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사용하는 반찬 그릇 밑면을 찍은 거에요. 가운데 큰 글씨는 통할달() 글귀구() 칠벌(), 달구벌이라고 읽어요. 달구벌은 대구(大邱)의 옛 지명이죠.

 

  재미있는 것은 통할달을 번체(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자 모양을 지칭)로 쓰지 않고 간체(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변형 한자를 지칭)로 썼다는 점이에요(‘통할달을 번체로는 로 표기해요). ‘Made in Korea’라고 돼있지만 실제 이 제품은 중국에서 제작한 것 같아요. 아니면 중국 수출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간자 표기를 한 것이지도 모르겠네요. 달구벌 주변의 한자는 아시겠죠? 은 이름명, 은 물건품, 명품이라고 읽어요. 뜻은 굳이 설명 안드려도 될 것 같군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전에 다뤄서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걸어갈[: 쉬엄쉬엄갈착] 때 서로 길을 양보하여 막힘이 없다는 의미에요. 이 받치고 있는 글자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이 받치고 있는 글자는 아름답다란 의미에요. 길을 양보하는 것은 아름다운 행위란 의미로, 본 의미를 보조하고 있지요. ()통하다외에 도달하다란 뜻으로도 많이 사용해요. 도달하다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통해야 도달할 수 있지 않겠어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通達(통달), 到達(도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사람인)(창과)의 합자에요. 창을 들고 상대를 향해 공격한다는 의미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征伐(정벌), 討伐(토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여러개의 기물[]을 의미해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品質(품질), 物品(물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통할달, 칠벌, 물건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     ), (     )

 

3. 다음을 한자로 써보시오.

 

   달구벌 명품

 

 

지금 달구벌 출신 한 정치인이 곤혹스런 상황에 처했죠? 재미있는 것은 일반 국민들과 대다수 동료들은 그 정치인을 지지하는데, 푸른 기와 집 사람들만 싫어한다는 사실. 끝까지 잘 버텼으면 좋겠어요. ^ ^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가운 비가 내려 사진을 한장 찍었네요. 사진 솜씨가 시원치 않아 비내리는 모습이 제대로 보이질 않는군요 ㅠㅠ 문득 비내리는 모습을 보고 있으려니 비를 나타내는 한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궁금해지더군요. 사전을 찾아 봤더니 의외로 몇 자 안되더군요.

 

우선, 비를 뜻하는 한자가 雨(비우)인 것은 잘 아시죠? 그 다음 가늘게 오는 비는 霂(가랑비목), 霎(가랑비삽)으로 표현해요. 사흘이상 오는 비는 霖(장마림)으로 표현하고, 열흘이상 오는 비는 霪(장마음)으로 표현해요. 흙비는 霾(흙비올매)로 표현해요. 사전에 나온 비의 종류를 표현한 한자는 이 정도에요. 너무 싱겁죠? ^ ^

 

이에 비해 우리 말의 비를 표현하는 말은, 인터넷을 찾아보니  무려 50가지 이상이 되더군요. 이런 점에서 보면 우리 말은 대단히 섬세하고 시적이며, 한자는 좀 감각이 무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군요. ^ ^ (우리 말의 비를 표현하는 말은 http://blog.daum.net/ondari/1704370 참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하늘(一)과 구름(巾)과 빗방울(〃)을 표현한 것이에요. 구름 낀 하늘에서 비가 오는 모양을 표현한 것이지요. 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雨中(우중) 雨傘(우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沐(머리감을목)의 합자에요. 머리만 감는 것처럼, 가지만 적시고 뿌리까지는 적시지 못하는 적은 량의 비라는 의미에요. 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霢霂(맥목, 가랑비)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雨(비우)와 妾(첩첩)의 합자에요. 작은 부인을 일컫는 첩(妾)처럼 가늘고 작게 내리는 비라는 의미에요. 霎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霎霎(삽삽, 비오는 소리를 묘사한 의성어), 霎雨(삽우, 가랑비)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林(수풀림)의 합자에요. 나무가 많은 숲처럼 그 양(量)이 많은 비라는 의미에요. 霖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霖雨(임우), 霖霖(임림, 비가 그치지 않고 내리는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雨(비우)와 淫(담글음, 보통 '음란할음'으로 많이 사용되죠)의 합자에요. 모든 것이 물에 담겨진 것처럼 질척질척할 정도로 그 양이 많고 오랫동안 오는 비라는 의미에요. 霪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霪雨(음우), 霪霖(음림)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는 雨(비우)와 狸(埋(묻을매)와 통용. 여기서는 '매'라는 음만 담당)의 합자로, 흙먼지가 비처럼 쏟아지는 것을 의미해요. 霾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霾翳(매예, 흙비로 인하여 하늘이 흐린 모양), 霾風(매풍, 흙비가 오게 하는 바람)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습니다. 대신 노래를 한 곡 불러 보시죠~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멸공방첩, 승공통일, 총화단결... 70년대 주변에서 많이 듣던 말이죠. 오늘 사진은 그 흔적이 남아 있는 탑이에요. 이름하여, 총.화.탑(總, 和. 塔). 모두총(總), 화목할화(和), 탑탑(塔), '모두가 하나로 화합하여 화목하다'란 의미에요. 총화(總和), 그 자체의 의미야 나무랄데 없지만 정권의 구호로 전락했기에 본래의 의미가 많이 퇴색됐다고 볼 수 있죠. 이 탑은 시청 주변에 있는데, 모르긴해도 70년대 중앙정부의 지시나 아니면 중앙정부에 잘 보이기위해 세워놓은 탑 같아요. 개인적으로 '이젠 없어져도 될 만한 탑인데...'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얼마전에 보니 철거가 됐더군요(이 사진은 1월에 찍은 거에요). 때늦은 감이 없잖아 있지만, 이제라도 시청이 제 정신(?)을 차린 것 같아 흐뭇했어요.

