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16
김만중 지음, 정병설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운몽(九雲夢)],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구운몽>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있다. ‘일장춘몽(一場春夢) 인생무상(人生無常)이다. 그래서일까? ‘세상의 부귀영화가 한 순간의 꿈과 같이 허무하다는 것은 <구운몽>을 읽은 사람이라면 당연히 느껴야 할 암묵적인 약속처럼 되어 있다.


문학동네판 <구운몽>을 번역한 정병설 교수도 해설에서


대개 <구운몽>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말이 일장춘몽(一場春夢)’이다. ‘인생은 일장춘몽이다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작품으로 보는 것이다. [p. 407]


라고 얘기하고 있다.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은 우리가 학창시절에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이 쓴 <구운몽>에 대해 배운 내용 때문일 아닐까? 인간 세상의 부귀영화가 한낱 꿈이었음을 깨달은, 육관대사(六觀大師)의 제자 '성진(性眞)'이 불법(佛法)에 정진(精進)하고 ‘8선녀가 불교(佛敎)에 귀의(歸依)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소설로 기억하고 있으니까. 그러니 <구운몽>을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얘기하는 소설로 이해하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여기에는 저자인 김만중이 예학(禮學)의 대가로 조선 중기 서인의 정신적 지주였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증손자이자 왕비의 작은 아버지로서, 또 청요직(淸要職)의 우두머리 격인 사간원의 대사간(大司諫), 사헌부의 대사헌(大司憲)과 홍문관의 대제학(大提學)을 모두 역임한 관료였지만, 당쟁에 휘말려 떠난 유배지에서 이 작품을 썼다는 배경도 한 몫 한다. 유배지에서 그가 느꼈을 유가적(儒家的) 욕망의 허망함도 여기에 담겨있을 테니까.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 책을 그렇게만 읽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간절한 연애시로 볼 수 있다면, 김만중의 <구운몽>도 다르게 볼 수 있지 않을까? 굳이 <구운몽>을 불교적인 제행무상관(諸行無常觀)에서 온 인생무상을 주제로 한 작품이라고 본 박성의(朴成義)1)<구운몽>의 환몽구조(幻夢構造)<금강경(金剛經)>의 공()사상이 강력하게 반영되었다고 주장하는 정규복(丁奎福)2) 등의 견해를 따를 필요가 있을까?


그래서 문학동네판 <구운몽>을 번역한 정병설 교수가


오랫동안 <구운몽>은 학교에서 잘못 교육되었다. 아니 학계에서 잘못 이해했다. 남녀의 사랑과 인생의 즐거움을 그린 작품을 허무주의적 깨달음을 주는 작품으로 잘못 이해했다. ‘일장춘몽인생무상의 연장선상에 있는 불교의 () 사상’, ‘금강경 사상등이 모두 작품의 주제라기보다 장치 또는 장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주제로 보았으니 본말이 뒤바뀌어 작품을 제대로 읽을 수 없었던 것이다. [p. 408]


라고 얘기한 것에 공감하게 된다.


다만 나는 저자가 소설을 쓰게 된 배경 등을 다 치워버리고 순수하게 <구운몽>의 주인공 성진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조금 더 다르게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리 자신이 원해서 그 길을 선택하고 걸어간다고 해도, 살다 보면 이 길이 맞을까?’ 걱정하고 머뭇거릴 때가 있다. 성진이 8선녀를 만나 마음이 흔들렸던 것도 그런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런 순간 마음을 다시 잡고 자신이 선택한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일종의 성장 소설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가수 아이유의 노래 <분홍신>


내 운명을 고르자면,

눈을 감고 걸어도 맞는 길을 고르지


라는 구절이 있다. 이 노래의 작사가인 김이나는 이 가사에 ‘아이유에게 보내는 최선의 응원’을 담았다는 얘기를 했다. 아이유 본인도 힘들 때마다 이 구절을 떠올리며 버텨낸다고 한다. 우리도  <분홍신>의 가사처럼 내가 선택해서 걷는 길이 맞다는 확신을 늘 가질 수만 있다면, 살아가면서 만나는 인생의 굴곡을 보다 쉽게 버티고 지나갈 수 있지 않을까?


또 하나 더 얘기하자면, 이 소설을 장르소설에서 흔히 사용하는, 환생 등의 방법으로 이세계(異世界)를 여행했다가 귀환하는 이야기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현실과 꿈의 설정이 다소 역전적(逆轉的)이기는 하지만, 양소유(楊少游)로 환생한 성진(性眞)당시 사대부가 꿈꿔왔던 이상적인 삶을 누렸던 것은 명백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당시의 독자들은 <구운몽>의 주인공 양소유가 현실적인 욕망을 끝없이 누리며 즐기는 모습에서 대리만족 같은 것을 느끼지 않았을까? 어쩌면 양소유의 활약을 읽으면서 매일매일의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 순간의 위안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사실 <논어> <맹자> 같은 인문고전도 아닌데 소설을 읽으면서 무엇을 배울까 혹은 어떤 교훈이 있을까 찾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입시 혹은 시험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그렇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입시 혹은 시험이 끝났다면 더 이상 평가를 위해 소설을 읽을 필요가 없다. 억지로 꿈을 가지라고 강요하는 것처럼, 소설을 읽고 무언가 배울 것이 없나 눈에 불을 키고 바라볼 필요가 있을까? 그저 소설을 읽으며 작품에 몰입하고 즐거움을 느꼈다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지 않을까? 소설은 그저 소설일 뿐이고, 독자의 수만큼 그 소설에 대한 해석 혹은 감상도 존재할 테니까.



