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에서 작년 12월에 방영된 <책의 운명>이라는 프로그램을 짤로 봤다.

제대로 된 프로는 유튜브에도 나오지 않더라.

 

1부는 <종이책의 미래>, 2부는 <독자의 미래>.

 

종이책의 운명은 모두가 걱정하는 대로, 다름 미디어들과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종이책만 책으로 볼 것인가? 아니다. 예전에는 종이책으로만 정보와 지식을 전달할 수가 있었다. 요즘에는 인터넷이 그것을 대신하고 있지 않은가.

 

많은 학생들이 인강으로 수업을 듣고 있고, 요리나 기타 모든 게 인터넷에 소개되어 있는 시절이다. 그런데도 굳이 종이책을 고집할 것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이미 이북도 많이 소개되어 있지 않은가.

 

나는 아날로그형 인간이라 그런지 몰라도 도대체 이북에 정이 가지 않는다. 아마존에서 이북인 킨들이 나왔을 때, 종이책이 4-5년 정도면 사라질 거라고 했는데 종이책은 여전히 건재하다. 나도 이북은 사지도 않을 생각이다. 이북이 어쩌 종이책이 가지는 물성을 대신한단 말인가. 아무리 편리하다고 해도, 난 이북은 영 그렇다.

 

프로그램을 보니, 책을 사고 읽는 이들은 더욱 더 책을 사대고 읽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이들은 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고 한다. 개인의 연평균 독서양이 무엇이 중요하단 말인가. 개인이 책이건 인터넷이건 어떤 미디어, 매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정보와 지혜 그리고 문학적 감동을 얻는다면 굳이 매체를 따질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다. 다원주의 사회에서 매체의 문제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취향이 문제이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프로그램에서 김영하 작가는 중고책방에서 자신의 책을 만나게 되면 기분이 어떠냐는 질문에 아주 쿨하게 대답한다. 자본주의 시스템이 넘실거리는 중고책방은 냉엄한 현실이 존재하는 곳이다. 팔리지 않을 책이라면 주인장이 매입하지 않을 거라는 게 김영하 작가의 대답이었다. 그렇다, 팔리지 않을 책을 누가 매대에 둔단 말인가. 어느 정도의 인지도와 컨텐츠가 뒷받침이 되어야 중고책방에서도 그 작가의 책을 산다는 지적이다. 놀라운 혜안이 아닐 수 없다. 중고책방에 가는 책으로부터 어떤 금전적 혜택이 작가에게 돌아가는 건 아니겠지만, 그런 식으로 사유한다는 점이 놀라웠다. 어느 작가는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인세를 받아야 하니 도서관에서도 책을 빌리지 말고 사서 보라고 강권했다지 아마. 그런 작가의 책이라면 앞으로도 나는 영원히 읽지 않을 것이다.

 

모두가 책을 더 이상 읽지 않는 시대가 되었는데도, SNS 상에는 책읽는 활동에 대한 포스팅이 차고 넘친다. 현실과 괴리가 느껴지지 않은가 말이다. 21세기에도 여전히 책읽기는 고상한 행위로 간주되는 모양이다. 제 아무리 먹방이 대세 콘텐츠라고 하더라도, 그 안에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본질이 그리고 철학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하는 건 무리가 아닐까. 물론 기호학자들이라면 또 어떤 구조적 분석을 시도할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디자이너들은 예전보다도 더 북 커버에 신경을 쓴다고 한다. 내 보기에 그렇지 않은 무신경한 출판사들도 여전하지만. 어쨌든 김영하 작가의 분석은 그렇더라. 타인의 독서가 나의 독서를 추동하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베스트셀러는 잘 읽지 않는 편인데 그래도 모두가 좋다고 하면 한 번쯤은 읽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물론 나와 맞지 않는 책에 대해서는 사실 관심도 주지 않는 편이다. 북 커버를 보고 책을 사지도 않는다. 개인적으로 삘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망하는 경우도 많다. 오래 알고 지낸 저자보다는 아무래도 잘 모르는 미지의 작가의 작품에 도전을 했다가 낭패당하는 수가 많다.

 

유럽에 간 김영하 작가는 가장 야만적인 행위인 분서가 벌어졌던 독일 베를린의 베벨 광장을 방문한다. 1933510, 히틀러가 집권하고 나서 비독일적인 행위를 일소하겠다는 일념으로 18,000권에 달하는 책들을 광장에 쌓아 두고 불질렀다고 한다. 그날 비가 내려서 휘발유까지 동원해서 인류의 지혜가 담긴 책들을 불살랐다고 한다. 정말 야만적이지 않은가.