 

총화(總和), 사실 지금이야말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덕목 같아요. 지역간 계층간 세대간 남북간 얼마나 갈갈이 나뉘어 있나요? 다양성에 기반하면서도 그것을 하나로 모를 수 있는 총화의 리더십을 지닌 지도자가 나와야 우리나라가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텐데...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탑(塔)은 전에 살펴 봤으니, 총(總)과 화(和)만 살펴보면 되겠네요.

 

糸(실사)와 悤(바쁠총)의 합자에요. 실들이 흐트러지지않게 서둘러 하나로 휘답하여 묶는다란 의미에요. 여기서 '모두, 합하다, 거느리다' 등의 의미가 연역됐어요. 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總量(통량), 總裁(총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禾(벼화)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禾는 벼이삭이 패어 고개를 숙인 모습을 그린 것인데, 의지하고 따른다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벼이삭이 고개를 숙인 모습에서 나온 의미지요. 口에는 마음 속의 말을 서로 나눈다란 의미가 들어 있어요. 하여 和는 상호간 의사소통이 잘되고 서로 의지한다란 의미로 사용해요. 이런 것을 일러 '화목하다'고 하죠. 和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和睦(화목), 和合(화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모두총, 화목할화

 

 

2. (     )안에 들어 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睦,   (     )裁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찍은 거에요. 겨울에 부여에 갔다가 우연히 들러서 찍은건데, 겨울에 찍은거라 그런지 좀 을씨년스런 느낌이 드는군요. 지금 쯤 찍으면 딱 좋을 것 같아요. 누정(樓亭)의 풍경은 여름이 제격이잖아요? 

 

현판의 이름은 조월정(釣月亭)이에요. 釣는 낚시조, 月은 달월, 亭은 정자정이라고 읽어요. 달을 낚다, 옆에 작은 못(淵: 못연)이 있으니 정자 이름으로는 제격이네요. 여름 달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이 정자에 앉아 있으면 남부럽지 않은 풍류객이 될 것 같아요. 전통문화대학교 학생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일 듯. 그런데 학생들이 과연 이런 풍류를 누리는지 모르겠네요. 공부에 취업 준비에 너무들 바빠서... 요즘 대학생들을, 사회의식이 희박하고 개인주의가 팽배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전 그보다 불쌍하고 안타깝다는 생각이 더 많이 들어요. 예전에는 중도에 좀 낙오가 있었더라도 회복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한 번 낙오하면 회복이 어려운 그런 상황이잖아요. 그러니 학생들도 마음에 여유를 가질 수가 없는거죠. 어찌 아니 불쌍한 생각이 들겠어요.

 

오늘은 釣 하나만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죠. 月, 亭은 전에 다뤘거든요. ^ ^

 

은 金(쇠금)과 勺(구기작, 구기는 국자 비슷한 물건)의 합자에요. 구기로 술이나 간장을 뜨듯이 쇠바늘에 먹이를 매달아 물에 던져서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이에요. 낚시하는 것이죠. 釣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조어(釣魚, 낚시질함), 釣竿(조간, 낚시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내도 되겠지요? ^ ^ 대신 베에토벤의 '월광'을 감상해 보도록 하시죠. 조어정(釣魚亭)과 어울릴 듯한 음악같아서 골라 보았습니다. 그럼,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운명

 

때를 만나서는 천하도 내 뜻과 같더니

운 다하니 영웅도 스스로 어쩔 수 없구나

백성을 사랑하고 정의를 위한 길이 무슨 허물이랴

나라 위한 일편단심 그 누가 알리

 

殞命

時來天地皆同力

運去英雄不自謀

愛民正義我無失 

爲國丹心誰有知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 것일까요?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 것일까요?  아무래도 시대가 먼저 아닐까 싶네요. 영웅이란 대개 난세에 등장하는 것이니까요. 그러나 그 난세를 또 치세로 만드는게 영웅이기도 하니 영웅이 시대를 만든다는 말도 틀린 말은 아니겠지요.

