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http://blog.naver.com/tjrrbgh1234/120146075137

 

 

금계국이에요. 한자로는 金鷄菊이라고 표기해요. 金은 쇠금, 鷄는 닭계, 菊은 국화국 이라고 읽어요. 금계를 닮은 국화란 뜻이지요. 금계를 궁금해 하실 것 같아 옆에 사진을 실어 놓았어요. 금계의 머리와 금계국의 꽃이 비슷해 보이죠?

 

요즘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죠. 저의 집 주변에도 꽤 있는데, 개인적으론, 색깔이 짙고 번식력이 과도한 것 같아 호감이 가지 않더군요.  언제부터 이 꽃이 주변에 흔하게 됐는지 모르겠어요. 전에는 그렇게 흔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어쩌면 그간에도 흔했는데 제가 무관심했는지도 모르지요) 얼마 안가면 여름철에는 이 꽃이 주변 산야를 뒤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토종은 아닌 것 같아, 인터넷을 찾아보니,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라고 나오더군요. 음, 북아메리카 원산에 번식력도 강하고 색깔도 짙고... 왠지 제국주의를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하하. (금계국은 억울하겠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金과 菊만 알아 보면 될 것 같군요. 鷄는 전에 다뤘거든요.

 

은 흙[土: 흙토] 속에 묻혀있는 금[丶 丶]을 표현한 거에요. 今(이제금)은 음을 나타내죠. 金이 성씨로 사용될 적에는 '성김'이라고 읽어요. 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金屬(금속), 黃金(황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匊(움켜뜰 국)의 합자에요. 국화는 초본과 식물이기에  艹로 뜻[국화]을 표현했고, 匊은 음을 담당해요. 菊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黃菊(황국), 水菊(수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쇠금, 국화국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黃(    ), 水 (    )

 

 

금계국이 꽃을 피우기 전 여기저기 난 금계국들을 다 뽑았어요. 일정 부분에만 남겨 두었죠. 때로 어떤 꽃은 여기저기 흩어져서 함초롬히 꽃을 피우면 예쁘서 그냥 놓아 두는데 이상하게 금계국은 정이 가지 않아서 말이죠. (미안, 금계국) 제가 좀 과민한 것 같죠?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