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른쪽 사진을 보도록 하죠. '산월조탄금(山月照彈琴)'이라고 읽어요. "산의 달은 거문고 연주하는 곳을 비추네"라고 풀이해요. 달빛아래 거문고 연주하는 모습을 그렸내요.

 

음식도 궁합이 있듯이 악기도 궁합이 있는 것 같아요. 거문고는 달빛 -- 그것도 가급적이면 산속 -- 아래 연주해야 제 멋이 나는 것 같아요. 사실 밤에 연주하면 춥고 줄도 잘 안보여, 낮에 비해, 제 곡조대로 타기가 쉽지 않으텐데 말이죠. ^ ^  거문고 소리는 은은하기 때문에 고요하고 집중된 공간이라야 제 소리를 낼 수 있고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때문에 밤이란 시간과 산이란 공간 그리고 조명 역할을 하는 달이 필요했던 것 아닌가 싶어요. ^ ^

 

무더운 한낮 더위를 삭힌 선비(들). 밤 이슥토록 산에 있다가 달 떠오르자 거문고를 꺼내 줄을 고르는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한자를 한자씩 읽어 볼까요? 뫼산(山) 달월(月) 비출조(照) 탈탄(彈) 거문고금(琴). 자세히 알아 볼까요? 彈하고 琴만. 나머지는 전에 다뤄서...^ ^

 

은 한 번에 하나씩[單: 홑단] 화살을 활시위[弓]에 재어 쏜다란 의미에요. 연주한다는 의미의 '타다'란 뜻은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활줄을 당겨 쏘듯이 줄을 당기거나 쳐서 소리를 낸다는 것이지요. 彈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彈琴臺(탄금대, 우륵과 신립 장군의 일화로 널리 알려진 곳이죠), 彈丸(탄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거문고를 그린 것이에요. 아랫 부분은 판, 윗 부분은 안족과 줄을 그린 것이죠. 琴은 신농씨(神農氏)가 만들었다고 해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의 왕산악(王山岳)이 만들었다고 하죠. 같은 한자를 쓰지만 약간 다른 악기가 아닌가 싶어요. 琴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伽倻琴(가야금), 琴瑟(금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탈탄, 거문고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瑟, (      )丸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山月照彈琴

 

 

오늘은 거문고 연주 한자락을 들으며 마치도록 하죠. 내일 뵈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3일이 음력으로 보름(15일)이었죠. 달이 참 크더군요. 소나무 숲 위로 떠오르는 둥시런 달을 보니 절로 마음이 흐뭇해지고 감사한 마음이 들더군요. 이번 주련은 그런 풍경과 마음을 담고 있어요. 오늘은 왼쪽 것을 보도록 하죠. 송풍취해대(松風吹解帶)라고 읽어요. "솔바람 불어오니 허리띠를 풀고"라고 풀이해요.

 

불어오는 바람에 답답한 허리띠를 푼다 했으니 계절은 아마도 여름이겠죠? 허리띠를 풀려면 남의 이목이 신경쓰이는데 거리낌없이 푼다했으니 아마도 홀로 있거나 친한 친구와 함께 있겠죠? 여름이라도 밤에는 서늘하여 허리띠를 풀지 않을테니 아마도 낮이겠죠? 더운 여름 한낮 무더위를 피해 산간에 들었는데 때맞춰 서늘한 솔바람이 불어와 허리띠를 느슨하게 풀고 한가로이 앉아 있는 선비(들)의 모습이 떠오르네요. 그 순간 자신도 모르게 물아일체의 경지에 들지 않았을까요? ^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소나무송(松) 바람풍(風) 불취(吹) 풀해(解) 띠대(帶). 한자를 자세히 좀 알아 볼까요? 松과 解는 빼도록 하겠어요.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동굴[凡]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둘. 虫(벌레충)과 凡의 합자로 벌레를 발생시키는 팔방의 바람(기운)이란 의미이다. 凡은 음을 담당한다(범-->풍). 둘 다 일리가 있죠? ^ ^ 風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風波(풍파), 暴風(폭풍)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口(입구)와 欠(하품흠)의 합자에요. 하품할 때 기를 내뱉듯이 입으로 기를 뿜어낸다는 의미에요. 吹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吹口(취구), 吹打(취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옷자락을 겹치게[丨丨] 묶고[一] 양끝을 가지런히 늘어뜨린[巾巾] 큰 띠라는 뜻이에요. 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革帶(혁대), 帶狀疱疹(대상포진, 피곤하면 많이 생기는 질병이죠. ^ ^ )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바람풍, 불취, 띠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狀疱疹, (      )打,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松風吹解帶

 

 

