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경이에요. 민들레와 더불어 생명력이 강한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죠. 질경이의 한자 이름은 車前草(차전초)에요. 수레거(車) 앞

  전(前) 풀초(草), '수레 앞에 있는 풀'이란 의미이죠.

 

  인터넷을 찾아보니 車前草의 유래가 나와 있더군요. 한나라때 마

  무(馬武)라는 장수의 부하들이 굶주림과 풍토병에 걸려 피오줌을

  누고 고생을 하고 있었어요. 말들도 똑같은 증세를 보여, 제 살길

  찾으라고  풀어 줬어요. 그런데 한 이틀 지나자 말들의 병증(病症)

  이 나은 거에요. 신기해서 말들이 무엇을 먹나 살펴 봤더니 바로

  마차앞에 있는 돼지 귀 비슷한 모양의 풀을 먹고 있었던 거에요. 

  하여 이 풀을 달여 병사들에게 먹였더니 병사들의 병도 나았죠. 마

  무는 이 풀의 이름이 없는 것을 알고 무슨 이름을 붙일까 궁리하다

단순하게 수레 앞에 있었다 하여 車前草라고 붙였다고 해요. 그러나 車前草라는 이름에는 단순히 수레 앞에 있었다는 의미만

이 아니라, 수레 바퀴에 끊임없이 짓밟히면서도 다시 소생하는 강인한 풀이란 의미도 은연중 내포돼 있는 것 같아요.

 

질경이, 車前草는 두통과 기관지염 암치료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문제는 요즘 어디나 농약과 매연이 만연해 있어서 온전한 효과가 있겠냐 하는 거지요. 혹, 모르겠네요. 워낙 생명력이 강하니 그조차 정화를 시키는지도. 그래도 함부로 복용하는 것은 삼가해야 할 듯 싶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草는 지난 시간에 다뤘으니 車와 前만 다루면 되겠네요.

 

는 본래 전차를 그린 거에요. 위 아래의 一은 수레 바퀴, 丨은 연결축, 曰은 탑승대를 그린 거지요. 車는 큰 물체 일때는 '차'로 읽고 작은 물체 일때는 '거'로 읽어요. 활용 예로 戰車(전차), 自轉車(자전거)를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止(그칠지)와 舟(배주)의 합자에요. 지금은 모양이 많이 바뀌었죠. 止는 본시 발을 그린 것이에요. 따라서 前은 배에 올라타서 발을 움직이지 않은 채 배가 가는 것에 의지하여 앞으로 나간다란 의미에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가는 것과 같은 형국이지요. 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前後左右(전후좌우), 前進(전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수레거, 앞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戰(     ), (     )進

 

3. 다음 시를 읽고 그 느낌을 말해 보시오.

 

    깎일수록 더욱 뚜렸해지는 바위처럼

    채일수록 더욱 단단해지는 돌맹이처럼

    메마른 길섶에 뿌리 내리고 홀로 서서

    한 생을 마련한 질기고 질긴 생명

    차전초 차전초 그 이름 차전초

    수레나 군마는 아니어도

    발에라도 짓밟혀야 생기가 솟는

    그 이름 질경이 길장구 차전초

    아 아 차전초

    푸르게 굳센 영혼이여 그 이름 차전초

 

    (차전초, 박수진)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