거렸다.”는 이 영상적인 문장은 가히 작가의 통찰과 상상력의 위대함을 느끼게 함에 충분하다.

전라도 강진 땅 유배지에서 고향과 가족을 그리면서 다산이 읊는 아래의 詩(청산도)에서와 같이, 작가는 감정을 과장하지 않으면서 정제된 어조로 다산에 대한 근엄한 존경에 행여 누가 될까 한 걸음 한걸음 조심스럽고 올 곧게 걷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청산은 어찌하여 청산인가,

  두물머리 말재의 넋이

  고향의 그리움을 읊어낸 시

  열매로 마디마디에 열려 있어서 청산이지...

         (後略)

다산의 영검하고 웅대한 산에서 혜장스님처럼 길을 잃고 조난당하지 않기 위해 작가는 지난한 노력을 이 작품이란 결실로 내 놓았다. “천명에 따라 살아야 하는 인간은 누구든지 자기를 노예처럼 부려야”함을 손수 실천 하신 듯하다. 작가가 다산을 존경하듯이 우리 문단의 큰 산인 한승원 선생의 이 위대한 작품에 경의(敬意)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