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오래전 한 불교 단체에서 주최하는 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 주관하는 스님이 프로그램 진행 기간 동안 마음에 새겨야 할 문구가 있다며 저 글귀를 소개했다. 이른바 화두였다. 프로그램이 끝나는 날, 주관했던 스님이 참가자들에게 화두에 대한 답을 내놔보라고 했다. 나는 이런 답을 내놓았다. ‘나는 너다.’ 스님은 답에 대해 가타부타 말이 없었고 웃기만 했다. 


프로그램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한동안 내가 답했던 말을 되새기며 이를 실천에 옮겨보려 노력했다. 타인의 그릇된 행동을 보면 욕하기에 앞서 나의 그릇된 행동을 타인이 대신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그를 가엾게 보려 했고, 타인의 좋은 행동을 보면 시기하기에 앞서 나의 선한 면모를 타인이 대신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그를 사랑스럽게 보려 했다. 그런데 이런 노력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얼마 안가 전처럼 다시 타인의 그릇된 행동을 보면 욕이 먼저 나왔고, 타인의 좋은 행동을 보면 괜한 시기심이 먼저 일었다.


사진은 ‘백화춘도위수향(百花春到爲誰香)’이라고 읽는다. ‘온갖 꽃 봄이 오면 뉘를 위해 향기를 뿜나?’란 뜻이다. 송대의 선승 설두중현(雪竇重顯)의 선시 중 한 구절이다. 원시에서는 ‘백화춘지위수개(百花春至爲誰開, 온갖 꽃 봄이 이르니 뉘를 위해 피는가?)’라고 쓰고 있다. 낙관에 해당하는 한자는 만공(滿空)으로, 만공은 일제강점기에 조선 불교를 지키고 유신시키려 애썼던 선승이다. 설두중현의 위 문구를 좋아해 서예 작품으로 남긴 것이 있다. 그런데 사진의 글씨는 만공 선사의 글씨가 아니다. 그저 만공 선사가 쓴 것처럼 흉내 낸 것일 뿐이다(사진은 한 버스 정류장에서 찍었다).


‘온갖 꽃 봄이 오면 뉘를 위해 향기를 뿜나’는 ‘나는 누구인가?’와 같은 화두이다. 화두는 끝 모를 심연(深淵)의 질문과 같기에 그에 대한 답도 각양각색일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나는 그 각양각색의 답이 다 맞는 답이라고 생각한다. 그 답을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을 위해서’라고 했거나 ‘그저 자기 자신을 위해서’라고 했거나 말이다. 화두에 대한 답은 그 사람의 근기(根機)와 삶의 이력(履歷)에서 나오기에 저마다의 답이 정답이라고 보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화두에 대한 답이 아니다. 그 답을 삶을 견인하는 힘으로 사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을 위해서’라고 답했다면 그 자신 타인을 위해 향기를 뿜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게 중요하고, ‘그저 자기 자신을 위해서’라고 답했다면 그 자신 자신의 삶을 충실히 가꾸는 게 중요하다. 이를 그럴듯한 말로 바꾸면, ‘돈오(頓悟)가 중요한 게 아니고 점수(漸修)가 중요하다’라고 할 수 있다. 깨달음은 실천으로 입증될 수 있을 때 가치가 있는 것이지, 그 자체로는 무의미하다고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나는 심성 프로그램을 주관했던 스님이 지은 미소의 의미를 생각했으나, 답을 얻지 못했다. 그런데 근자에 와서 그 의미가 약간 어슴푸레하게나마 이해된다. 그건 이런 의미 아니었을까 싶다. 


“하하, 나도 그 정답을 모릅니다. 그러니 미소를 지을 수밖에요. 그러나 중요한 건 깨닫는 것에서 끝나면 안 되고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그건 말해 봤자 별 소용없어요. 본인이 직접 겪어봐야 알 수 있지요. 그러니 미소를 지을 수밖에요. 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합니다. 

     

공자의 이른바 정명론이다. 명실상부(名實相符)한 행동을 할 때 세상의 질서가 잡힐 것이란 주장이다. 원칙상으론 흠잡을 데 없는 주장이다. 그러나 세상이 어디 원칙대로만 움직이던가. 공자가 당시 유세하던 나라들에서 홀대받은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세상은 명실이 상부하기보다는 불상부한 경우가 훨씬 더 많다.  

    

대학의 도는 명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으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데 있다.


