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매
다니구치 지로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19세기 중후반
미국 중서부가 배경이다.
일본 사무라이 두 사람이 거기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연대해
비열한 미합중국과 싸운다는 점이 특이한 설정.
치졸하고 비열하고 비인간적이고 탐욕적인 미국의 모습이 적나라하다.
끝내 굴복하지 않았을 그들의 마지막을 구체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어디서나 사라지고 쫓겨난 사람들의 삶은 서글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튼 2 - 방랑하는 자연주의자, 소년과 살쾡이 시튼 2
다니구치 지로 지음, 이마이즈미 요시하루 스토리 / 애니북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늑대왕 로보 얘기보다 더 좋다.
마음이 시리고 쓰리달까
첫 소주의 기억이랄까
강렬하다.
내가 살기 위해 동물을 죽일 수밖에 없는 숙명을
거의 싯다르타의 본생담처럼 그려냈다.
훨씬 상세하게.
당연히 부처의 가없는 희생과는 정반대로.
죽여야 산다.
15살 시튼은 그렇게 자연을 뼛속 깊이 느낀다.

그런데 표지에도 나오는, 주인공 짐승은 살쾡이가 아니라 스라소니다. 이건 꽤 큰 오륜데 감수도 안 맡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7 - 연산군일기, 개정판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7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 제일의 폭군.
필자는 연산군을 냉철하고 치밀하게 왕권을 추구해 획득한 왕으로 본다.
정사 연산군일기에 나오는,
어느 밤, 임사홍이 왕의 친모 폐비 윤씨의 죽음을 알려주자
그밤에 미쳐 성종의 두 후궁을 때려 죽이고
갑자사화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충분한 근거로 반박한다. 갑자사화 2년 전에 이미 군왕이 첩실의 말을 듣고 왕비를 폐하고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옳으냐 하는 질문을 내리는 등의 사전 인지 사실. 연산군은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려 어머니를 죽음에 이르게 한 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싸그리 모조리 죽인다.

어쨌든 두 사화로 신하들을 왕의 발 밑에 둔, 강력한 권력을 얻었으면, 백성들의 삶을 평안하게 해 주는 쪽으로 한 걸음 갔다면 좋았을 것을. 그는 더 포악한 암군이 되고 말았다.

그러면서 반정 상황을 보면, 너무도 쉽게 쫓겨나는데
권력에 취한 자들은 한결같이 그 뒤를 예상하지 못한다.
희한하다.
얼마 못 가는데 왜 저리 날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헌사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오장환 지음 / 열린책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9년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은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아직도 나의 목숨은 나의 곁을 떠나지 않’았을 뿐.

”주판알을 굴리는 작은 아씨야
너와 나는 빈 지갑과 사무를 바꾸며
오늘도 시들지 않느냐
화병에 한 떨기 붉은 장미와 히아신스 너의 청춘이, 너의 체온이……” <체온표>

생계가 있고
피로가 있겠으나
바닥에 깔린 건 지독한 비애.

“위태로운 행복은 아름다웠고
이 밤 영회(咏懷)의 정은 심히 애절타
모름지기 멸하여 가는 것에 눈물을 기울임은
분명, 멸하여 가는 나를 위로함이라. 분명 나 자신을 위로함이라.” <영회>

“부엉아! 너의 우는 곳은 어느 곳이냐
어지러운 회오리바람을 따라
불길한 뭇 새들아 너희들의 날개가 어둠을 뿌리고 가는 곳은 어느 곳이냐” <황무지>

그는 <병든 서울>을 떠나 1951년에 북한에서 죽었다.
그의 시집을 읽었다는 이유로 멀쩡한 교사 5명 등 9명의 평범한 사람들이 간첩으로 조작돼 실형을 살았다. 1982년에 일어난 오송회 사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자리에 누워 흘러가다 - 박영근 유고시집 창비시선 276
박영근 지음 / 창비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무산의 발문에 인상적인 대목이 나온다.
“그의 나이 스물다섯 겨울이었을 것이다. 그와 내가 처음 만났을 때… 그 당시 나는 기계노동의 습관이 뼛속까지 절어 있었고, 제복과 규율이 어울리기까지 했고… 그를 보자마자 통쾌했던 것 같다. 그는 행색만으로도, 말 한마디 하지 않고도, 기계노동의 덫에 온몸이 결박된 나를 그야말로 단숨에 ‘조져’버린 것이다… 그 자리에는 주사께나 부리던 기인들이 있었는데, 기인이라고는 하지만 자신의 무능과 게으름과 방종에 시대의 아픔으로 알리바이를 삼고 사는 속물적 기인들이었다. 그보다는 나이가 한참들 윗길이었으나 내가 자리할 무렵 그는 이미 ‘기인들’을 다 제압하고 있었다. 기인들은 달아날 궁리나 하고 있던 차에 내가 들어서니 슬금슬금 빠져버렸다.”

박영근의 오똑한 면모가 잘 보인다. 주워들은 이론과 글발에 약간의 반독재 정도를 버무려 잘난 척하며 기행이라 말하지만, 성추행을 넘어선 만행을 일삼던 몇몇의 소위 기인들과 그들의 추종자와 벗들은 아마 박영근과 백무산 같은 진짜 ‘밑바닥 인생’을 만나면 사족을 못 썼으리라.

박영근은 16살 고1 나이에 부조리한 사회를 고민하고 억압적인 학교생활을 뛰쳐나와 바로 사회에 나와 독재와 자본주의와 투쟁한 사람이다.

“1983년 용산구 남영동 소재 번지 미상의 어둠속에서
낯선 술래가 되어 나를 찾기 시작한 거예요

(욕조에 쏟아지는 물속에 머리를 처박고….
비명을 지르며….
아, 내가 쓴 자술서를 믿어만 준다면)” <자술서> 32-33

이 시집에서는 이 시에만 엄혹한 시절의 고통이 잠깐 나온다.
2006년에 향년 48세로 돌아가셨고, 이 시집은 생애 마지막 4년 간의 작품을 모아 놓은 것이다. 그는 이미 과거에 머물러 있지 않았다.

“(제발 80년대니 90년대니, 그런
헛소리로 나를 불러내지 말아요
나는 지금 2000년대의 근사한 헛소리를 씹고 있고
달콤한 똥을 싸고 있다구요)” <낡은 집> 46

그의 서두른 죽음이 아쉬운 것은
아래와 같은,
싸우는 자의 관조가
얼마나 깊어지는지
어떻게 변해가는지
너무나 궁금하기 때문이다.

“옛날도
훗날도 없다

시간의 경계 위에서 늙어가는 길이 있을 뿐

늘 오늘이듯
풀들은 저렇게 자라고
내 마음에 그득해지는 눈무신 여름빛 등성이
밤을 새워 슬레이트 지붕을 두드리던

빗소리는 발자국 하나 없다

무덤이 꽃을 피우는
이 짧은 한나절이
문득 바람에 기우뚱 넘어지기도 하는 것을
나는 웃으며 바라본다”. <마야꼬프스키> 25

생의 어디쯤에서 나의 사랑도
썩을 대로 썩어
온갖 수사와 비유를 벗고
저렇게 낮은 목소리로
세상의 캄캄한 구멍을 울릴 수 있을까
간절하게 나를 부를 수 있을까 - P28

겨울 선두리에서 1



강화 앞바다 선두리
갯바람에 기울어가는 폐가 몇채
돌담가에
옛일처럼
사철나무들 마냥 푸르러가고

찬 노을이 내린다
뻘길을 더듬는 사내의 캄캄한 뒷등에,
온통 소주에 취해가는
유행가 속에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