 

그 다음 방문지인 파리에서는 여전히 책을 사랑하는 프랑스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두 번의 파리 방문에서는 수백년 전통을 자랑하는 부키니스트들이 책을 전시하는 곳을 방문해 보지 못해 아쉬울 따름이었다. 3,500여개에 달하는 프랑스 서점들은 도서정가제를 바탕으로 해서 이북의 파상적 공세를 막아내고 있는 중이다. 이북은 고작 프랑스에서 팔리는 책들의 5% 정도만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인터뷰에 등장한 파리 시민들은 자신들이 책을 사랑하는 민족이라는 점을 상당히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었다. 교육의 목적이 비판적 지식인을 양성하는 것이라는 점도 우리네 그것과 질적으로 다른 변별점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식 대입시험인 바칼레로아에서는 그래서 단순 암기식 시험 문제가 아닌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비판할 수 있는 시민을 기르기 위한 지적 능력에 방점을 찍는다. 주입식 교육으로는 도저히 기를 수 없는 것을 독서는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어려서 책을 많이 읽던 아이들도 중고등학교 과정을 거치면서 오로지 스코어링에 중점을 둔 문제 맞추기를 위한 독서를 하다 보니, 성인이 되어 책을 멀리하게 되는 게 아닐까. 누구든 책읽기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면, 아마 그에게서 책을 뺏는 것이 가장 큰 고통이 될 것이다. 다만 책읽기가 습관이 되고, 더 나아가 즐거움의 원천이 되기 위해서는 책읽는 근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유시민 선생의 말대로 나에게 맞지 않는 책을 고전이라는 이유로, 누구나 다 읽는 책이라는 이유로 해서 읽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세상은 넓고 읽을 책은 무한정으로 확장되고 있으니 나에게 맞는 책만 읽어도 시간은 부족하다. , 오늘은 또 무슨 책을 읽어 볼까나.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막시무스 2020-05-03 21: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읽는 근육이 필요하다는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ㅎ

레삭매냐 2020-05-04 09:07   좋아요 0 | URL
예전에 저희 독서모임에서 나눴던
대화에서 힌트를 얻어서 적어 보
았답니다.

페넬로페 2020-05-03 22: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번 생은 그냥 종이책으로~~

레삭매냐 2020-05-04 09:08   좋아요 1 | URL
저도 예전에 이북을 사긴 했는데
전혀 무소용이네요...

저도 이번 생에는 종이책으로 고고씽~

라로 2020-05-03 22: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매냐 님과 비슷한 생각이었어요. 종이책만을 고집하는,,그러다 미국에 오니까 한국책에 있어서는 그렇게 안 되네요. ^^;; 이제는 좋은 이북 리더기를 찾고 있는 현실이에요. ^^;;

레삭매냐 2020-05-04 09:11   좋아요 0 | URL
김영하 작가의 말마따나 매질/매체
가 뭐가 중요하겠습니다.

미디어가 담고 있는 텍스트를 얼마
나 내 것으로 만드냐가 관건이겠지요.

그럼 점에서 이북의 효용성에 대해서
는 찬성하는 바입니다.

다만 아날로그 닝겡은 계속해서 종이
책으로 가는 것으루다가.

chika 2020-05-03 22: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세받기위해 도서관말고 책을 사라고 한 작가는 누굴까, 궁금해집니다!

레삭매냐 2020-05-04 09:10   좋아요 1 | URL
저도 어디선가 주워 들은 지라
확실...히는 잘 몰라요.

여행 작가라고 하는 것 같던데 -
이상 카더라 통신이었습니다.

chika 2020-05-04 09:30   좋아요 1 | URL
농담처럼 나온 얘기라면 이해하겠는데 진지하게 그런 얘길 했다면 그 작가님은 생활비가 필요한걸로다가.. ㅡ,.ㅡ

2020-05-04 07: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04 09: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0-05-04 07: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작년에 책과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이 했었군요. 처음 알았어요. 저는 최근에 ‘밀리의 서재’에 가입했어요. 이제 방에 종이책을 놔둘 공간이 없어서 최대한 종이책을 덜 사는 방향으로 책을 읽으려고 해요. 단, 꼭 사야할 책은 사야죠. ^^;;

레삭매냐 2020-05-04 09:13   좋아요 0 | URL
입적하신 법정 스님의 무소유까지는
아니더라도 계속해서 덜어내는 삶을
추구하고 있답니다.

그렇다고 해서 절대 책탑이 줄어들
거나 하지는 않지만... 주변에 책 좋
아하는 이들에게 제게는 필요 없는
책들을 나누어 주고 또 사들이고의
무한반복이네요.

저의 꿈 중의 하나는 빈 책장이랍니다.
그런 게 있다면 또 마구 채워 넣겠지
만요.

단발머리 2020-05-04 11: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짤로 봤다,에서 큭!하고 웃었습니다. 저도 종이책을 선호하지만 그래도 이북은 듣는 맛이 있어서 간간히 이북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공간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거든요.
<책의 운명>은 소문으로만 들었는데 저도 찾아서 봐야겠어요. 책의 생산자 중 하나인 소설가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 계속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 전, 참 좋게 보이네요. 김영하를 좋아해서 그런 걸까요? ㅎㅎㅎㅎㅎㅎㅎ

레삭매냐 2020-05-04 13:54   좋아요 0 | URL
저는 김영하 작가가 작은 책방을
응원하다고 하고서는
<밀리의 서재> 광고에서는 아직도
서점에 가니인가 어쩐가 하는 걸
보고서는 충격 먹었습니다.

역시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구나 싶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