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뜨기에요. 한자 이름은 筆頭菜(필두채)에 요. 은 붓필, 는 머리두, 나물라고 읽어요. ‘붓대가리 나물이라고 풀이해요. 뾰족한 것이 붓끝과 닮아서 붙인 이름이죠. 우리 이름 쇠뜨기는 소가 즐겨 뜯어먹는 풀이란 뜻이에요. 저는 처음에 이 풀의 이름이 토끼풀인줄 알았어요. 어릴 때 토끼한테 많이 뜯어다 주다보니 자연스럽게 그런 줄 알았죠. 친구들도 그렇게 불렀구요.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토끼풀은 클로버를 가리키는 이름이더군요.

 

  쇠뜨기는 민간처방으로 지혈에 많이 쓰여요. 생즙을 내서 바르면 피가 멎고 상처도 잘 아물죠. 저도 경험이 있어요. 요즘은 좋은 약이 많아서 굳이 사용할 일은 없겠네요. 그나저나 쇠뜨기는 산야에 지천인데 그것을 뜯어야 할 소들은 우리 안에 갇혀 이상한(?) 사료만 먹고 있으니... 쇠뜨기도 소도 서로가 무척 그리울 것 같아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은 본래 서사(書寫)용구란 의미였어요. 처음에는 로만 표기했는데, 은 손에 조각도를 든 모양이에요. 아시다시피 처음에는 칼과 같은 예리한 기구를 가지고 문자를 기록했죠. 그러다 붓이 생겨났는데 붓은 대나무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위에 (대죽)을 첨가해서 사용하게 됐지요. 지금은 서사용구란 의미보다 , 쓰다등의 의미로 많이 사용하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筆記(필기), 名筆(명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제기두, 콩두라고도 하죠)(머리혈)의 합자에요. 머리라는 뜻인데 머리가 제기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로 음을 삼았지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頭腦(두뇌), 頭目(두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붓필, 머리두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

 

3. 다음을 한자로 손바닥에 써 보시오: 필두채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출처:http://blog.naver.com/tjrrbgh1234/120146075137

 

 

금계국이에요. 한자로는 金鷄菊이라고 표기해요. 金은 쇠금, 鷄는 닭계, 菊은 국화국 이라고 읽어요. 금계를 닮은 국화란 뜻이지요. 금계를 궁금해 하실 것 같아 옆에 사진을 실어 놓았어요. 금계의 머리와 금계국의 꽃이 비슷해 보이죠?

 

요즘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죠. 저의 집 주변에도 꽤 있는데, 개인적으론, 색깔이 짙고 번식력이 과도한 것 같아 호감이 가지 않더군요.  언제부터 이 꽃이 주변에 흔하게 됐는지 모르겠어요. 전에는 그렇게 흔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어쩌면 그간에도 흔했는데 제가 무관심했는지도 모르지요) 얼마 안가면 여름철에는 이 꽃이 주변 산야를 뒤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토종은 아닌 것 같아, 인터넷을 찾아보니,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라고 나오더군요. 음, 북아메리카 원산에 번식력도 강하고 색깔도 짙고... 왠지 제국주의를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하하. (금계국은 억울하겠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金과 菊만 알아 보면 될 것 같군요. 鷄는 전에 다뤘거든요.

 

은 흙[土: 흙토] 속에 묻혀있는 금[丶 丶]을 표현한 거에요. 今(이제금)은 음을 나타내죠. 金이 성씨로 사용될 적에는 '성김'이라고 읽어요. 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金屬(금속), 黃金(황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匊(움켜뜰 국)의 합자에요. 국화는 초본과 식물이기에  艹로 뜻[국화]을 표현했고, 匊은 음을 담당해요. 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黃菊(황국), 水菊(수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쇠금, 국화국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黃(    ), 水 (    )

 

 