[구운몽(九雲夢)]은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구운몽>은 흔히 현실--현실의 구조로 이루어진, 몽자류(夢字類)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환몽구조(幻夢構造)의 작품은 <구운몽>이 최초는 아니다. 시간적으로 앞선 것만 해도, <삼국유사>에 실린 조신(調信)의 꿈’, 중국의 철학자 장자(莊子)호접몽(胡蝶夢)’ 이야기와 불경(佛經) 중 하나인 <잡보장경(雜寶藏經)>에 실린 사라나비구(娑羅那比丘)>’ 이야기 등이 존재한다. 또한 <구운몽>에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나라의 전기소설(傳奇小說)인 심기제(沈旣濟, 750~800) <침중기(枕中記)>도 있다.


그렇다고 <구운몽>이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만은 아니다. 우선 국내만 따져도 전체적인 구조가 남영로(南永魯, 1810~1857) <옥루몽(玉樓夢)>, 탕옹(宕翁) <옥선몽(玉僊夢 혹은 玉仙夢)> 등 몽자류(夢字類) 소설에, 양소유의 여장탄금(女裝彈琴)’ 에피소드는 <임호은전(林虎隱傳)>, <장국진전(張國振傳)>, <여자충효록(女子忠孝錄)> 혹은 <김희경전(金喜慶傳)> 등 영웅 소설 혹은 군담(軍談)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구운몽>은 일본으로 건너가 고미야마 텐코[小宮山天香, 1855~1930]에 의해 <무겐[夢幻]>(1894)으로 번안(飜案)되기도 했다.


전통을 묵수(墨守)하지 않고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전통을 제대로 지키는 것처럼, <구운몽>환몽구조에 영향을 받되, <구운몽>의 번안에 그친 고미야마 텐코의 <무겐>과 달리 자기 것으로 소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구운몽>은 소설 자체로도, 영향력으로도 꽤나 독특한 지위 혹은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 박성의,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 연구 한국고전문학 배경론의 일환으로서 –”, <아세아연구> 12 4(1969), p. 51

2) 정규복, <구운몽 연구>, (고려대출판부, 1974), p. 2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로하, 나의 엄마들 (반양장) 창비청소년문학 95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나은 삶을 위해 팔려간 신부가 되다

 

버들의 아버지, 강 훈장은 과거에 급제해 몰락한 집안을 일으키고 썩은 세상을 바꾸려고 했다. 하지만, 그가 초시(初試)에 합격한 후 과거제도가 폐지되었다. 양반이 직업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과거가 폐지되자 그는 갑자기 먹고 살길이 없어졌다. 운 좋게도 소 장사로 돈을 벌어 양반 신분을 산 어진말의 안 부자가 훈장으로 초빙해서 비로소 강 훈장은 곤궁한 처지를 벗어날 수 있었다. 주천에 보통학교가 생기자 강 훈장은 맏아들과 버들을 보내 신학문을 익히게 했다. 하지만 버들네 가족이 누릴 짧은 행복은 강 훈장이 일제에 대항해 의병 활동을 하다가 목숨을 잃고, 이어 맏아들도 길에서 행인들을 괴롭히는 순사에게 대들었다가 말발굽에 채여 세상을 떠나면서 사라졌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지자 여자라는 이유로 버들은 학업을 그만두어야 했고, 이후 남동생들이 학교에 가는 것을 보며 부러워했다.

그러던 어느 날, 일년에 한 두 차례 버들네 집을 방문하던 방물장수 부산 아지매가 사진결혼을 권한다. 먼 나라, 미국의 포와(布?, Hawaii)라는 동네에 사는 9살 연상의 서태완이라는 사내였다. 버들에게는 다행스럽게 단짝친구였던 홍주도 사진결혼을 하기로 했다. 남편의 사별 후 산송장처럼 살아야 하는 과부의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부산 아지매 집에서 그녀들은 또 한 명의 사진 신부를 만난다. 수리재 무당 금화의 외손녀 송화였다.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의병의 딸, 과부, 무당의 손녀라는 핸디캡을 가진 그녀들은 더 나은 삶을 꿈꾸며 포와로 가는 이민선에 올랐다.

 

하와이에서 일한 돈을 고향에 보내 주고 공부도 할 수 있다는 방물장수의 얘기와는 달리 하와이에서의 삶은 신랄(辛辣)했다. 사진 결혼은 결혼 상대방의 조건은 물론 외모도 사진 속 모습과 다른 경우가 많았다. 자유연애 같은 결혼을 꿈꾸는 홍주는 연상의 남자를 선택했지만 막상 남편으로 나온 것은 자기보다 서른한 살이나 더 많은 마흔아홉의 조덕삼이었다. 천대받던 무당 외할머니의 손녀라는 처지에서 벗어나 새 삶을 꿈꾸었던 송화도 허리가 구부정하고 머리카락이 허연, 게다가 게으르고 노름하고 술주정이 심한 박석보가 남편으로 나타난다. 버들은 그나마 사진 속 모습과 똑같은 스물여섯 살 서태완을 만난다.

