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광한루원 현판 기행 마지막 입니다. 어디를 가보실까요? 남원의 젖줄인 요천강(蓼川江)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정자에 한 번 가보시죠. 자, 도착했습니다. 금수정(錦水亭)입니다. 오른쪽으로 요천강이 한 눈에 들어오죠? 보기만 해도 가슴이 탁 트이는 것 같지 않으신가요? 그런데, 좀 이상한 것 같다구요? 광한루원은 고지대에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전경(全景)을 보기가 쉽지 않은데, 어찌된 것이냐구요? 어이쿠, 들켰구요. 맞습니다. 금수정은 광한루원 안에 있는 정자가 아니라 광한루원 밖에 있는 정자에요. 요천강을 건너 광한루원의 반대편에 있지요. 금암봉(金巖峯) 정상 부근에 있어요. 부끄러운 얘기지만, 전 처음에 이곳이 광한루가 아닌가 생각했어요. 누각도 멋있지만 무엇보다 조망(眺望)이 좋은 곳에 위치해 있거든요. 광한루라면 당연히 저런 곳에 있겠거니 생각한 것이지요. ^ ^;;

 

금수정은 일제 강점기에 세원진 누각이라고 해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금수정이 있는 금암봉 정상에 일제가 신사(神社)를 지어 놓고 참배를 강요하자 이현순(李炫純) 등이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자 의도적으로 이곳에 금수정을 지었다고 나와 있더군요. 신사 참배를 하는 척 하면서 이곳에 눙치고 앉아 시문을 지으며 답답한 심사를 해소했다는 것이죠. 글쎄요? 전 좀 의아스럽더군요. 일제강점기 이만한 건물을 이만한 장소에 지으려면 관계 당국(일제)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했을텐데 과연 이 건물을 지은 분들이 그런 항일 의식을 갖고 있었을까요? 또 눙치고 앉아 시문을 지으며 신사 참배를 거부하면, 관계 당국(일제)이 좌시했을까요? 제가 보기엔, 별 신빙성없는 견해가 아닌가 싶어요. (순전히 제 억측일 뿐입니다.^ ^)

 

금수정에 올라보니 시문이 있더군요. 한 컷 찍었어요.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고 건축과 관련된 것이라 좀 아쉽더군요. 아쉬운대로 같이 한 번 읽어 보실까요? ^ ^

 

  이 정자 짓기 위해 땅 고르느라 몇 해를 보냈던가             

 

  요천강 흐르는 중심에 신묘한 터전 있으니                      

 

  지리산 일맥(一脈)의 정기가 모인 곳                             

  

  하늘이 오래 전부터 간직해온 굴지의 정지(汀地)라네       

 

  모임을 시작한 우리는 이미 머리가 허여세고                   

 

  자리를 이은 후배들은 눈빛이 새로워라                          

 

  단청한 누각 날듯한 모습으로 있으니                             

                                                                           

  구경하는 행인들 넋놓고 바라보네.     

 

이 시를 봐도 앞에서 제가 짐작했던 항일 의식 운운의 비신빙성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錦 한 글자만 알아 보면 되겠네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金(쇠금)과 帛(비단백)의 합자에요. 황금(黃金)처럼 대단히 값나가고 고귀한 비단이란 뜻이에요. 본래 이 직물은 한나라 시대 하남성 양읍에서 생산되던 직물을 가리키던 것이었어요. 후에 보편명사화 되었지요. 錦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錦繡江山(금수강산), 錦水(금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금수(錦水)는 우리가 위에서 살펴 본 정자의 이름이지요. 비단 물결이란 뜻이에요. 요천강의 별칭인 듯 싶어요.

 

 

오늘은 한 글자만 했지만, 그래도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비단금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繡江山, (    )

 

3. 다음 시를 읽고 감상을 말해 보시오.

 

     낡은 결혼 시계가

     멈추어 선

     토요일 오후

     아내와 함께 백화점에 갔다가

     헛헛한 빈 손으로

     돌아오는 길

     요천수 고수부지에 들었어라

     수면에 뜨는 저녁

     노을은 턱없이 곱고

     괜스레 가슴 먹먹할 때

     토끼풀꽃 둘러 핀 풀밭에

     나는 눕고 차라리

     아내는 앉았어라

     빈 손 허전하여

     토끼풀꽃 엮어 만든 꽃시계

     손목에 묶어주면

     내 낡은 결혼 시계는

     영원히 그 시간에 멈추어서 좋아라

     토끼풀꽃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은

     아 그러나

     아직은 사랑,

     가난하여 넉넉한 먼 그리움도 있느니

     초저녁 별빛이 고웁다.