 

  녹두장군 전봉준도 난세에 활약한 분이니 분명 영웅이지요. 그러나 치세의 영웅은 되지 못했지요. 왜 치세의 영웅이 되지 못했을까요? 장군은 자신의 시에서 '운이 다했다(運去)'는 말로 그 이유를 말했지만, 제가 보기엔 '나라위한 일편단심(愛國丹心)'이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애요. 주인[임금]이 되려하지 않고 스스로 아랫사람[신하]이 되려했던 것이 패착(敗着)의 가장 큰 원인인 것 같애요. 첫 구에 나오는 것처럼 '때를 만"났는데 스스로 자신을 위축 시켰으니 "운"이 "다"할 수 밖에요. 너무 가혹한 평가일까요? 장군이 만일 처음부터 좀 더 큰 뜻을 가지고 거사를 했더라면...

장군의 시를 읽으면 그의 충절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안타까운 마음 또한 금할 길이 없어요.

 

한자를 한 자씩 읽어 볼까요?

 

殞命(죽을 목숨)

時來天地皆同力 (때 하늘 한가지)

運去英雄不自謀 (운 빼어날 뛰어날 아닐 스스로 꾀할)

愛民正義我無失 (사랑 백성 바를 옳을 없을 잃을)

爲國丹心誰有知 (위할 나라 붉을 마음 누구 있을)

 

그간 다루지 않은 글자만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死(죽을사)의 약자 歹과 隕(떨어질운)의 약자인 員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죽었다란 의미에요. 죽으면 시신을 땅 아래 묻기에 員으로 음을 삼았어요. 殞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殞碎(운쇄, 殞命과 같은 의미), 殞石(운석, 隕石(운석)과 같은 의미에요. 다 타지 않고 떨어진 유성을 가리키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比(나란할비)와 白의 합자에요. 여기서 白은 自의 초기 형태로, 코를 그린 거에요. 중국 고대에는 자신을 타인에게 소개할 때 코를 가리키며 소개했기에  白은 '자신, 스스로' 등의 의미를 갖게 됐어요. 따라서 皆는 사람들이 스스로 나란히 서서 하나가 되었다란 의미에요. 여기에서 '다, 전부' 등의 의미가 나온 것이지요. 皆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擧皆(거개), 皆勤(개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힘줄을 그린 거에요. 힘줄을 통해 힘쓰는 정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힘'이란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었지요. 力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筋力(근력), 力士(역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辶(쉬엄쉬엄갈착, 여기서는 이동의 의미)과 軍(군사군)의 합자에요. 군사들을 위한 각종 병기와 보급품을 이동시킨다는 의미에요. 運이 어떻게 '운(fortune)'이란 의미를 갖게 됐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동'이란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 아닌가 싶어요. '운(fortune)'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잖아요? 항상 운이 좋은 사람이 어디 있던가요? ^ ^ 運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運轉(운전), 幸運(행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에서 土는 人이 변형된 것이고, 厶는 凵이 변형된 것으로 문을 의미해요. 문을 나서 밖으로 나간다란 의미지요. 去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去來(거래), 去就(거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隹(새추)와 厷(팔뚝굉)의 합자에요. 厷에는 힘이 세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암컷에 비해 힘이 센 수컷새란 뜻이지요. '뛰어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에요. 雄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雌雄(자웅), 雄壯(웅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言(말씀언)과 某(梅(매화매)의 초기 형태에요. 여기서는 매실이란 의미로 사용)의 합자에요. 매실이 시고 떫은 맛에서 단맛으로 바뀌듯, 어려운 상황을 만나 극복할 방도를 타인에게 물어보거나 깊이 생각하여 헤쳐 나간다란 의미에요. 謀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圖謀(도모), 謀議(모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手(손수)와 乙의 합자에요. 乙에는 빠져 나온다는 의미가 있어요. 손에서 빠져 나왔다는 뜻이에요. 잃어 버렸다는 의미지요. 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失手(실수), 失望(실망)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두 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손으로 코끼리를 이끌고 일을 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둘. 爪(손톱조)와 원숭이를 나타낸 글자의 합으로, 손톱으로 긁기를 좋아하는 원숭이를 표현한 것이다. 지금은 '하다, 되다, 위하다'란 의미로 사용하죠. 모두 본래의 의미에서 연역된 의미라고 볼 수 있어요. 爲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行爲(행위), 爲人(위인), 爲我(위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주사[丶]라는 광물을 캐내는 광산을 그린 거에요. '붉다'란 의미는 주사(朱砂)라는 광물의 색깔이 붉은데서 나온 거에요. 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丹心(단심), 丹楓(단풍)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는 무엇인지 몰라서 물어본다[言: 말씀언]란 의미에요. 隹는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약간 바뀌었죠(추-->수). 誰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誰何(수하), 誰某(수모, 아무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죽을운, 다개, 힘력, 운운, 갈거, 뛰어날웅, 꾀할모, 잃을실, 위할위, 붉을단, 누구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雌(    ), (    )就, 幸(    ), 擧(    ), (    )士, (    )何, (    )我, (    )碎, (    )楓, (    )望, (    )議

 

3. 다음 시를 소리내어 읽고 그 감상을 말해 보시오.

 

   時來天地皆同力 / 運去英雄不自謀 / 愛民正義我無失 / 爲國丹心誰有知

 

 

오늘은 농민가를 들으면서 마치도록 하죠.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