오늘은 요기까지.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서(書)에 관한 추사 선생의 견해를 담은 주련을 보도록 하시죠. 오른쪽 사진이에요. 서예여고송일지(書埶如孤松一枝)라고 읽어요. "서예는 외로운 소나무의 한 가지와 같아야 한다."라고 풀이해요. 글씨에는 고고(孤高: 외롭고 드높은)하고 굳건한 기상이 들어 있어야 한다는 말이지요. 이러한 글씨는, 화법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사자(寫字: 글자를 씀)만 해서는 불가능할거에요. 작가의 초월적인 정신 세계가 있어야 가능하겠지요. 서예술의 정수를 표현한 구절이라 생각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글(씨)서(書) 재주예(埶) 같을여(如) 외로울고(孤) 소나무송(松) 한일(一) 가지지(枝). 한 글자씩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如, 一은 빼도록 하겠어요. ^ ^

 

는 聿(붓율)과 者(놈자)의 줄임 글자가 합쳐진 거에요. 붓을 가지고 죽백(竹帛: 대나무와 비단)에 기록한 내용이란 의미에요. '글'이란 의미지요. 글씨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거에요. 글씨를 써서 글을 남기니까요. 書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書籍(서적), 書體(서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坴과 丮의 합자에요. 坴은 土(흙토)가 겹쳐 있는데서 알 수 있듯이 여러 곳의 땅이란 뜻이에요. 丮는 잡고 있다란 의미에요. 두 글자를 합치면, 씨앗을 쥐고 땅에다 심는다는 의미가 되겠지요? '재주'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씨앗을 심는 행위는 결실을 위한 초보 행위이듯이, 재주란 일을 성사시키기 위한 토대란 의미지요. 埶는 藝로 많이 표기해요. 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藝術(예술), 技藝(기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子(아들자)와 瓜(오이과)의 합자에요. 瓜는 오이 덩굴에 오이 하나가 덩그란히 매달린 모양을 그린 거에요. 덩그란 오이 하나처럼 부모없는 외톨이 자식이란 뜻이에요. 孤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孤兒(고아), 孤獨(고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木(나무목)과 公(공공)의 합자에요. 사사로움이 없는 공명정대함처럼 늘 변함없이 푸르름을 간직하고 꿋꿋한 나무라는 뜻이에요. 그런 나무를~ '소나무'라고 하지요. ^ ^ 松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松柏(송백, 소나무와 잣나무), 靑松(청송)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목)과 支(가를지)의 합자에요. 본체에서 갈라진 나무라는 뜻이에요. '가지'란 의미지요. 枝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枝葉(지엽), 枝根(지근, 갈라진 뿌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글씨서, 재주예, 외로울고, 소나무송, 가지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柏, (     )獨, (     )術, (     )葉,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 보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書埶如孤松一枝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 주련은 추사 선생의 서화(書畫: 글씨와 그림)에 대한 견해를 담은 주련이에요. 오늘은 먼저 화(畵)에 대한 정의를 담은 주련을 보도록 하시죠. 왼쪽 사진이에요. 화법유장강만리(畫法有長江萬里)라고 읽어요. "화법에는 장강 만리의 유장함이 있어야 한다."라고 풀이해요. 그림은 모름지기 다양한 내용을 함축하여 그 의취가 장강처럼 끊임없이 흘러나와야 한다란 의미지요. 볼 때마다 새로운 느낌을 주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란 주문이지요.

 

아무 생각없이 단순 형사(形寫: 모양만 그림)만 해서는 그런 그림이 그려지지 않겠죠? 작가의 깊은 정신 세계가 형사를 통해 표출될 때 그런 그림이 그려지겠지요. 동양화의 정수를 잘 표현한 내용이라 생각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그림화(画, 일반적으로는 畫로 표기하죠) 법법(法) 있을유(有) 길장(長) 강강(江) 일만만(万, 일반적으로는 萬으로 표기하죠) 이리(里). 한 자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長, 萬, 里는 빼도록 하겠어요. 전에 다뤄서. ^ ^

 

