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련은 추사 선생의 서화(書畫: 글씨와 그림)에 대한 견해를 담은 주련이에요. 오늘은 먼저 화(畵)에 대한 정의를 담은 주련을 보도록 하시죠. 왼쪽 사진이에요. 화법유장강만리(畫法有長江萬里)라고 읽어요. "화법에는 장강 만리의 유장함이 있어야 한다."라고 풀이해요. 그림은 모름지기 다양한 내용을 함축하여 그 의취가 장강처럼 끊임없이 흘러나와야 한다란 의미지요. 볼 때마다 새로운 느낌을 주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란 주문이지요.
아무 생각없이 단순 형사(形寫: 모양만 그림)만 해서는 그런 그림이 그려지지 않겠죠? 작가의 깊은 정신 세계가 형사를 통해 표출될 때 그런 그림이 그려지겠지요. 동양화의 정수를 잘 표현한 내용이라 생각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그림화(画, 일반적으로는 畫로 표기하죠) 법법(法) 있을유(有) 길장(長) 강강(江) 일만만(万, 일반적으로는 萬으로 표기하죠) 이리(里). 한 자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長, 萬, 里는 빼도록 하겠어요. 전에 다뤄서. ^ ^
畫는 땅에다[田: 밭전] 필기구[聿: 붓률]를 들고 영역 표시[一]를 한다는 의미에요. 그림이라는 뜻은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畵로도 표기해요. 정리해 볼까요? 그림화는 畫, 畵, 画 세가지로 표기해요. 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畫家(화가), 畫幅(화폭)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法은 본래 氵(물수)와 𢊁(해태채)와 去(갈거)의 합자 형태로 사용되다가 후에 𢊁가 빠진 형태로 사용하게 됐어요. 획이 많아 귀찮아서 빼버렸나봐요 ^ ^ 그런데 사실은 이 𢊁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𢊁는 뿔이 하나 달린 양인데 죄진 자를 알아보는 신이한 능력이 있었다고 해요. 고요(皐陶)라는 사람이 옥사를 맡았을 때 이 𢊁를 풀어 놓아 죄의 유무를 판단했다고 전해요. 고요도 전설상의 인물이고 𢊁도 전설상의 동물이니, 이상의 이야기는 믿거나 말거나 ^ ^ 氵는 여기서 공평하다란 의미로 사용했어요. 이제 의미를 종합해 볼까요. 𢊁처럼 죄의 유무를 분명히 가리고 물처럼 공평하게 집행되어야 할 처벌이란 의미에요. 그게 바로~ 법이지요. ^ ^ 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法律(법률), 法治(법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有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月(달월)과 又(手(손수)의 변형)의 합자이다. 있어서는 안될 일이 있게 됐다[월식]란 의미이다. 又는 음만 담당(음이 좀 변했죠. 우-->유). 둘. 肉(고기육)의 변형인 月과 手(손수)의 변형인 又의 합자로, 손에 고기를 가지고 있다란 의미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 ^ 有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無所有(무소유), 有限(유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江은 고유명사에요. 장강 혹은 양자강으로 부르는 강을 가리켜요. 氵(물수)가 뜻과 관계있고 工은 음을 담당하죠. 음가가 조금 바뀌었죠(공-->강). 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漢江(한강), 洛東江(낙동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 ^ 이 계제에 장강에 대해 한 번 알아 볼까요?
장강은 티베트 고원 속의 탕구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티베트 고원을 남동쪽으로 가로지르는데, 깊고 좁아 매우 험준한 협곡을 형성한다. 상류의 1,600km 구간은 1km에 해발고도가 평균 2m씩 낮아져 유속이 빠른 편이다. 쓰촨 성에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삼협에 이른다. 이 삼협은 약 97km의 구간으로 폭은 350m를 넘지 않으며 강 양쪽으로 500~1000m 높이의 바위로 된 수직절벽이 놓여있다. 이 지점에서 강의 수심은 최대 150m에 이른다.
협곡을 빠져 나오면 여기저기 호수가 흩어져 있는 평야지대가 나타나고 강폭은 넓어진다. 북동쪽을 향해 자유곡류를 하면서 흐르다가 하구의 삼각주에 이르러 물줄기가 몇 갈래로 갈라진다. 이 중 가장 큰 물줄기의 남쪽에 상하이가 자리 잡고 있다. 장강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1,600km 길이의 대운하를 통해 북쪽의 황하와 베이징까지 연결된다. (이상 위키백과 편집)

장강의 황혼 (출처 : 위키백과)
장강을 따라 유람할 시절 인연이 왔으면 좋겠어요. ^ ^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그림화, 법법, 있을유, 강강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漢( ), 無所( ), ( )治, ( )家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畫法有長江萬里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