 

 

버들 가족의 정착 과정과 하와이 교민의 삶

 

하와이는 흔히 외교독립론을 펼친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 1875~1965)의 텃밭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무장투쟁론을 주장한 우성(又醒) 박용만(朴容萬, 1881~1928)가 하와이로 건너가 1913년 1월에 지방자치규정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5월에는 하와이 지방정부로부터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이하 ‘하와이 지방총회’)를 자치기관으로 인정받아 새로운 무장투쟁의 근거지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먼저 모든 회원에게 사실상 세금인 국민의무금을 받아 재정을 충실히 하였고, 여기에 파인애플 농장의 도지권(賭地權)을 제공한 박종수 등의 후원을 바탕으로 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과 군사학교를 창설하였다. 1919년에 수립된 상해 임시정부에 앞서 하와이에서 사실상의 임시정부를 수립한 것이다.

그러나 1915년 연합군의 일원이었던 일본의 항의로 특별경찰권이 취소됨으로써 하와이 한인사회의 자치권이 박탈되고 군사훈련이 중지되었다. 설상가상으로 파인애플의 흉작 등으로 재정이 악화된 상태에서 농장주마저 계약을 취소하자 결국 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은 해체된다. 여기에 그가 하와이 정착을 도와준 의형제 이승만과의 대립은 또 하나의 타격이 되었다. 1915년 하와이 지방총회 총선거에서 박용만계의 김종학이 압도적 표차로 당첨되자, 이승만은 개혁을 명분으로 사실상의 쿠데타를 통해 하와이 지방총회를 장악하여 사조직화하였다. 이로서 무장투쟁을 위해 박용만이 하와이에 마련한 기반은 의형제였던 이승만에게 모두 탈취당했고, 두 사람의 지지자들은 거의 원수가 되었다.

 

<알로하, 나의 엄마들>에서도 박용만 지지자[1919년 3월 이후 독립단]와 이승만 지지자[1921년7월 이후 동지회] 간의 갈등이 여러 차례 묘사되고 있다. 소설 속에서는 이미 이승만 지지자들이 압도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기에 박용만 지지자인 서태완은 이승만 지지자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한다. 카후쿠(kahuku)에서는 서태완이 관리하던 농장에서 일하던 이승만 지지자들이 이탈하고, 호놀롤루(Honolulu)로 이사한 후에는 서태완이 이승만에게 불리한 기사를 썼다고 해서 이승만 지지자에 의해 테러를 당한다. 끝내 서태완은 박용만을 따라 만주로 가서 통의부(統義府) 의용군으로 활동한다. 그리고 총상으로 다리를 다치고 천식에 걸려 돌아왔다.

 

버들의 아버지 강 훈장도, 큰 오빠도, 심지어 남편도 독립운동을 위해 스스로의 삶을 던졌다. 이들의 투쟁이 가능했던 것은 그들을 뒷받침했던 여성들의 희생덕분이었다. 버들의 어머니 윤씨도, 버들도. 그녀들의 헌신이 없었더라면, 그녀들에 대한 신뢰가 없었더라면 누가 독립운동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었을까?

 

버들은 감히 하올레[=백인]의 일원인 롭슨가의 안마당에 들어갔다는 이유로 해고당한다. 그녀가 겪은 수난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그녀는 생계를 위해 일본인 재봉소 옆에서 조선 문양의 자수품을 팔았고, 이를 시기한 재봉소의 일본인은 그녀의 아들 정호에게 아들이 대야의 물을 뿌렸다. 갑자기 물벼락을 맞은 아들을 위해 제대로 항의조차 못하는 그녀를 보면 나라 잃은 백성의 분함과 서러움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그녀들이 항상 이런 고난을 겪는 것은 아니다. 기혼자라는 사실을 속이고 결혼한 남편을 버린 홍주와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만주로 떠난 남편을 기다리는 버들이 함께 세탁소와 재봉소를 운영하기도 했다. 마치 한겨울에 잠시 따사로운 햇살을 즐기는 것 같아서 미소를 짓게 하는 부분이었다. 누군가에 의지하는 삶이 아니라 스스로 쟁취하고 나아가는 삶을 사는 모습은 언제, 어디서나 아름답게 보일 수 밖에 없다.

요즘도 결혼 후 스스로의 삶을 위한 시간을 갖지 못하고 누군가의 남편, 아내, 아빠, 엄마로 사는 경우가 있다. 아니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가족을 위해서라는 핑계로 제법 많은 이들이 현재의 삶을 희생하고 있는 경우가 제법 있다고 알고 있다. 하물며 일제 강점기, 아니 1917년에야…….


만약 이야기를 이어갔다면 대하소설이 될 것 같아서였을까? ‘판도라의 상자챕터 이후 작가는 서둘러 화자를 버들에서 펄로 바꾸고 글을 마무리했다. 그래서 버들의 딸로 살아온 펄[=진주]의 이야기를 통해 그녀들이 어떻게 낯선 땅에 뿌리를 내렸는지를 짐작할 수 밖에 없었다. 생략되어 제대로 알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낯선 땅에서도 연대를 통해 버티고 뿌리내린 그녀들의 삶에 삼가 경의를 보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을 만나러 간다 뉴욕 도시의 역사를 만든 인물들
베티나 빈터펠트 지음, 장혜경 옮김 / 터치아트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대도시가 그러하듯 뉴욕 역시 도시의 인상을 좌우하는 것은 건물이 아니다. 그곳에서 태어나고 죽었거나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이다. 이 책에서 소개할 20명의 뉴요커들은 뉴욕을 찾아온 당신에게 여행 가이드처럼 친절하게 뉴욕을 안내해 줄 것이다. [p. 7]



뉴암스테르담에서 뉴욕으로


널리 알려져 있듯이 뉴욕의 전신은 네덜란드의 식민지 뉴암스테르담이다.