신유학이라 불리는 이른바 성리학의 주 텍스트인 『대학』의 첫 구절이다. 『대학』은 원래 『예기』의 한 편이었는데, 신유학의 주 텍스트가 되면서 독립된 경전이 되었다. 그런데 이 경전의 성립 자체가 사실은 유학의 종주인 공자의 정명론을 거스른 행위이다. 대학은 본시 제왕의 학문인데 성리학은 이를 사대부의 학문으로 변질시켰기 때문이다(이런 면에서 나는 성리학을 희화화하여 신유학이라 부른다). “명덕을 밝히는” 것은 그렇다 쳐도 “백성을 새롭게”하거나 “(세상을) 지극한 선에 머무”르게 하는 것은 분명히 제왕의 목표이자 임무이지 사대부의 목표나 임무는 아니다.      


위 테제의 핵심은 “백성을 새롭게”라는 내용이다. “명덕을 밝히는” 것은 “백성을 새롭게”하기 위한 출발점이고 “(세상을) 지극한 선에 머무”르게 하는 것은 “백성을 새롭게”한 결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백성을 새롭게”라는 말에는 사대부의 장대한 이상이 담겨있다. 그런 만큼 계몽적이기도 하다.     


사진의 한자는 ‘신민회(新民會)’라고 읽는다. 여기 ‘신민’은 바로 『대학』의 첫 구절에서 따온 말이다. ‘신민회’를 굳이 번역한다면 ‘백성을 새롭게 하기 위한 모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907년에 설립된 신민회는 비밀결사의 항일단체였다. 그런데 이 명칭에서 나는 당시 이 조직을 만든 이들이 사대부 의식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민(民)을 주체로 보지 못하고 계몽의 대상으로 보는. 그러나 이해는 된다. 비록 근대라고는 하나 왕조시대와 그리 시간 간격이 멀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왕조시대의 조선은 사대부의 학문인 성리학을 기치로 내건 국가였지 않았던가.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 명칭이 현대에 와서도 사용됐다는 것이다. 신민당(新民黨)이 바로 그것. 박정희 정권하 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의 대항마였던 야당의 명칭이다. 적어도 명칭만으로 보면 민주주의를 목놓아 부르짖었던 야당이 겉으로는 민주(民主)를 외쳤지만 속으로는 민을 계몽의 대상으로 봤다고 볼 수 있다. 더 재미있는 것은 여당의 민주공화당이란 명칭이다. 민주공화당에서 ‘민주’와 ‘공화’는 그야말로 민을 주인으로 보고 민과 함께 숙의한다는 명칭인데, 민주공화당의 행태는 이와 반대였기 때문이다. 두 명칭 모두 명실이 불상부했다고 볼 수 있다. (현 여당의 명칭인 ‘더불어민주당’은 ‘민주공화당’의 다른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적폐 청산을 내건 정당이 적폐의 뿌리라 할 ‘민주공화당’의 다른 버전을 사용한다는 것 역시 명실이 불상부한 경우이다.)


예나 이제나 세상에는 명실이 불상부한 경우가 상부한 경우보다 훨씬 많다.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것을 인정한다 해도 그것을 옳다고는 할 수 없다. 공자가 푸대접을 받으면서도 정명론을 견지했던 것은 그것이 옳기 때문에 주장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닐까? 어쩌면 이런 우직한 면모 때문에 그의 이름이 아직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사진은 군산에서 찍었다. 카페 이름이다. 근대 문화를 테마로 한 거리의 건물이라 이 명칭을 사용한 것 같은데, 그 굴레를 벗고 ‘새로운 사람들’이란 명칭을 사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훨씬 산뜻하지 않은가? ‘신민’은 ‘백성을 새롭게’란 뜻으로도 풀 수 있지만, ‘새로운 백성(사람들)’이란 뜻으로도 풀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낙엽은 가을바람에 휘날리고              黃葉秋風裏    

청산은 석양 속에 어두워지네             靑山落照時    

강남은 어드메인지 아득키만 한데       江南杳何處    

쓸쓸한 배 한 척 느릿느릿 가누나        一棹去遲遲        


흔적. ‘어떤 일이 진행된 뒤에 남겨진 것’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마음의 흔적이라 이름 붙여 본다.     


월산대군. 조선의 9대 임금 성종의 친형이다. 아버지 의경 세자(세조의 큰아들)가 죽고 작은아버지 예종도 왕위에 오른 지 얼마 안 돼 사망했는데 예종의 아들이 너무 어렸기에(4살) 실질적 왕위 계승 서열 1위였으나 병약하다는 이유로 배제됐다. 34살에 죽었으니, 지금으로 보면, 실제로 병약했다고도 볼 수 있으나 평균 수명이 길지 않던 시절이었으니 꼭 병약했다고만도 볼 수 없다. 그의 동생인 성종도 38살에 죽었다. 병약 운운은 사실 핑계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많은 이들이 정희왕후(세조의 부인. 월산대군의 할머니)와 한명회(성종의 장인)의 정치적 결탁 때문에 밀려난 것으로 본다.     