금계국이 꽃을 피우기 전 여기저기 난 금계국들을 다 뽑았어요. 일정 부분에만 남겨 두었죠. 때로 어떤 꽃은 여기저기 흩어져서 함초롬히 꽃을 피우면 예쁘서 그냥 놓아 두는데 이상하게 금계국은 정이 가지 않아서 말이죠. (미안, 금계국) 제가 좀 과민한 것 같죠?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귀비 꽃이에요. 정확하게 말하면 개양귀비꽃이죠. 꽃양귀비라고도 부르죠. 언제부턴가 주변에서 흔히 보게 되었어요. 하늘 거리는 꽃대궁에 연하디 연한 붉은 색 꽃잎 몇 장을 피워 올린 모습을 보면 아름다움에 앞서 측은한 마음이 먼저 들어요. 뿐인가요. 미풍이라도 불어 꽃잎이 떨어지면 그 애잔한 모습은 또 어떻구요.

 

  그런데 이런 유약하고 애잔한 모습과는 달리 그 번식과 자생력은 생각외로 강해요. 단속을 안하면 그 개체수를 거의 무한대로 불려요. 지난 해 마당가에 몇 개 보이는가 싶었는데 올해는 그 주변을 온통 붉게 물들였더군요.

 

   좀 과하다 싶어 뽑을려고 했는데, 이상하게 손길이 자꾸 멈칫거려 지더군요. 결국은 포기했죠. (유약하고 애잔한) 아름다움에는 상대의 판단을 흐리는 약간의 마성(魔性)이 있나봐요. 하하하. 문득 든 생각인데, 당 현종이 양귀비에게 빠진 것도 그런 것 아니었나 싶어요. 당 현종도 마음 한켠에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들지 않았을까요? 그러면서도 마음을 돌이키지 못하고 수렁에 빠진 듯 양귀비에게 빨려 들어갔던 것 아니었을까요? 아름다움의 치명적 유혹을 이겨낼 수 있는 사내가 과연 몇이나 있을까요? 하하하.

 

  마지막 여담 하나. 진짜 양귀비는 개양귀비처럼 여리지 않아요. 튼튼해요. 어떻게 아냐구요? 어렸을 때 보았거든요. 당 현종이 총애했던 양귀비도 호리호리한 미녀가 아니라 비만에 가까운 미녀였다고 해요.

 

  양귀비는 한자로 楊貴妃라고 써요. 楊은 버들양, 貴는 귀할귀, 妃는 왕비비 라고 읽어요. '양씨 성을 가진 귀비(왕의 처첩에게 내리는 칭호중의 하나)'란 뜻이지요. 꽃이 양귀비처럼 아름다워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양귀비는 罌粟(앵속)이라고도 부르는데, 罌은 항아리앵, 粟은 조속 이라고 읽어요. 양귀비의 씨주머니를 강조하여 부른 이름이에요. 양귀비의 씨주머니는 항아리처럼 동그스름하고 그 안에 좁쌀처럼 잘디잘은 씨앗들이 많이 들어 있거든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木(나무목)과 昜(볕양, 陽의 초기 형태)의 합자에요. 昜에는 번성하다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이식이 잘되며 주로 물가에서 자라는 나무라는 뜻이에요. 흔히 수양버들이라고 부르는 나무에요. 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垂楊(수양), 楊柳(양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貝(조개패, 재물 혹은 돈의 의미로 쓰임)와 蕢(삼태기궤)의 초기형태인 臾의 합자에요. 삼태기에 재물(돈)을 담아 지불해야 할 정도로 값비싼 물건이란 의미에요. 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貴金屬(귀금속), 貴賓(귀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女(계집녀)와 己(자기기)의 합자에요. 본래 자신의 짝이 되는 여인, 즉 배필이란 뜻이었어요. 후에 왕의 배필을 뜻하는 특정명사로 변했지요. 妃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王妃(왕비), 妃嬪(비빈, 왕과 왕세자의 부인을 함께 부르는 말)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주둥이가 작고 배가 큰 단지[缶: 장군(단지)부]를 가리켜요. 缶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는 음을 담당하죠. 앵이 들어간 예는 일반적인게 별로 없네요. 銀罌(은앵, 은으로 만든 단지), 壺罌(호앵, 호리병과 단지) 정도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곡식 열매[米:쌀미, 여기서는 모든 곡식의 대표로 사용된 것이죠]란 의미였어요. 西는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약간 바뀌었죠(서-->속). 후에 특정 곡식인 '조'를 의미하는 글자로 한정 사용하게 되었죠. 粟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米粟(미속), 粟粒(속립, 곡식 낱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문제를 풀면서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버들양, 귀할귀, 왕비비, 조속, 항아리앵