네델란드인들은 영국의 미 대륙 지배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식민지를 건설했지만 운영 비용은 최소화하고자 했다.

~ 중략 ~

게다가 북미는 향신료나 설탕, 차같이 뚜렷한 경제적 수익 모델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지역이었다.1)


그러다 보니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뉴암스테르담은 서서히 와해되고 있었다. 이에 네덜란드에서는 피터르 스타위버산트(Pieter Stuyvesant, 1612~1672)을 총독으로 임명하여 질서 회복을 꾀했다. 그는 뉴 할렘으로 가는 도로를 닦고, 항만 시설을 넓혔으며 인디언과 영국인의 침입을 막기 위해 700미터 길이의 담을 쌓는 등 낙후된 작은 항구를 소도시로 변화시켰다. 그의 노력으로 기반이 닦이고 성장하던 뉴암스테르담에 1664년 영국인이 침략했다. 이때 뉴암스테르담은 이미 18개 언어가 사용2)되는 코즈모폴리턴의 도시로 변했기에, 식민지 총독이 항전(抗戰)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영국의 식민지 뉴욕이 되었다.



예술가의 성지(聖地)


New York! ‘예술가의 성지(聖地)’라고도 불리는 도시.


먼저 음악부터 보면, 이곳 뉴욕은 전위적이거나 기존의 흐름을 깨는 음악이 많이 탄생한 곳이다. 예컨대 1970년대의 펑크 록, 1990년대의 얼터너티브 등은 이를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대중음악의 판도를 바꿨다고 평가되는 영국의 전설적인 록밴드 비틀즈의 존 레논(John Lennon, 1940~1980)가 비틀즈 탈퇴 후 정착해서 솔로 활동한 곳이기도 하다. 그는 뉴요커보다 더 뉴욕을 사랑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뉴욕을 좋아했다고 한다.


또한 뉴욕은 재즈의 도시라는 별명에 맞게 재즈 문화를 꽃피운 곳이기도 하다. 재즈 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루이 암스트롱(Louis Armstrong, 1901~1971)이 살았던 퀸스의 저택은 이제 뉴욕을 대표하는 유명인의 흔적을 따라가는 여행코스에 포함되는, ‘루이 암스트롱 하우스 박물관이 되었다.


미국의 클래식 역사에 있어서도 뉴욕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바로 유럽 클래식과 미국 재즈를 섞어 가장 미국적인 재즈 심포니 <랩소디 인 블루(Rhapsody in Blue>(1924)를 작곡한 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 1898~1937) 덕분이다.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이끈 레너드 번스타인은 <랩소디 인 블루>


이것은 살아 숨 쉬는 미국이다. 조지가 너무나 잘 알았던 미국의 대도시 생활, 미국 사람들, 미국의 라이프스타일, 미국의 힘, 미국의 위대함이다.” [p. 44]


라고 정의했을 정도다. 그의 또 다른 걸작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1935)도 가장 미국적인 오페라 혹은 뮤지컬로 꼽힌다.


고전을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는, 뉴욕판 로미오와 줄리엣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1957)를 작곡한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1918~1990)는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도 유명하다.


영화 쪽으로 눈을 돌리면,

우디 앨런(Woody Allen, 1935~ )의 가장 우아한 뉴욕 영화라고 하는 <맨해튼>(1979)


“1, 그는 뉴욕을 숭배했다. 아니 터무니없을 정도로 그곳을 우상화했다.” 자신이 얼마나 뉴욕을 사랑하는지 고백하는 아이작의 내레이션으로 시작하는 인상적인 도입부[p. 115]


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디 앨런이


나에게 뉴욕은 항상 마법과 흥분, 기쁨의 장소다. 뉴욕이 아닌 다른 곳에서는 절대 살고 싶지 않다.” [p. 110]

라고 말하는 것도 당연하게 들린다.


외적 역할과 내적 감정을 녹여 하나로 만들라는 콘스탄틴 스타니슬라브스키(Константи́н Станисла́вский, 1863~1938)의 이론을 기초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활용해 더욱 확대, 배역에 완전히 몰입하는 ‘메소드 연기(method acting)’ 기법을 창시한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 1901~1982)도 빼먹을 수 없다. 그가 책임자로 있었던 연기의 명당 액터스 스튜디오(The Actors Studio)’  리 스트라스버그 연기학교(The Lee Strasberg Theatre & Film Institute)’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비열한 거리(Mean Streets)>(1973), <대부 2(The Godfather: Part 2)>(1974), <택시 드라이버>(1976), <성난 황소(Raging Bull)>(1980) 등으로 유명한 로버트 드 니로(Robert De Niro, 1943~)는 뉴욕 최고의 성격 배우로 꼽히며, 현대의 뉴욕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도 불린다.