무생물이나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왕위 서열 1위임에도 왕위에서 밀려난 자신의 처지에 불만이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전하는 기록들은 그가 자연 속에서 소요하며 서책을 벗 삼아 지냈다고 한다. 불만 없이 잘 지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게 그의 진심 어린 행동이었다고 볼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지만, 어떤 액션도 용납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저 숨죽이고 지낼 수밖에 없었기에 그랬던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자연과 서책을 벗 삼아 유유자적하게 지낸 것 같지만 실제는 평생 울울한 심사로 지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한 그의 마음의 흔적을 위의 시에서 읽는다. 위 시는 부채 그림에 쓴 시이다. 화제이니 그림의 정경을 손에 잡힐 듯이 그리는 것이 요점이다. 시를 읽으면 그림의 모습이 손에 잡힐 듯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성공적인 화제시이다. 그런데 내게는 왠지 이 시가 월산대군의 마음의 흔적을 드러낸 서정시로 읽힌다.     


가을바람에 휘둘리는 낙엽과 같은 신세, 석양 속에 그 빛이 가려진 청산 같은 신세, 그게 바로 월산대군 자신의 처지라고 본 것은 아닐까? 강남은 탈출구인데, 문제는 그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느릿느릿 정처 없이 떠도는 듯한 배 한 척은 탈출구 없는 고립무원 적막강산의 처지인 바로 그 자신의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 견강부회한 해석일까?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그의 시조도 이와 비슷하니 무리한 주장이라 타박만 받을 일은 아니다.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돌아오노매라     


낭만적 서정보다는 왠지 모를 슬픔이 느껴지지 않는가? 이 시조의 이런 정서는 그의 울울했을 심사와 연관 지을 때만이 제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월산대군의 작품 둘을 읽고 그의 '마음의 흔적' 운운했는데, 그가 지하에서  글을 읽는다면 뭐라고 평할지 궁금하다. 이보게  봤어, 라고 할까? 아니면 택도 없는 소리, 라고 할까?


월산대군은 살아서도 죽은 듯이 살았는데― 내가 보기에 ―죽어서도  한 번 죽임을 당한다. 그의 신도비를 간신의 대명사 임사홍이 썼고 그의 부인 박 씨가 연산군과 추문이 있었던 것(연산군은 월산대군의 조카이다). 월산대군에게서 특권층의 비극적인 일면을 본다. 그의 시가 더더욱 애처롭게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트겐슈타인.     


현대 철학의 신으로 불린다신답게(?) 포탄이 쏟아지는 전장에서도 글을 썼다고 한다평생 자살 충동에 시달렸다 하니가능한 일이라고도 볼 수 있다그러나 몰입이 가져온 기적이라고 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공자.


유교의 비조(鼻祖)이다누구보다 겸손했지만 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했다먹는 것도 잊는다 했고늙는 것도 잊고 지낸다 했다몰입의 달인이라고나 할까?     


이들 못지않은 이가 조선에도 있었다퇴계 이황그 어려운 성리서(性理書)를 읽는데 빠져 무더운 한여름을 두문불출했고임금이 벼슬을 준다 불러도 공부하고 싶다며 마다했다몰입의 즐거움을 알았던 이라고나 할까     


사진은 퇴계 이황의 시이다.   

  

