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말 잘하고 애써 좋은 표정 짓는 사람에게 인()을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뜻이다공자의 말이다주지하는 것처럼공자의 핵심 사상은 인이다그는 인을 설명할 때부처처럼방편 설법을 사용한다상대에 맞춰 그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위의 말도 분명 누군가와 대화하며 나온 말일 것이다아마도 상대의 과도한 립 서비스에 경각심을 주려 이 말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공자가 생각한 인에 과도한 립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았던 것 같다.     


문득여기 교언영색이란 의미를 포장이란 의미로 환치하고 인이란 의미를 진실이란 의미로 환치하여 이해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그러면 위 말은 이런 의미가 될 것이다포장이 많을수록 진실과 멀어진다포장은 물건에도 사람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니위 말을 한 번 더 환치하면 이런 의미가 될 것이다진실한 사람은 숨기고 꾸미지 않고좋은 물건은 포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가치관이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것이다포장을 경계하는 공자의  저 말은크게 보면농경문화를 배경으로 나온 것이다상업 문화를 배경으로 해서는 저 말을 하기가 쉽지 않다상업에서 포장이란 불가결의 요소이기 때문이다공자가 만약 상업 문화를 배경으로 한 사람이었다면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교언영색 의어인(巧言令色 宜於仁). 말 잘하고 애써 좋은 표정 짓는 것은 인에 합당한 태도이다상업이란 모름지기 타인의 마음을 훔쳐야 가능한 것이니 상대를 배려해 좋게 말하고 좋은 표정 짓는 것은 권장될 일이지 터부시 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진의 한자는 과실대(果實袋)’라고 읽는다과일 포장지란 뜻이다과일의 맨살을 드러내지 않고 포장지를 씌운 이유는 뭘까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값을 더 받기 위해서이다그렇지 않다면 굳이 포장지를 씌울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확실히 포장은 상업과 관련된 것이다농업에 기반한 문화에서는 포장이 발달할 수가 없다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강조하는 문화에서 포장이란 기피 혹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목하 우리는 상업의 극성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모든 것이 돈으로 환산되는― 심지어 생명조차 시대에 포장은 필수 불가결이다물건도 마찬가지이고 사람도 마찬가지이다포장을 통해 값을 올리려 분투(!)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 정도이다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지나치면 아예 안 한 것만도 못하게 된다비근한 예로 성형을 과도하게 하여 외려 이상한 몰골이 된다던가 겉은 그럴싸한데 속은 썩어있는 과일 상품을 들 수 있을 것이다이들 모두 일시적으론 값이 올랐을 수도 있지만 종내는 원래 값도 못할 수 있다무릇 포장이란 화룡점정(畵龍點睛)이 되어야지 빈목(矉目)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최근 어느 대통령 후보의 부인 논란은 과도한 포장이 빚은 문제이다화룡점정을 하려다 빈목이 된 사례라 하겠다확실히 포장은 적당할 때 의미가 있지과도할 때는 안 하느니만도 못하다


이런 점에서앞에서 공자의 말을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한 말이라고 비판 비슷하게 언급했지만사실 공자의 말은 상업의 극성 자본주의 시대 포장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여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공자의 말은 다음과 같이한마디로해석할 수도 있겠기 때문이다.     


적당히 포장해라!


(공자는 교언영색에 인이 없다고는 안 했다. 인과 멀어질 수 있다고 경계했을 뿐이다그렇다면 그가 교언영색즉 포장을 완전히 배격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과유불급한 포장을 말했다고도 볼 수 있는 것그런 의미에서 이런 해석도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가 좀 더 학문과 존양 공부에 힘을 쏟았다면 어땠을까! 헤아리기 힘든 성취를 보이지 않았을까? 당시의 선배들이 그의 방약무인(傍若無人)한 언행을 비난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 그 얼마나 순후한 기풍이었던가!”   

  

이이가 쓴 「김시습전」은 김시습의 생애를 다룬 정전(正傳)으로 평가받는다. 그만큼 객관적으로 기술했다고 보는 것이다. 이이는 전의 마지막에서 김시습과 그의 시대를 위와 같이 평한다. 전의 본문에서 김시습의 기언괴행(奇言怪行)과 그런 그를 크게 탓하지 않았던 인물들을 기술했기에 이런 평은 자연스러운 귀결로 보인다. 그런데 과연 이 평이 이이의 진심 어린 평일까?


이이는 김시습이 방약무인한 행동을 하고 당대 사람들이 그를 책망하지 않은― 어쩌면 할 수 없었던 ―진짜 이유를 몰랐을까? 김시습 못지않은 천재였고 김시습처럼 어쩔 수 없는 한계에 부딪혀 잠시 불문(佛門)에 의지했던 그가 김시습과 당대 인물들의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모른다면 과연 누가 알 수 있을까? 이이는 알고 있었지만 차마 직설적으로 말하지 못하고 에둘러 말한 것이 아닐까?      