문학부분에서는 <뉴욕 3부작(The New York Trilogy)>(1987), <달의 궁전(Moon Palace)>(1989)으로 유명한 폴 오스터(Paul Auster, 1947~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The Blindfold)>(1992)시리 허스트베트(Siri Hustvedt, 1955~ ) 부부,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1948)의 작가이자 마릴린 먼로의 3번째 남편으로도 유명한 아서 밀러(Arthur Miller, 1915~2005), 1940년대 초 맨하탄의 아파트에 세 들어 사는 시골 출신 젊은 여성의 삶을 그린 <티파니에서 아침을(Breakfast at Tiffany’s)>(1958)을 쓴 트루먼 커포티(Truman Capote, 1924~1984) 등이 있다.



뉴욕을 만든 또 다른 사람들


아메리카 드림의 성공 신화를 쌓은 D. 록펠러(John D. Rockefeller, 1839~1937)은 스탠더드 오일을 창립, 석유로 막대한 돈을 벌어 미국 최초의 백만장자가 됐다. 그러나 1911년 은퇴를 한 후 자산사업에 몰두했다. 록펠러 센터(1931~1939)와 리버사이드 교회(1927~1933)을 세웠으며, 그의 아들 존 D. 록펠러 2세는 국제연합의 뉴욕 유치를 위해 건설 부지 구입비용 850만 달러를 기부했다.


도시의 어둠을 담당하는 범죄조직을 대표하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마피아의 거물인 찰스 ‘러키’ 루치아노(Charles ‘Lucky’ Luciano, 1897~1962)와 범죄에 대한 강경한 입장으로 도시의 범죄율을 극적으로 감소시킨 뉴욕의 107대 시장 루돌프 줄리아니(Rudolph Giuliani, 1944~ )를 비교해서 보는 것도 뉴욕을 아는 한 가지 방법일 것이다.


이처럼 <그들을 만나러 간다 뉴욕>은 저자가 선정한 20명의 뉴요커에 대한 짧은 전기를 통해, 그들이 뉴욕이라는 도시에 남긴 발자취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동시에 현재의 뉴욕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려는 취지에서 쓰여진 책이다.


뉴욕을 여행할 때, 이들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장소를 중심으로 그들의 삶을 떠올리며 보는 것도 뉴욕을 즐기는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저자가 선정한 20명 가운데 생존인물이 포함되어 있다 보니 시간의 경과에 따라 루돌프 줄리아니처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3)는 점이 아쉽다. 또한 단순한 전기(傳記)들을 모아 엮은 형식이기에 이것만으로 뉴욕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기에는 미흡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차라리 뉴욕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에피소드나 그들의 작품 가운데 뉴욕과 관련된 부분을 강조하여 이를 엮어보는 쪽이 더 인상적인 뉴욕 가이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1) 콜린 우다드, <분열하는 제국>, 정유진 옮김, (글항아리, 2017), pp. 100~101

2) 앞의 책 p. 97에 따르면 뉴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였던 聖 이삭 조그(Issac Jogues, 1607~1646)는 뉴암스테르담의 인구가 500명인데,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18개였다고 추산했다고 한다.

3) 이용욱, “ '법질서 시장줄리아니의 몰락”, <경향신문> 2021.06.25 (https://m.khan.co.kr/opinion/yeojeok/article/202106252035005#c2b)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 박자 느려도 좋은 포르투갈
권호영 지음 / 푸른향기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 박자 느린 여행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차례 봐서 그런 것일까? 왠지 청량한 파란색의 아줄레주(Azulejo) 타일 벽화가 인상적인 이 책의 표지에 친근감이 느껴졌다.

 

이 책, <반 박자 느려도 좋은 포르투갈>은 제목에서 여행의 여유로움이 느껴진다. 그래서 흔들의자나 등받이 의자에 기대고 옆 테이블에 놓인 커피 향기를 즐기며 봐야만 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래서 제목도 신호음이 들리자 마자 허겁지겁 뛰는 것이 아니라 ‘반 박자’의 여유를 가지고 출발하자는 것으로 보였다. 그런데 막상 책을 펼치고 보니

 

한 박자 반 정도 느린 편이다, 나는. 한 박자 서두른 게 분명했는데, 한 박자 반만큼 뒤처지니 다시 그만큼 뒤에 있다. [p. 4]

 

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순간 당황했다. 어? 도대체 어떤 여행을 하자는 거지? 설마 예전에 많은 사람들이 겪어 왔던 패키지 여행처럼 서두르는 여행을 하자는 것인가? 모두다 알다시피 해외 여행을 패키지로 출발하면 게임에서 주어진 퀘스트를 깨는 것처럼 정해진 무엇을 시간에 쫓기듯이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여행’ 자체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여행이라는 과제’를 수행하다가 인증 사진 몇 장을 남기거나 기념품 몇 개를 사오는 것이 여행의 목적이 된 듯한 기분이 들 때가 많았다.

 

다행히 저자의 포르투갈 여행은 한 박자 빠른 여행이 아니었다. 오히려 느리게 혹은 쉬엄쉬엄 순간순간을 즐기는 여행이었다.

 

햇살은 커다란 창이 난 곳으로 하염없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었다. 하얀 커튼 그림자가 출렁거렸다기지개를 쭉 켜고 침대 옆에 놓인 디지털시계를 보니 오전 7시다. 블루투스 오디오를 켰다. 호텔 로비에서 틀어주는 음악을 방에서도 들을 수 있다. 포르투갈에서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잔잔하고도 리드미컬한 노래에 기분이 좋아졌다. 그렇게 30분을 더 가만히 누워있었다[pp. 232~233]

 

그래. 여행이라면 이런 여유 정도는 누릴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여행의 즐거움

 

또 다른 여행의 즐거움이라면 이국적인 먹거리일 것이다.