는 땅에다[田: 밭전] 필기구[聿: 붓률]를 들고 영역 표시[一]를 한다는 의미에요. 그림이라는 뜻은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畵로도 표기해요. 정리해 볼까요? 그림화는 畫, 畵, 세가지로 표기해요. 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畫家(화가), 畫幅(화폭)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氵(물수)와 𢊁(해태채)와 去(갈거)의 합자 형태로 사용되다가 후에 𢊁가 빠진 형태로 사용하게 됐어요. 획이 많아 귀찮아서 빼버렸나봐요 ^ ^ 그런데 사실은 이 𢊁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𢊁는 뿔이 하나 달린 양인데 죄진 자를 알아보는 신이한 능력이 있었다고 해요. 고요(皐陶)라는 사람이 옥사를 맡았을 때 이 𢊁를 풀어 놓아 죄의 유무를 판단했다고 전해요. 고요도 전설상의 인물이고 𢊁도 전설상의 동물이니, 이상의 이야기는 믿거나 말거나 ^ ^  氵는 여기서 공평하다란 의미로 사용했어요. 이제 의미를 종합해 볼까요. 𢊁처럼 죄의 유무를 분명히 가리고 물처럼 공평하게 집행되어야 할 처벌이란 의미에요. 그게 바로~ 법이지요. ^ ^ 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法律(법률), 法治(법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月(달월)과 又(手(손수)의 변형)의 합자이다. 있어서는 안될 일이 있게 됐다[월식]란 의미이다. 又는 음만 담당(음이 좀 변했죠. 우-->유). 둘. 肉(고기육)의 변형인 月과 手(손수)의 변형인 又의 합자로, 손에 고기를 가지고 있다란 의미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 ^ 有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無所有(무소유), 有限(유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고유명사에요. 장강 혹은 양자강으로 부르는 강을 가리켜요.  氵(물수)가 뜻과 관계있고 工은 음을 담당하죠. 음가가 조금 바뀌었죠(공-->강). 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漢江(한강), 洛東江(낙동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 ^ 이 계제에 장강에 대해 한 번 알아 볼까요?

 

장강은 티베트 고원 속의 탕구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티베트 고원을 남동쪽으로 가로지르는데, 깊고 좁아 매우 험준한 협곡을 형성한다. 상류의 1,600km 구간은 1km에 해발고도가 평균 2m씩 낮아져 유속이 빠른 편이다. 쓰촨 성에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삼협에 이른다. 이 삼협은 약 97km의 구간으로 폭은 350m를 넘지 않으며 강 양쪽으로 500~1000m 높이의 바위로 된 수직절벽이 놓여있다. 이 지점에서 강의 수심은 최대 150m에 이른다.

협곡을 빠져 나오면 여기저기 호수가 흩어져 있는 평야지대가 나타나고 강폭은 넓어진다. 북동쪽을 향해 자유곡류를 하면서 흐르다가 하구의 삼각주에 이르러 물줄기가 몇 갈래로 갈라진다. 이 중 가장 큰 물줄기의 남쪽에 상하이가 자리 잡고 있다. 장강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1,600km 길이의 대운하를 통해 북쪽의 황하와 베이징까지 연결된다. (이상 위키백과 편집)

 

 

 

장강의 황혼 (출처 : 위키백과)

 

장강을 따라 유람할 시절 인연이 왔으면 좋겠어요. ^ ^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그림화, 법법, 있을유, 강강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漢(     ), 無所(     ), (     )治,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畫法有長江萬里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오른쪽 것을 읽어 보도록 하죠. 수구만천동(秀句滿天東). '빼어난 구절은 하늘 동쪽에 가득하네'라고 풀이해요. 하늘 동쪽은 우리나라를 가리켜요. 우리 나라에 훌륭한 문학 작가들이 많다란 의미지요. 지난 시간에 읽은 '직성유궐하(直聲留闕下)'와 함께 중국을 의식하여 우리 나라의 문화적 자긍심을 표현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야, 임마 니네 별거 아냐. 우리도 니네 못지 않아. 우리 조정에도 직언하는 신하가 넘쳐나. 그 뿐인줄 아냐? 차고 넘치는 훌륭한 문학 작품들은 어떻고." 이런 정도의 의지를 표현한 것 같아요. ^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빼어날수(秀) 글귀구(句) 가득할만(滿) 하늘천(天) 동녘동(東). 한 자씩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秀하고 滿만 알아보면 될 것 같아요. ^ ^

 

는 벼 열매가 아래로 늘어진 모양을 그린 거에요. '이삭'이란 의미지요. '빼어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이삭은 벼가 거둔 뛰어난 결과물이잖아요. ^ ^ 秀는 지금은 '빼어나다'란 의미로만 사용해요. 이삭이란 의미는 穗(이삭수)로 표기하죠. 秀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秀優美良可(수우미양가, 예전에 학교에서 사용하던 성적 평어지요), 秀麗(수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滿은 물[氵: 물수]이 그릇 입구와 수평[㒼은 평평하다란 의미가 있어요]을 이룰 정도로 그릇에 가득 담겨 있다란 의미에요. 滿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滿員(만원), 充滿(충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빼어날수, 가득할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充(     ),  (     )優美良可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秀句滿天東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