이이는 전의 본문에서 김시습의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는 일화들을 소개하며 총오절인(聰悟絶人), 일기이종불망(一記而終不忘), 천자발췌(天資拔萃)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모두가 비범한 재주를 보여주는 말들이다. 보태어 그의 기언괴행들도 소개한다. 이이가 보여주는 김시습의 비범한 재주와 기언괴행 등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런 의문을 갖게 된다. ‘이런 이가 왜 시대와 불화하며 지낸 것일까?’ 


그렇다! 이이는 객관적 사실을 통해 한 비범한 인재의 날개를 꺾어버린 불의한 시대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김시습을 타박하지 않았던 이들은 그처럼 살고 싶으나 살 수 없었던 자신이 부끄러워 그리했던 것뿐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이가 이렇게 객관적 사실을 통해 진심을 에둘러 말할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김시습전」을 왕명(선조)에 의해 지었기 때문일 것이다. 왕명으로 전을 지으면서 어떻게 그가 시대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제공한 세조를 비판할 수 있겠는가. 세조를 비판할 수 없다면 그와 함께 정치를 했던 당대 인물도 비판하기는 어렵다. 하여 김시습의 편향된 성향에 대해서만 비판을 한 걸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이런 의문을 갖게 된다. 비록 왕명이기는 하지만, 이이는「김시습전」을 통해 궁극적으로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혹, 이런 것이 아니었을까?   

   

“왕이시여, 다시는 이런 불행한 인재(人才)가 생기지 않도록 유념하시옵소서!”      


사진의 시는 김시습이 자신의 초상화에  썼다는 시이다(사진은 부여 무량사에서 찍었다. 무량사는 김시습이 생을 마감한 곳이다).     



俯示李賀 부시이하   이하도 내려 볼 만큼

優於海東 우어해동   조선에서 최고라고들 했지

騰名謾譽 등명만예   높은 명성과 헛된 칭찬

於爾孰逢 어이숙봉   네게 어찌 걸맞겠는가

爾影至眇 이영지묘   네 형체는 지극히 작고

爾言太侗 이언태동   네 언사는 너무도 오활쿠나

宜爾置之 의이치지   네 몸을 두어야 할 곳은

丘壑之中 구학지중   산골짝이 마땅하도다    

 


자기 비하가 가득한 시이다. 그러나 비하는 자만(自滿) 혹은 자긍(自矜)의 이면이다. 이 시를 불의한 시대 자신의 출중한 능력을 펴지 못했던 한 불행한 천재의 자만/자긍이 가득한 시로 보는 것은 어떨까? 그리고 이러한 시가 나온 데에는 이이가 에둘러 말했던 대로― 물론 나의 억측이지만 ―그의 편향된 성향에 원인이 있다기보다는 불의한 시대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해 줘서 고마워!”       


고등학교 마지막 겨울 방학 어느 날, C에게 연락을 하여 모교 중학교 교정에서 만났다교정엔 잔설이 남아 있었다살짝 서먹한 기운을 누그러뜨리려는 듯 C가 먼저 입을 열었다.         

     

C와 이야기를 해본 것은 초등학교 때뿐이었다같은 중학교를 다녔어도 말을 나눠본 적이 없었다고등학교는 각자 외지로 나가 더더욱 말을 할 수 없었다외지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던 C는 집안 사정 때문에 고향의 고등학교로 전학을 왔다소문을 들었지만 본 적은 없었다이런 C에게 내가 연락을 할 수 있었던 건 순전히 C가 내게 호감을 갖고 있다는 약점 때문이었다. C는 초등학교 졸업 무렵 내게 편지를 보낸 적이 있고 중학교 때도 말을 나누진 않았지만 내게 호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외지에서 고등학교를 다닐 때 한 버스를 탄 적이 몇 번 있었는데 여전히 내게 호감을 갖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내가 C에게 연락을 취한 건 그에게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었다한 집에서 하숙하던 고등학교 후배가 선배는 여자 친구도 없냐는 말에 나도 있다며 보여주겠다고 호언한 데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날 C와 무슨 말을 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이후 C와 나는 서너 번 더 만났다만나는 중에 나는 C에게 가와바다 야쓰나리의 설국을 선물했다특별한 의미를 둔 것은 아니었다. C가 문학을 좋아했기에 그저 내가 갖고 있던 소설 책중 하나를 준 것뿐이었다.                  


그해 나는 대학 입시에 실패했고, C는 모 대학 국문과에 진학했다나는 괜한 자존심에 더 이상 연락을 하지 않았다이듬해 나는 사범대학에 진학했다어느 날 과(편지꽂이에 C가 보낸 학보가 와 있었다. C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지만, 나는 답을 하지 않았다.            