身退安愚兮 신퇴안우혜    몸 물러나니 어리석은 분수 편안한데

學退憂暮境 학퇴우모경    학문 퇴보하니 늘그막이 걱정스럽네

溪上始定居 계상시정거    퇴계의 가에 비로소 거처 정하고

臨流日有省 임류일유성    시냇물 굽어보며 날로 반성해보네     


학문할 수 있게 된 처지를 다행으로 여기며 이제야말로 남은 생을 촌음(寸陰)의 낭비 없이 학문에 몰입하리라 다짐하는 시이다     


비트겐슈타인공자퇴계 이황이들은 무엇 때문에 저술배움학문에 몰입했던 것일까진리의 추구그럴 수도 있다그러나 나는 몰입의 즐거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몰입의 즐거움이 없다면 어떻게 그 지옥 같은 전쟁터에서  글을 쓰고먹는 것도 잊고 늙어가는 육신도 서글퍼하지 않으며한여름의 무더위도 잊으며 두문불출하고 벼슬도 마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몰입의 즐거움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아니할 수 없다이들은 몰입의 즐거움이 상식을 초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갖가지 감각적 재미가 난무하는 세상이다자신도 모르게 빠져든다이것도 몰입이다그런데 빠져나오는 순간 허전함을 느낀다빠져나오며 충만함을 느끼는 재미는 없을까비트겐슈타인공자이황이 보여준 저술배움학문이라 말하고 싶다그들은 우리와 다른 특별한 이들이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하지 말자그들이 했던 영역에서는 그들만큼 못할지 모른다그러나 그들이 해보지 못했던 영역에서는 우리도 높은 경지에 오를 수 있다몰입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것요는 타인의 잣대로 우리 자신을 재지 말고 우리 자신의 잣대로 우리를 재는 걸 것이다자신에게 맞는 저술배움학문의 영역을 찾는 것.     

     

평균 수명이 늘면서 노인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다저술배움학문에서 한 가지 해답을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공자의 말을 다시 한번 음미한다.     


발분방식 낙이망우 부지노지장지(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 배움에 몰입하면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워 모든 근심을 잊어 늙어가는 것도 알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말 잘하고 애써 좋은 표정 짓는 사람에게 인()을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뜻이다공자의 말이다주지하는 것처럼공자의 핵심 사상은 인이다그는 인을 설명할 때부처처럼방편 설법을 사용한다상대에 맞춰 그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위의 말도 분명 누군가와 대화하며 나온 말일 것이다아마도 상대의 과도한 립 서비스에 경각심을 주려 이 말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공자가 생각한 인에 과도한 립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았던 것 같다.     


문득여기 교언영색이란 의미를 포장이란 의미로 환치하고 인이란 의미를 진실이란 의미로 환치하여 이해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그러면 위 말은 이런 의미가 될 것이다포장이 많을수록 진실과 멀어진다포장은 물건에도 사람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니위 말을 한 번 더 환치하면 이런 의미가 될 것이다진실한 사람은 숨기고 꾸미지 않고좋은 물건은 포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가치관이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것이다포장을 경계하는 공자의  저 말은크게 보면농경문화를 배경으로 나온 것이다상업 문화를 배경으로 해서는 저 말을 하기가 쉽지 않다상업에서 포장이란 불가결의 요소이기 때문이다공자가 만약 상업 문화를 배경으로 한 사람이었다면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교언영색 의어인(巧言令色 宜於仁). 말 잘하고 애써 좋은 표정 짓는 것은 인에 합당한 태도이다상업이란 모름지기 타인의 마음을 훔쳐야 가능한 것이니 상대를 배려해 좋게 말하고 좋은 표정 짓는 것은 권장될 일이지 터부시 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진의 한자는 과실대(果實袋)’라고 읽는다과일 포장지란 뜻이다과일의 맨살을 드러내지 않고 포장지를 씌운 이유는 뭘까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값을 더 받기 위해서이다그렇지 않다면 굳이 포장지를 씌울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확실히 포장은 상업과 관련된 것이다농업에 기반한 문화에서는 포장이 발달할 수가 없다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강조하는 문화에서 포장이란 기피 혹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목하 우리는 상업의 극성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모든 것이 돈으로 환산되는― 심지어 생명조차 시대에 포장은 필수 불가결이다물건도 마찬가지이고 사람도 마찬가지이다포장을 통해 값을 올리려 분투(!)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 정도이다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지나치면 아예 안 한 것만도 못하게 된다비근한 예로 성형을 과도하게 하여 외려 이상한 몰골이 된다던가 겉은 그럴싸한데 속은 썩어있는 과일 상품을 들 수 있을 것이다이들 모두 일시적으론 값이 올랐을 수도 있지만 종내는 원래 값도 못할 수 있다무릇 포장이란 화룡점정(畵龍點睛)이 되어야지 빈목(矉目)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최근 어느 대통령 후보의 부인 논란은 과도한 포장이 빚은 문제이다화룡점정을 하려다 빈목이 된 사례라 하겠다확실히 포장은 적당할 때 의미가 있지과도할 때는 안 하느니만도 못하다


이런 점에서앞에서 공자의 말을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한 말이라고 비판 비슷하게 언급했지만사실 공자의 말은 상업의 극성 자본주의 시대 포장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여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공자의 말은 다음과 같이한마디로해석할 수도 있겠기 때문이다.     


적당히 포장해라!


(공자는 교언영색에 인이 없다고는 안 했다. 인과 멀어질 수 있다고 경계했을 뿐이다그렇다면 그가 교언영색즉 포장을 완전히 배격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과유불급한 포장을 말했다고도 볼 수 있는 것그런 의미에서 이런 해석도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