 

     (복효근, '토끼풀꽃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

 

3번 읽어 보셨는지요? 금수정에서 바라 본 요천강의 풍경도 좋지만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요천강이 맺어주는 아름다운 인정(人情)인 것 같아 인용해 보았어요. 마음에 드셨기를...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혹 인공위성에서 찍은 지구 사진 보신 적 있으신지요?  전 그 사진을 보며 '내가 사는 별

이 이토록 아름답단 말인가!'하는 감탄이 절로 나오더군요. 객관적인 시각은 확실히 대 

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만드는 것 같아요.                                                       

 

대상을 객관적으로 보고 싶은 욕구는 옛분들도 마찬가지 였던 것 같아요. 지상에 구현

한 월세계(月世界)를 객관적으로 보고 싶어 광한루원에 완월정(玩月亭)이란 정자를 지

 었어요. 완월정은 즐길완(玩), 달월(月), 정자정(亭), 월세계를 감상하는 정자라는 의미

에요. 완월정에서 바라보는 광한루와 그 주변의 풍광은 어땠을까요? 제가 지구 사진을

보며 느꼈던 느낌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완월정을 바라보며 사진을 한 장 찍었네요. 완월정에서 바라보는 광한루와 그 주변의  

   풍광에 대한 느낌이 어땠을까,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듯. ^ ^                                   

                           

 

옛분들이 이곳에 올라 읊은 시가 있어 하나 찍었네요.                                        

                                       

비 개인 뒤 구름 한점 없는 하늘에 달빛이 가득/ 오작교 옆에 날듯한 누각 우뚝 서있네

 / 은하수가에 북두칠성 기우는데 사람 자취 없어라/ (중략) / 이 자리 신선들의 모임 

 인양 담박하기 그지없네/ (중략) / 저 아득한 태고의 순수한 인연을 길이 이어갔으면   

 

실력이 부족해 군데군데 펑크를 냈네요. ㅠ ㅠ  그래도 대강 요지는 잡히시지요? ^ ^;; 

 속기(俗氣)를 떨친 청량한 느낌을 받았고 고상한 시회(詩會)의 인연을 이어가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네요.달밝은 밤에 완월정에서 시회를 열며 지은 시로 보여요. 광한루도 그

렀지만 완월정도 역시 밤에 와야 제 멋과 맛을 느낄 것 같습니다.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月과 亭은 전에 다뤄서 빼갰어요. ^ ^                     

 

은 王(玉의 변형, 구슬옥)과 元(翫, 가지고놀완)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구슬을 가

지고 논다는 뜻이지요. 즐기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죠. 玩이 들어간 예는 무엇

이 있을까요? 玩具(완구, 장난감), 완상(玩賞, 감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정리 문제를 아니내도 될 듯 싶군요. ^ ^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엊그제가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난다는 칠석이었죠. 오늘은 그 판타지의 세계

에 구현한 장소를 보시죠. 바로 '오작교(烏鵲橋)'에요. 烏는 까마귀오, 鵲은 

까치작, 橋는 다리교에요. 까마귀와 까치가 놓은 다리라는 뜻이죠. 그 전설은 너무  

명해서 굳이 말씀드릴 필요가 없을 듯 싶군요. ^ ^                                        

 

이 다리는 송강 정철 선생이 광한루를 손보면서 놓았다고 해요. 다리 밑을 흐르는   

물은 은하수를 상징한 것이지요. 광한루에 은하수와 오작교를 보탬으로써 아름다운

밤하늘의 세계를 오롯이 지상에 구현한 것이지요.                                          

 

 남다른 문학적 감수성을 갖고 있었던 정철 선생이었기에 이런 낭만적 구조물을 만   

들지 않았나 싶어요. 광한루에 오작교와 은하수가 있지 않았다면 광한루는 조금 밋 

 밋했을 것 같아요. 이런 점에서 문학적 감수성 나아가 예술적 감각이란 고명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음식위에 얹는 고명은 음식을 돋보이게 하는 구실을 하죠. 하지만   

그게 없다고 음식이 안되는 건 아니죠. 그런데 그게 빠지면 왠지 2% 부족한 느낌이 

들죠. 문학적 감수성 혹은 예술적 감각이란 사물과 삶의 완성을 위한 마지막 2%의  

  고명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까마귀를 그린 거에요. 鳥(새조)에서 눈에 해당하는 一 이 생략된 모양으로

 표현됐죠. 온통 검은색이기에 몸의 색깔과 눈의 색깔이 구분이 안돼 이렇게 표현했

  어요. 烏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烏合之卒(오합지졸), 烏飛梨落(오비이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까마귀는 흉조로 인식하지만 사실은 反哺之孝(반포지효)가 말