남편에게도 네 얘기했어!”                    


직장 생활중 여름방학을 맞아 집에 있던 어느 날 C가 찾아왔다낯익은 얼굴들과 함께였다초등학교 때 활동했던 자유교양부 동창들과 계속 만나고 있는데 이번에 고향에서 모임을 갖게 됐고 우연히 내 안부가 궁금해 왔다는 것이었다자유교양부에 남자 둘이 있었는데 그중의 한 명이 나였다. 오랫만이라 허공에 떠도는 먼지 같은 잡담을 나누던 중 C가 약간은 엉뚱한 고백을 했다(C는 소문에 듣자니 대학 때 임신을 했고 졸업과 동시에 결혼을 했다고 했다상대는 같은 과 선배였다고 들었다). C의 엉뚱한 고백에 나는 약간 머쓱했다이후 C와는 연락이 두절되었다.       


ㅇㅇ CEO가 네 동창이라던데!”                    


일요일오랫동안 연락을 하지 않았던 대학 동창 내외가 찾아왔다둘은 과 커플이었다. 3년 전에 명퇴를 했는데 불현듯 생각이 나서 왔다고 했다반가운 정담을 나누고 헤어질 무렵 남자 동창이 뜬금없이 말했다그래...?” 심드렁하게 대답을 했다


그런데 집히는 것이 있었다. ‘혹시 C?’ 여자 대학 동창은 묘하게도 초등학교 때 자유교양부를 함께 했던 한 여자애와 고등학교 동창이었다그것도 친한그 여자애가 자기 동창들― 특히나 친한 자유교양부 친구들 이야기를 여자 대학 동창에게 했을 가능성이 있고 그런 중에 C가 내게 호감을 갖고 있던 사실도 말했을 수 있다. 이런 이야기를 남자 대학 동창도 알고 있을 수 있으니, 그랬기에 남자 대학 동창이 내게 말을 꺼낸 것이 아니었을까 싶었던 것이다.  

           

동창내외를 보내고 심심파적으로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예측대로 C였다개명을 하여 옛날에 사용하던 애칭을 본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성공한 사업가인 데다 소설과 같은 간난(艱難)한 삶을 살아 인터뷰를 한 것도 많고 드라마도 있었다약간 놀란 것은 독실한 기독교인이 돼있다는 것이었다. 많은 인터뷰에서 간난한 삶을 신앙으로 극복했다고 말했다부와 명예라는 사회적 기준으로 보면 C는 초·중학교 동기동창 중 가장 성공한 동기동창이 아닐까 싶었다.                  


C의 인터뷰를 보면서 놀란 것은 CEO임에도 불구하고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다는 거였다말과 얼굴 모두에 진솔함이 묻어났다.                


돌아보면 C는 참 괜찮은 동창이었다그러나 이상하게 나는 C를 가까이하지 않았다만일 내가 조금만 노력했다면 C는 지금 내 곁에 있었을지도 모른다평범한 아낙네로.       

     

오늘은 눈이 간헐적으로 내린다고 한다문득 C와 만났던 잔설이 남아 있던 교정이 생각난다그 교정은 지금 남아 있지 않다폐교가 된 것앞으로 C를 만날 일이 있을까없을 것 같다그러나 만난다면 웃으면서 이렇게 말하고 싶다. “너를 키운 건 팔 할이 나야~” 그래도 C는 왠지 해맑게 웃어줄 것 같다.     


*자유교양부: 70년대 고전 읽기 교육 일환으로 만든 일종의 독서반이다특정 학생들을 모아 지정 고전을 읽게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교내외에서 시험을 치르고 시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생님이 오래!”     


쓸쓸히 그네를 타고 있는데주호가 와서 말했다짐작은 했지만더럭 겁이 났다.  쭈뼛쭈뼛 담임 선생님께 가 서자마자 선생님이 일갈했다.   

  

그게 뭐야이 새끼야!”    

 

원인은 나의 쓸데없는 의욕이었다공개수업을 하는데 선생님이 칠판에 문제를 내고― 산수였다 ―해볼 사람 손들어 보라고 하는데왠지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아 손을 들었다선생님은 의외였는지 즉시 시켰다그럴 만도 했다평소 못하던 아이가 공개수업 때 한다고 나섰으니.  

   

그런데 칠판 앞에 서니생각처럼 문제가 풀리지 않았다화가 나 분필을 던지듯 !’ 내려놓고 자리에 돌아와 엎드려 버렸다생각지 않은 갑작스러운 사태에 담임 선생님과 참관자들 모두 놀랐을 것이다  

   

선생님은 한바탕 화풀이를 하고 돌려보냈다. 오뉴월 한낮인데도 돌아오는 복도는 어두워 보였고 냉기조차 감도는 느낌이었다.


