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자이너 생각위를 걷다
나가오카 겐메이 지음, 이정환 옮김 / 안그라픽스 / 2009년 10월
평점 :
디자이너들이 많이 읽는 책이라 해서 기대를 가지고 보았는데 도대체, 왜, 무슨 이유로 이 책이 업계의 스테디셀러란 명성을 가지게 되었는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일본의 유명 디자이너가 수년에 걸쳐 쓴 일기를 모아 엮은 책인데 '디자이너'의 일기라기 보다는 '사업가'의 일기에 더 가깝다. 저자는 자기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인데 그래서 디자이너로서의 정체성보다는 사장으로서의 정체성을 더 강하게 가지고 있다는 것이 글에서 여실히 느껴진다.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회사를 더럽히는 행위는 자신의 이력을 더럽히는 행위와 같다.'
'회사를 무대라고 생각하자. 배우는 무대에서 연습은 하지 않는다.'
자기계발서에 나오는 말이라면 아무렇지 않을 문장들이지만 나는 저런 문장들을 보려고 디자이너의 생각 운운하는 거창한 제목의 책을 읽는건 아니란 말이다. 디자이너로서의 폼은 잡아야 겠다 싶었는지 자꾸 '사회'이야기를 가지고 나오는데 일기 읽어보면 그닥 사회적 의식이 있는 사람인거 같지는 않다. 그가 이야기하는 사회란 사장님이 바라보는 '시장'으로서의 사회에 한정되는 듯.
의식을 가진 디자이너의 입에서 자주 흘러나오는 말은 '해외로 나가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잡지에 얼마나 자주 소개되는가에 따라 매상이 크게 올라가고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 해도 '팔리지 않으면' 유지될 수 없다. ...어제 텔레비전에서 일본인의 수준이 낮아지고 있는 이유는 '융통성 교육'이라는 미국의 교육을 모방한 제도 탓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미국식 스타일은 무분별할 정도로 마구잡이로 도입되었다. '마케팅','효율화','가족을 소중히 여긴다','사생활에 충실한다.','파티','유연성','결과주의','유명인','럭셔리'등. 그 결과, 미국에 필적할 만한 범죄국가로 변모했고, 직장이 없이 아르바이트나 하는 청년들이 급증했다. 소비 또한 저하되었다. p.302
아르바이트'나' 하는 청년들이라니..70.80대 할아버지도 아니고 30대 디자이너가 저런 소리를 버젓이 써재끼고 있는 걸 보니 100엔샵 다이소 물건으로 연명할 망정 그의 디자인은 절대로 구매하지 말아야 겠단 생각이 들었다. 인간에 대한 애정이 없는 사람의 창조물에 어떤 가치가 있단 말인가? 게다가 무식하기까지 하다.
물롱, 인간이란 완벽할 수 없으니까 그에게 너무 큰 기대를 가지면 안될지도 모른다. 저런 것에 신경쓰기 보단 '디자인'이야기를 더 파고드는게 더 나은 독서방향일 것이다. 하지만 디자인에 대한 철학이나 사고를 읽어내기에 그의 일기는 한없이 가볍다. 일본의 유명 그래픽 디자이너가 아니라 동네 인쇄소 아저씨가 한 말이라고 해도 별 이상할 게 없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소리만 하고 있다.(+자기계발서같은 소리들) 그리고 잘 나가는 디자이너라 그런지 더러운 성깔도 여기저기서 가감없이 드러내 주신다.
미술대학에 비상근강사로서 강의를 하러 갔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작품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우송해 달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우송방법은 다양했다. 그중에는 dvd나 mo형식으로 만들어 우송하는 학생도 있었다. 그러나 나에게는 dvd나 mo드라이브가 없었기 때문에 나는 그 학생의 작품을 볼 수 없었다. 며칠 수 그 학생에 게 "보지 못했다."고 말하자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면서 울상을 지었다. 하지만 학생과 나 하이에 "dvd를 사용하고 계십니까?"하는 대화를 나눈 적은 없었다. ...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나 상식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대학 강사는 당연히 dvd플레이어를 가지고 있어야 할까. p.179
강사가 dvd플레이어를 가지고 있어야 하냐고 묻는다면 내 대답은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이다. 산속에 처박혀 순수 회화하는 사람도 아니고 비즈니스 하고 컴퓨터로 그래픽 디자인 하는 사람이 dvd플레이어를 가지고 있지 않으리라 생각하는게 더 비상식적인 일 아닌가? 진정 학생을 가르치려는 '배려'와 '의지' 그리고 학생을 돌보고 이끄는 것이 선생의 본분이라는 '상식'이 있었더라면 저렇게 자신의 학생을 들먹이며, 자신은 한점의 과오도 없다는 듯 남을 훈계하는 글을 쓰고 있지는 않았을 텐데...(부끄러운 줄 아세요.) 그리고 이어지는 맥락에서, 그의 동양인.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 역시 내가 과연 일본인의 사고방식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인지, 디자이너의 철학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인지를 헷갈리게 만들었다.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 남과의 관계에서 내가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등등을 아주 심도깊게 기술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독자가 디자이너의 책에서 기대할 법한 내용들-디자인의 originality를 창조하는 어려움이라던지, 스스로를 외부와 단절시켜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과정 등등-과 정반대의 것들이라 뭥미?뭥미?의 연발을 멈출 수 없었다.
애초에 저자는 일기가 뭔지 모르는 사람임에 틀림없다. 본래 일기란건 한번 써갈긴 담에 아무도 못보게 어디 깊숙한 곳에 던져넣려야 하는 것인데 이 아저씨의 일기는 누구에게 보여주려는 자의식이 너무 과해서 안쓰러울 정도이다. 왜 일기에서 매일매일 사장 마인드로 디자이너는 이래야 하고 회사에서는 이래야 하고 should.must등 남의 이야기만 하고 있냔 말이다. 자기 성찰이 없는 일기가 무슨 일기냐... 일기를 모욕하지 마세요.
별 하나 평점에 충실한 리뷰를 마치며, 정리하자면 이 책이 필요한 사람은 더러운 직장생활 못참겠다며 뛰쳐나가 창업할 생각으로 가득찬 디자이너들이다. 디자이너에서 사장님으로의 마인드 개조 청사진을 보고 싶다면 추천. 나처럼 괜히 디자이너도 아닌데 멋진 디자이너의 무언가를 느끼고 싶어 본다면 실망할테니 그냥 보지 말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