주는 것처럼 갸륵한 새죠.^ ^                                                                

은 昔(唶의 약자, 새소리책)과 鳥의 합자에요. 昔昔(책책, 까치소리를 표현한

   의성어)하고 우는, 까마귀 닮은 새라는 뜻이에요. 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요? 鵲報(작보, 기쁜 소식이란 뜻), 鵲巢鳩居(작소구거, 까치집에 비둘기가 산다는

 뜻으로 남의 지위를 빼앗다란 의미로 사용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까치는 길조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작물에 해를 많이 끼치고 물건도 잘 훔치는 새죠. ^ ^         

 橋는 木(나무목)과 喬(높을교)의 합자에요. 물 위를 걸어 다닐 수 있도록 물 위   

높게 설치한 목재 구조물이란 의미에요. 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鐵橋(철교), 橋梁(교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까마귀오, 까치작, 다리교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報, (   )合之卒

 

3. 다음 노래를 따라 부르시오.

 

 

 

     '직녀에게'는 견우와 직녀를 빗대 남북한의 만남과 통일을 기원한 문병란 시인의 시    

         에 곡을 붙인 것이지요. 언제 우리는 슬픔과 이별을 딛고 하나로 만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신선이 사는 곳을 한 번 가보실까요? 신선이 사는 곳을 흔히 삼신산(三神山)이라고 부르죠. 신선이

사는 세 곳의 산이란 뜻인데, 영주산(瀛洲山) · 봉래산(蓬萊山) · 방장산(方丈山)을 가리키죠. 오늘은 이중

영주산을 가보도록 하죠. 자, 채비 차리셨나요? 그럼, 출~ 발. 자, 도착했습니다. 오잉, 벌써? 그럼요, 영 

주산은 광한루 바로 코앞에 있는 걸요. ^ ^ 사미인곡으로 유명한 송강 정철 선생이 이곳 남원을 다스릴 때

광한루 앞에 물을 끌어 들이고 인공의 삼신산을 조성했어요. 그리고 영주산에는 누각도 세웠지요. 그리고

누각의 이름은 영주각(瀛洲閣)이라고 했고요. 위 왼쪽 사진이 영주각 현판이고 오른쪽 사진이 영주각 건 

물이에요.                                                                                                                       

 

어떠세요? 신선이 사는 곳에 오시니. 실제가 아니라 별 느낌 없으시다구요? 이런... 그런데, 어쩌죠? 실제

영주산도 존재하지 않는 산이니... ^ ^ 기분 푸시고 누각에 올라 바람 한 번 쐬세요. 옛날 분들은 이 영주  

각에 올랐을 때 어떤 느낌이 드셨을까요? 님께서 느끼신 기분과 한 번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지요?   

 

    늘어진 버들가지 시원한 대숲 아래 작은 시내 동으로 흐르는데

 

    날듯한 선각(仙閣)이 진토(塵土)중에 솟아있네                      

 

    누각에 오른 날 가슴 속이 시원하고 깨끗하니                        

 

    삼청(三淸) 상계(上界)의 바람이 불어온듯 하여라                   

 

    *三淸 上界 : 도가에서 말하는 하늘 세계                                  

 

 

누각에 걸린 시들 중 하나를 읽어 보았어요. 어때요? 비슷한 느낌이신가요? 오신 김에 한창 쉬었다 가세요

~ ^ ^                                       

 

 

瀛洲閣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氵(물수)와 嬴(가득할영)의 합자에요. 육지를 가득 둘러 싼 끝모를 바다란 뜻이에요. '바다영'이라

고 읽어요. '신선이사는섬영'이라고도 읽는데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이 '신선이 사는 섬'은 동해 바

다에 있거든요. 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일상적인 예는 별로 없는 것 같군요. 瀛表(영표, 해외

란 뜻), 瀛海(영해, 큰 바다란 뜻)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물수)와 州(고을주)의 합자에요. 물 한가운데 형성된 고을이란 뜻이에요. 사람이 사는 섬이란

의미지요. '섬주, 뭍주'라고 읽어요. 본래 州 하나만으로 섬이란 의미를 나타냈는데 후에  (물수)를 추가

하여 '물 한가운데 형성된'이란 의미를 좀 더 구체화시켰지요. 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洲島   

(주도, 섬이란 의미), 洲渚(주저, 모래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門(문문)과 各(각각각)의 합자에요. 열어 놓은 문 양쪽 각각을 고정시키는 말뚝이란 의미에요. 문

밖에 구멍을 파놓고 문을 연 다음 이곳에 말뚝을 꽂아 열어 놓은 문을 고정시켰는데 이 말뚝의 이름을 閣

(각)이라고 부른 거에요. 아파트 현관문에 달린 말발굽을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지금은 문을 고정시키는

말뚝이란 의미로 사용하지 않고 말뚝처럼 기둥을 높이 세워 지은 집이란 뜻으로 사용하죠. '누각각, 대궐

각'이라고 읽어요. 閣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樓閣(누각), 閣僚(각료, 장관 자리에 있는 공직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바다영, 섬주, 누각각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樓(    ), (    )渚, (    )

 

3. '여름나기'를 제목으로 4행시를 지어 보시오.