문득문득 오래전― 그렇다, 오래전이다. 47년 전 초등학교 3학년 때 일이니 ―당시 기억이 난다. 그때마다 이런 생각을 해본다. 만일 그 선생님이 나를 위로해주며 많이 힘들었지해보려고 했는데 안돼서선생님도 많이 안타깝더구나그래도 그렇게 행동하는 건더구나 많은 사람들이 보는데서, 옳지 않은 것 같구나.”라고 해주셨다면아마 나는 그 선생님을 평생의 은사로 모시고어쩌면 산수도 열심히 공부했을지 모르겠다나는 학창 시절 내내 산수(수학)를(을) 못했다그 이유가 전적으로 그 당시 경험 때문이라고 할 순 없지만 한몫은 했다고 생각한다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잘 못한다학생들의 능력 탓도 있겠지만, 나는 수학을 담당하는 선생님들의 질책도 한몫했다는 편견을 굳게 믿고 있다.

     

사진의 한자는 '온정'이라고 읽는다(주점 간판이고군산에서 찍었다). 온정은 냉정의 반대말이다내 경험은 냉정의 경험이었다그런데 냉정의 경험이 내게 준 것은 아쉬움과 불쾌감이었다. 그렇다면 반대로 온정의 경험은 어떨까상반된, 만족과 유쾌함이 아닐까?

     

온정과 냉정을 생각할 때면 이솝 우화의 나그네 옷 벗기기 시합을 했던 햇볕과 바람 이야기가 떠오른다이긴 것은주지하는 것처럼햇볕이었다온정은 햇볕과 같은 뜨거운 관심이고 수용이며, 이는 상대로 하여금 역량을 발휘하게 하는 힘을 갖는다고 믿는다. 반면 냉정은 바람과 같은 차가운 관심이고 내침이며, 이는 상대로 하여금 위축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믿는다. 

    

과연 저 '온정'의 주점은, 상호와 같이, 진정한 온정을 베풀고 있을까왠지 한 번 누추한 차림으로 찾아가 번거롭게 하면서, 상호와 같은 온정을 지녔는지짓궂은 시험을 해보고 싶다시험을 통과한다면 내게는 평생 단골집이 될 것 같다(짓궂다. 내가 생각해도하하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1-12-24 1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24 13: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24 13: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24 15: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드라인을 넘지 말라!”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대해 강력 경고하고 나서자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한 말이다. 자국의 군사 행동에 왈가왈부할 경우 가만있지 않겠다는 말로 들린다. 미국의 왈가왈부를 러시아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곧바로 레드라인은 없다고 받아쳤지만 지난번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때도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을 보면 이번에도 뚜렷한 대응을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     


국가 간에도 레드라인이 존재하지만 개인 간에도 레드라인이 존재한다. 그럴듯한 옛말로 바꿔 표현하면 ‘역린(逆鱗)’이다. 용은 본시 순하다. 그런데 용의 턱 밑에는 역방향의 비늘 하나가 존재한다. 이를 건드리면 순한 용은 더없이 포악한 존재로 변한다. 역린은 신하가 되면 제왕(帝王)의 약점을 건드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하지만, 평범한 개인 간에도 소용될 내용이다. 최후의 보루인 자존심 혹은 약점을 건드릴 경우, 분노하지 않을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이런 점에서 나는 ‘솔직(率直)’이 두렵다. 솔직하면 상대의 역린을 건드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로 인한 상대의 분노를 감당할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아내와 말다툼을 하면서도 아내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으려 인내한 것은 내 심성이 착하기 때문이 아니라 아내의 분노를 감당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사진의 한자는‘솔담(率談)’이라고 읽는다.‘솔(率)’은 솔직하다는 뜻이고, ‘담(談)’은 말이란 뜻이니, 솔담은 솔직한 이야기란 뜻이다. 요즘 말로 바꾸면 ‘솔까’가 되겠다. 장사하는 이의 솔직한 이야기란 믿을 것이 못되기에― 장사하는 이의 ‘솔직한 이야기’란 말 자체가 장사하는 이들이 솔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 저 상호의 의미는 ‘우리는 남보다 덜 속입니다’ 정도가 아닐까 싶다.     


‘알면서도 속고, 모르면서도 속는다’는 말이 있다. 모르면서 속는 거야 당연하기에 논할 것이 없지만, 알면서도 속는 것에는 상대의 솔직하지 못함을 굳이 탓하지 않고 넘어가는 유연함(?)이 엿보인다. 그런데 이 유연함에는 상대의 분노를 감당하지 못할 ‘나약함’도 한  스푼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나약함’이란 표현이 적절치 않다면 ‘측은함’은 어떨까?     


나는‘솔직’이 두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