 

포르투갈에서 사람들은 요리를 하고, 함께 그 음식을 나눠 먹는 데 시간을 쏟는다. 서민들의 삶과 역사가 담긴 식재료로 만든 음식과 와인은 사람들이 많이 모일수록 더 맛있게 느껴진다. 천연 재료의 맛을 살린 담백한 요리가 많은 이유는 직접 잡은 물고기, 직접 키운 야채와 포도처럼 신선한 식재료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포르투갈에서는 음식의 역할이 중요하다. [p. 271]

 

포르투갈’하면 떠오르는 먹거리 가운데 가장 먼저 떠오르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에그타르트다. 포르투갈에서는 이를 ‘나타(nata)’, 정확히는 ‘파스텔 드 나타(pastel de nata)’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래서 에그타르트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저자가 에스프레소 한 잔과 함께 먹으면 행복해진다는, 리스본 벨렘지구에 있는 ‘Pasteis de Belem’1)의 에그타르트의 맛이 궁금해졌다. 그때 함께 마신 에스프레소의 맛도!

사실 꼭 먹어봐야 한다는 음식은 기대치가 높아져서 어지간한 맛에는 실망하게 되기 쉽다. 심지어 나는 마카오에서 로즈 스토우즈 베이커리(Lord Stow’s Bakery [安德魯餠店])’의 에그타르트를 먹고, 맛은 있지만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이 곳의 에그타르트를 맛보지 않고 귀국한다면 세상의 그 어떤 비극보다도 슬픈 일’이라고 소개받은 에그타르트는 불행히도 내 영혼을 사로잡을 만큼 맛있지는 않았다.

 

와인이라고 하면 우리는 가장 먼저 프랑스를 떠올린다. 하지만 포르투갈에도 와인이 있다. 그것도 영국에서 프랑스의 보르도 와인을 대체하기 위해 선택한! 그 와인이 포르투갈 북부 도우루(Douro) 강 상류 인근에서 생산되는 포트 와인이다. 와인을 좋아하는 이들을 위해 수십 개의 와이너리 투어가 있다는데, 저자는 포르투갈 여행기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와이너리 투어에 큰 관심이 없다면 대형 와이너리를 추천한다. 그러면서, 저자가 좁은 골목을 오래 걸어가 발견했던 아우구스투스 와이너리 투어와 같은 각자의 신념과 전통을 이어가는 작은 와이너리의 매력도 피력한다.

 

포르투갈 요리의 대표적인 식재료가 소금절인 대구인 바갈라우(Bacalhau)로 알고 있었는데, 의외로 문어 요리를 찾는 장면도 많이 나왔고, 실제로 거의 매일 문어 요리를 먹은 것으로 보인다.

 

포르투갈에서 매일 먹는 문어 요리는 오늘도 예외가 없다. 운 대구와 오징어, 야채와 감자를 곁들여 식감을 달리하며 먹는 식사는 더 재미있다. [p. 139]

 

알고 보니 문어[Polvo]도 포르투갈 요리의 대표적인 식재료 가운데 하나였다.

 

 

먹거리만 여행의 즐거움이 아니다. 그저 이국적인 먹거리를 음미하기 위해서라면 굳이 여행을 가지 않고, 국내에 들어온 각 나라 요리의 전문점을 방문해도 무방할 일이다. 아무래도 즐길 거리도 있어야 여행에 흥이 난다.

한국의 판소리처럼 포르투갈에도 민속음악이 있다. ‘파두(Fado)2)’라고 하는 이 음악은 판소리와 비슷한 정서를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되기도 한다.

 

첫 파두 레스트랑에서는 두 명씩 온 여행자들에게 4인 테이블을 공유하길 권하면서 빈자리가 없게끔 공간을 꽉 채웠다. 일하는 직원은 느렸고, 사람이 많아 주문이 밀렸다. 고급 레스토랑이 아니었기에 로컬 음식 위주로 파는 것 같았다. 심지어 영어 메뉴가 없어서 심혈을 기울여 골라야 했다. 와인을 마시면서 프랑스에서 왔다는 옆자리에 앉은 두 여행자들과 간단한 일상 대화를 나누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사방이 어두워졌다예상치 못한 순간이 불이 꺼졌고, 어둠 속에서도 분주하게 움직이던 직원은 테이블 위에 음식을 올려놓았다. 오브리가다(감사합니다).”라고 말한 그 순간 어디선가 노래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었다.

목청 좋은 한 파디스타가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때의 강렬한 전율을 잊지 못한다. 여자와 남자가 주고받듯 노래를 하며, 레스토랑 그 좁은 테이블 사이를 조금씩 이동하기까지 한다. 사각지대에 있는 손님을 위한 배려였을까. 둘의 고혹적인 목소리에 빠져들 때쯤 저쪽 코너에서 다른 가수 한 명이 합류한다. 그렇게 또 한 명이 더 합류했고…. 자유롭게 노래하는 파디스트의 향연에 여행자들은 카메라를 꺼냈지만, 아무도 플래시를 터뜨리지 않았고, 아무도 제지하는 사람도 없었다. 어차피 어두워서 사진이 찍히지 않는다는 걸 깨달은 사람들은 그들의 표정과 연주와 목소리에만 집중했다. 밥이 나왔지만 배고픔도 잊은 채였다. 그 작은 로컬 레스토랑에서의 파두 가수들은 식당의 여행자들과 소통하며 노래하고 있었다밝은 노래는 몸짓으로, 슬픈 선율은 눈빛으로 허공에 만들어낸 그들의 손짓과 조심스러운 발걸음으로, 눈을 마주치며, 미소 지으며, 그렇게 마음을 울리며. [pp. 169~170]

 

다만, 그녀가 들은 두 번째이자 보다 고급스러운 레스토랑에서 들은 파두는 그때의 전율을 다시 한번 안겨주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도 좀더 고급지고 세련된 멋을 얻는 대신 서민의 삶에서 나온 날 것의 감정을 놓친 것이 아닐까?