 

 

3번 해보셨는지요? 전 집에 돌아와 위 시에 차운하여 한시를 지었네요. 數點松陰綠水東/ 飛亭兀立此園中

 / 登臨遠視心瀟灑/ 恰似乘鵬萬里風(서너 점 소나무 그늘을 드리우고 푸른 물 동쪽으로 흐르는데/ 날듯한

정자 이 가운데 서있네/ 정자에 올라 멀리 바라보니 마음이 씻은 듯 깨끗하네/ 흡사 대붕을 타고 만리풍을

맞은 듯). 시상은 그대로 베끼고 글자만 몇 자 바꿨어요. 그래도 한자로 써놓으니 왠지 그럴듯 해 보이

요. ^ ^;;                                                                                                                         

 

 

오늘은 여기 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광한루 뒷편과 안쪽에 있는 현판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왼쪽 것을 읽어 보실까요? 호수호(湖), 남녘남(南), 차례제(第), 한일(一), 다락루(樓), 호남제일루(湖南第一樓)라고 읽어요. 이번에는 오른쪽 것을 읽어 보실까요? 계수나무계(桂), 누각관(觀), 계관(桂觀)이라고 읽어요. 호남제일루는 말 그대로 호남지방의 으뜸가는 누각이란 의미에요. 호남은, 잘 아시다시피, 전라남북도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죠. 김제 벽골제의 남쪽에 있는 지방이라는 데서 유래한 명칭이에요. 계관은 계수나무가 있는 누각이란 뜻인데 달세계에 있는 누각이란 의미에요. 둘 다 광한루에 대한 최고의 상찬(賞讚)이죠.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 두 현판은 옥상옥(屋上屋)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내용이 그런 것이 아니라 부착 위치가요. 호남제일루는 광한루 뒷편 왼쪽에 붙어 있는데 편액(扁額) 형태도 아니고 판자(板子) 형태라 어색하고 부착한 것도 왠지 건물 보수용으로 붙여놓은 듯한 느낌이 들더군요. 계관은 편액이 과도하게 커서 보는 이를 주눅들게 하더군요. 경치를 감상하러 오는 이에게 -- 물론 지금은 올라가서 감상할 수도 없지만-- 불필요한 압박감을 주는 현판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큰 문제가 안된다면 둘 다 떼서 박물관에 보관하는 것이 어떨까 싶더군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第, 一, 桂, 觀만 알아 보도록 하겠어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는 竹(대죽)과 弟(차례제)의 줄임 글자가 합쳐진 거에요. 죽간의 선후 차서를 정하다란 의미에요. 第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次第(차제), 第三者(제삼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잘 아시죠? ^ ^ 최초의 수(數)인 하나를 표시한 것이지요. 세로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평이하면서 보기 쉽고 아울러 이후의 숫자를 덧보태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가로로 표시했다고 보고 있어요. 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一貫(일관), 一定(일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목)과 圭(서옥규, 홀규라고도 하죠)의 합자에요. 서옥(瑞玉, 좋은 옥)처럼 특별한 나무란 뜻이에요. 백약(百藥)의 우두머리란 호칭을 갖고 있죠. 특히 이 나무의 껍질을 약재로 많이 사용하죠. 달나라의 계수나무와 지상의 계수나무는 이름만 동일할 뿐 서로 다른 나무라고 해요. 달나라의 계수나무는 상상의 나무일 뿐이죠. 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桂皮(계피), 桂冠(계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관雚(황새관)과 見(볼견)의 합자에요. 황새처럼 세밀하게 잘 본다란 의미에요. 황새가 물가에서 물고기 잡을 때 집중하는 모습을 연상하시면 되겠네요. 계관(桂觀)에서 '관'은 보다라는 의미가 아니고 누각이란 의미로 쓰였는데, 본 의미에서 연역된 거에요. 경치를 바라보는 곳이 누각이란 의미로요. '관'은 도교 사원의 의미로도 사용해요. 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觀光(관광), 道觀(도관, 도교 사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차례제, 한일, 계수나무계, 볼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皮, (   )貫, (   ), (   )三者

 

3. 다음을 한자로 손바닥에 써 보시오.

 

    호남제일루, 계관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