 

  2. (     )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賓, 王(     ), (     )柳, (     )粒, 壺(     )

 

 

  백거이(白居易)는 <장한가(長恨歌)>에서 양귀비가 받은 현종의 총애를 이렇게 그렸어요. "아름다운 후궁 3천인이나/ 그 모든 사랑 한사람에게 고였네/ 천하의 부모들/ 아들보다 딸 귀하게 만들었네(後宮佳麗三千人/ 三千寵愛在一身/ 遂令天下父母心/不重生男重生女)" 아름다움의 마력이 빚어낸 희대의 사건 정수(精粹)를 잘 포착해 그린 것 같아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질경이에요. 민들레와 더불어 생명력이 강한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죠. 질경이의 한자 이름은 車前草(차전초)에요. 수레거(車) 앞

  전(前) 풀초(草), '수레 앞에 있는 풀'이란 의미이죠.

 

  인터넷을 찾아보니 車前草의 유래가 나와 있더군요. 한나라때 마

  무(馬武)라는 장수의 부하들이 굶주림과 풍토병에 걸려 피오줌을

  누고 고생을 하고 있었어요. 말들도 똑같은 증세를 보여, 제 살길

  찾으라고  풀어 줬어요. 그런데 한 이틀 지나자 말들의 병증(病症)

  이 나은 거에요. 신기해서 말들이 무엇을 먹나 살펴 봤더니 바로

  마차앞에 있는 돼지 귀 비슷한 모양의 풀을 먹고 있었던 거에요. 

  하여 이 풀을 달여 병사들에게 먹였더니 병사들의 병도 나았죠. 마

  무는 이 풀의 이름이 없는 것을 알고 무슨 이름을 붙일까 궁리하다

단순하게 수레 앞에 있었다 하여 車前草라고 붙였다고 해요. 그러나 車前草라는 이름에는 단순히 수레 앞에 있었다는 의미만

이 아니라, 수레 바퀴에 끊임없이 짓밟히면서도 다시 소생하는 강인한 풀이란 의미도 은연중 내포돼 있는 것 같아요.

 

질경이, 車前草는 두통과 기관지염 암치료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문제는 요즘 어디나 농약과 매연이 만연해 있어서 온전한 효과가 있겠냐 하는 거지요. 혹, 모르겠네요. 워낙 생명력이 강하니 그조차 정화를 시키는지도. 그래도 함부로 복용하는 것은 삼가해야 할 듯 싶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草는 지난 시간에 다뤘으니 車와 前만 다루면 되겠네요.

 

는 본래 전차를 그린 거에요. 위 아래의 一은 수레 바퀴, 丨은 연결축, 曰은 탑승대를 그린 거지요. 車는 큰 물체 일때는 '차'로 읽고 작은 물체 일때는 '거'로 읽어요. 활용 예로 戰車(전차), 自轉車(자전거)를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止(그칠지)와 舟(배주)의 합자에요. 지금은 모양이 많이 바뀌었죠. 止는 본시 발을 그린 것이에요. 따라서 前은 배에 올라타서 발을 움직이지 않은 채 배가 가는 것에 의지하여 앞으로 나간다란 의미에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가는 것과 같은 형국이지요. 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前後左右(전후좌우), 前進(전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수레거, 앞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戰(     ), (     )進

 

3. 다음 시를 읽고 그 느낌을 말해 보시오.