 

마치 홍보대사도 된 듯이 포르투갈 여행을 가는 사람마다 오비두스(Obidos)를 추천했다가 후회했다는 저자의 말처럼, 사람마다 혹은 각자의 상황에 따라 좋아하는 여행지의 느낌은 다 다를 것이다.

 

포르투갈에서 어디가 가장 좋았어?”하는 질문에 지금의 나는 다른 답을 내놓을지도 모른다. 내가 겪고 있는 시절에 따라 대답은 달라질 것이다.

중략 ~

내가 겪은 계절과 당신의 계절의 온도는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p. 122]

 

우리의 삶도 이렇지 않을까?

 

1) 원조 에그타르트 맛집이라는 파스테이스 드 벨렘(Pasteis de Belem)에 대해서는 오봉파리(obonparis)라는 사이트의 포스팅(https://www.obonparis.com/ko/magazine/pasteis-de-belem-lisbon)이 유용하다.

2) 파두(Fado)는 포르투갈을 대표하는 서정적인 분위기의 민속 음악이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사우다드(Saudade)가 서려 있다. 흔히 우리나라의 한(恨)과 비슷하다고 말하곤 하는데 나는 조금 다르게 받아들였다. 원망이나 억울함, 안타까워 응어리진 마음과는 다르다. 향수, 그리움, 열정, 운명, 질투와 슬픔, 좌절과 용기가 어린 그들의 삶이자 정서이다. 그렇다고 한없이 우울해하거나 슬퍼할 이유도 없다. 삶의 질감이 드러나는 목소리로 부르는 것이 파두라는 것일 뿐, 일상생활에서는 ‘오랜만이야. 보고 싶었어’정도의 의미로도 가볍게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하니까. [p. 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주 속 건축 도시 속 건축 시리즈
김태일 지음 / 안그라픽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 속 건축]을 보기에 앞서

 

한 도시의 건축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현재 존재하는 건축물 그 자체만 아니라 그 공간에 축적된 시간까지 함께 들여다보아야 한다. 나아가 그 공간에 살던 사람들의 삶도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건축물과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이다. 이상현 교수가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 1874~1965)의 말을 변형하여 “그들이 건물을 빚어내고, 건물은 우리를 빚어낸다1)”고 말했던 것처럼.

 

그것은 ‘제주(濟州)’라는 공간에 세워진 건축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통적인 제주의 건축물은 초가(草家)와 와가(瓦家)처럼 자연에 도전하고 적응한 결과의 산물이다. 아니, 한국 전통건축의 특징일지도 모른다.

 

중국이나 일본의 정원은 그 경계가 칼로 자른 것처럼 선명하고 명확합니다. ‘여기까지는 정원이고 여기까지는 사람이 앉아서 감상하는 곳’ 그런 식입니다. 경계뿐만 아니라 각 공간의 프로그램도 아주 정확합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정원은 그 경계를 손으로 선을 뭉개놓은 것처럼 아주 흐릿합니다. 심지어 그곳이 정원이지 그냥 풀들이 자라서 만들어진 풀밭인지 구분이 잘 되지 않을 때고 있습니다. 자연의 일부가 인간의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든 것 같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공간이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고 살아 있는 것 같은 역동성이 느껴집니다.2)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권두에 있는 제주의 자연, 역사, 건축문화, 언어[방언] 등에 대한 간결한 소개는 의미 있다. 우리가 제주의 공간에 축적된 시간에 대해 찾아볼 수고를 절약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니까.

 

 

[제주 속 건축]은

 

제주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크게 산남(山南, 서귀포시)과 산북(山北, 제주시)으로 나눈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이를 감안, 서귀포시와 제주시를 각각 세 개의 지역으로 나눠 155개의 건축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제주의 건축물 외에도 각각의 지역을 소개하는 파트의 마지막에 제주를 상징하는 일곱 가지 특별 요소인 오름, 곶자왈과 중산간, 돌하르방, 밭담과 산담, 용천수(湧泉水), 마을의 허한 공간으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사탑(防邪塔), 제주어민이 자발적으로 만들어 관리하는 등대인 도대불 혹은 등명대(燈明臺)를 얘기한다. 왜냐하면, 어떻게 보면 건축물과 상관없다고 여길 이런 요소들에 의해 제주 건축의 개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먼저 ‘서귀포시 서부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알뜨르 비행장(1937), 제주도산 현무암을 사용하여 벽체(壁體)를 쌓고 목조 트러스 위에 함석지붕을 씌우는 등 건축 기술자의 참여 없이 건축될 수 밖에 없었던 한국 전쟁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남제주 강병대(强兵臺) 교회(1952) 등과 승효상(承孝相, 1952~ )의 제주추사관(2010), 안도 다다오[安藤 忠雄, 1941~ ]의 본태(本態)박물관(2012)이타미 준으로 알려진 유동룡(庾東龍, 1937~2011)의 포도호텔(2001)과 방주교회(2009) 등 유명 건축가의 작품이 존재한다.

 

서귀포시 서부지역특히 대정지역은 예로부터 바람이 세고 땅이 거칠어 사람이 살기 어려웠던 곳이다. 그래서 유배의 공간, 항쟁의 공간으로 불린다.

중략 ~

이러한 이유로 서귀포시 서부지역은 조선시대의 유배 문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시기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진 제주의 상징적 공간으로 평가 받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모진 환경에 피어난 추사의 예술혼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의 깊고 짙은 슬픔을 느낄 수 있다. 현재는 이국적 경관에 상업자본이 접목되어 미술관, 박물관, 주거 시설에 이르기까지 국내외 유명 건축가의 작품이 곳곳에 자리 잡았다. 그 덕분에 서귀포시 서부지역 일대는 ‘건축 박물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p. 34]

 

서귀포시 동(洞)지역’에서는 예술적 향취가 물씬 풍기는 기당 미술관(1987)3), 소암 기념관(2008), 이중섭 미술관(2002) 등이 밀집되어 있다.

 

서귀포시 동부지역’에서는 조선시대 정의현(旌義縣)의 중심으로,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그대로 간직한 제주성읍마을과 앞에서 언급한 안도 다다오의 모던하고 아름다운 설계가 돋보이는 글라스하우스(2008), 유민미술관[舊 지니어스 로사이](2008)을 볼 수 있다.

 

제주성읍마을, 성산일출봉과 섭지코지, 우도……. 서귀포시 동부지역에서 기억할 만한 곳이다. 서귀포시 서부지역의 건축에 전통적, 근대사적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면, 서귀포시 동부지역은 수려한 자연경관에 현대적 건축물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곳이다. [p. 90]

 

제주시 서부지역’에서는 선사시대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제주 고산리 유적이 있다.

 

제주시 서부지역은 아주 먼 옛날 이 일대에 정착해 살았던 인류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한경면에 위치한 제주 고산리 유적은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의 문화 연구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p. 190]

 

제주시 동부지역’은 암괴(巖塊)지역에 형성된 숲인 곶자왈, 밭의 경계에 쌓은 담인 밭담, 용암 분출로 생긴 독립된 형태의 기생화산인 오름 등으로 제주의 자연색이 짙게 배어나는 곳이다. 이런 자연환경을 이용, 전략촌으로 건설된 낙선동 4.3성은 ‘제주시 동(洞)지역’의 제주 4.3평화공원 기념관과 함께 건축적 측면을 넘어 역사적으로도 기억해야 할 장소라고 한다.

 

제주시 동(洞)지역’에서는 조선시대 제주지역 행정의 중심지였던 제주읍성 등 탐라와 제주의 역사를 엿볼 수 있다.

 

현재의 제주시 동지역은 과거 제주목이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 1980년대 개발을 시작한 연동, 노형동 일대로 구성된다. 특히 원도심에는 제주 역사와 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흔적이 산재해 있다. 탐라국의 시조에 관한 전설이 깃든 삼성혈, 제주읍성의 관덕정(觀德亭)과 제주목관아(濟州牧官衙) 등이 그러하다. 그 안에는 수천 년의 세월 동안 수많은 이야기가 쌓여 있으며, 고달프고 애절한 민초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옛 골목길, 산지천, 관덕정 광장 등에서 그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제주시 동지역은 그래서 더 흥미로운 곳이다. [p. 134]

 

앞에서 언급한 것들이 한데 어울려 이 책, <제주 속 건축>을 일반적인 여행 가이드북이나 제주 건축물에 대한 백과사전 이상의 것으로 만든다. 만약 특별한 여행을 꿈꾼다면, 이 책 끝부분에 수록된 ‘제주 건축 도보 여행 추천 코스’와 ‘제주 건축 테마별 추천 여행지’를 참조하면 된다. 그리고 이 책에 소개된 155개의 건축물을 대부분의 건축물에 대한 간결한 서술과 특정 건축물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는 서술을 엮어 단짠단짠의 조합처럼 맛깔 나게 소개함으로써 건축에 대한 독자의 견문을 넓혀주려는 시도를 하는 것으로 느껴진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지금 제주건축에는 새로운 고민과 시간이 필요하다. 고유한 건축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제주 건축의 정체성을 단순히 외형적, 표피적 관점에서 모색하려는 사고(思考)에서 벗어나, 건축과 공간의 본질적 문제에 초점을 두고 건축작품을 탐색하려는 실험적 노력이 필요하다. [p. 24]

 

고 말함으로써 제주건축, 나아가 한국건축에 대한 조언을 더함으로써 이 책의 특별함을 더하고 있다.

 

1) 이상현, <길들이는 건축 길들여진 인간>, (효형출판, 2013), p. 36

2) 임형남/노은주, <나무처럼 자라는 집>, (인물과사상사, 2022), pp. 51~53

3) 1987년 개관된 국내 최초의 시립 미술관으로 제주가 고향인 재일교포 기당(寄堂) 강구범에 의해 건립되어 서귀포시에 기증되었다. 서귀포 출신 변시지(邊時志, 1926~2013) 화백의 상설 전시실이 이 미술관을 대표하는 공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