 

    깎일수록 더욱 뚜렸해지는 바위처럼

    채일수록 더욱 단단해지는 돌맹이처럼

    메마른 길섶에 뿌리 내리고 홀로 서서

    한 생을 마련한 질기고 질긴 생명

    차전초 차전초 그 이름 차전초

    수레나 군마는 아니어도

    발에라도 짓밟혀야 생기가 솟는

    그 이름 질경이 길장구 차전초

    아 아 차전초

    푸르게 굳센 영혼이여 그 이름 차전초

 

    (차전초, 박수진)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옛날에 민들레란 이름의 한 어여쁜 아가씨가 있었어요. 홀할아버지를 모시고 살고

있었죠. 이 아가씨를 사모하는 떡꺼머리 총각이 있었는데 감히 아가씨에게 범접을

 할 수  없었어요.그러던 어느 날 아가씨를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큰물

이 내려 가는데 아가씨의 집이 물가에 있어 물에 잠기게 되자 아가씨와 그녀의 홀할

아버지를 자신의 집으로 오게 했고 이를 기회로 아가씨와 가까이 할 수 있게 되었지

 요. 두 사람은 혼례를 올리지 않았지만 의좋은 남녀로 행복하게 지냈지요.

 

행복 뒤에는 불행의 그림자가 서성이는 법인지, 어느 날 나라에서 어여쁜 처녀를

공출할 때 이 아가씨도 지목이 되었어요. 총각과 할아버지는 눈물로 호소했지만

막을 수가 없었지요. 아가씨도 못간다며 몸부림쳤지만 이도 다 허사였어요. 드디

어 아가씨를 데려가는 날, 관리들이 닥쳤을 때 아가씨는 잠시 방에 들어가 짐을

챙길테니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했죠. 한참을 지나도 안 나와 관리들이 아가씨 방

문을 여니, 아가씨는 목에 칼을 찌른 채 죽어 있었지요.

 

슬픈 장례식을 치른 아가씨의 무덤에 꽃이 하나 피었어요.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일편단심으로 목숨을 끊은 아가씨의 혼이 피워낸 이 꽃을 사람들은 아가씨의 이

름을 따서 '민들레'라고 불렀어요.

 

위 사진은, 잘 아시는 것처럼, 민들레 꽃이에요. 민들레를 흔히 민초(民草)로 비유

하죠. 끈질긴 생명력 때문에 온갖 핍박 속에서도 늘질긴 삶을 유지하는 백성과 닮

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그 전설은 늘질기기 보다는 더없이 여리디 여리네요.

 

민들레의 한자 이름은 '포공영(蒲公英)' 혹은 '포공초(蒲公草)'에요. 포(蒲)는 부

들포, 공(公)은 공공, 영(英)은 꽃부리영, 초(草)는 풀초라고 읽어요.

민들레는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말려 통채로 말린 다음 약재로 쓰지요. 英은

본시 열매를 맺지 않고 꽃만 피운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민들레의 개화여부

와 상관없이 민들레 꽃봉오리란 의미로 사용됐어요. 蒲公이란 의미는 정확히 모르

겠어요. 蒲가 부들이고 公이 3인칭 대명사로도 쓰이니, '부들처럼 생긴 풀님' 정

도로 민들레를 높여 부른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한데... 자신이 없네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艹(풀초)와 浦(물가포)의 합자에요. 물가에서 자라는 수초로, 깔방석을 만드

는 재료란 의미에요. 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菖蒲(창포), 蒲席(포석) 등을

들수 있겠네요.

은 사적인[厶: 사사사]것과 등을 지고[八: 등지다란 의미임] 공평하게 분배한다

란 의미에요. 公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 까요? 公私(공사), 公憤(공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초)와 央(선명할영, 央은 대개 가운데앙으로 많이 사용하죠)의 합자에

요. 선명하고 화사하게 개화하나 열매를 맺지 않는 꽃이란 의미에요. 英은 뛰어나다

란 의미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

까요? 英華(영화, 꽃/명예 등을 의미해요), 英雄(영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皁(도토리조)의 합자에요. 본래 도토리[皁] 나무[여기서는 艹로

나무의 의미를 나타냈어요]에 열리는 열매란 의미에요. 지금은 '풀'이란 의미로만

사용하죠. 草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草本(초본), 草木(초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부들포, 공공, 꽃부리영, 풀초

 

2. (    )안에 해당하는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私,  (    )華,  菖 (    ),  (    )木

 

3. 다음의 노래를 따라 불러 보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뵐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