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히 계획한 것은 아니었는데, 어쩌다보니 하루키의 책을 네 권씩이나 연달아 읽게 되었다. 작품도 그렇고 에세이도 그렇고 읽고나서 보니 역시 80-90년대의 글이 거의 전부였다. '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는 2000년대의 글을 모은 것인데, 그래도 그 감성이 꽤 좋았던 것을 보면, 본격적인 60대가 시작되기 전의 하루키의 글은 확실히 지금보다는 더 힘이 좋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색체...'도 그렇고, 요즘에 나오는 하루키의 글, 그러니까 옛날의 글을 다시 편집해서 재출간된 책들 말고, 요즘의 글은 뭔가 많이 힘에 겨운 느낌이다. 마치 조정래 작가의 신간을 보는 듯한 느낌인데, 술술 풀리는 듯한 느낌을 받지 못하고, 아주 힘겹게 이야기를 이어가는 듯한 생각을 떨치기 힘들다. 역시 사람이나 짐승이나, 작가나 무엇이나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좀더 잘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 모양이다. 이 페이퍼를 쓰기 위해 찾아보니 최근에 책이 또 한 권 나온 것 같은데, 신간인지, 복간인지 알 수가 없다. 보지 못했던 제목이라고 해도, 워낙 다양한 에세이를 다양한 이름과 삽화로 버무려서 다시 만들어 내는 출판사의 '되는 상품'을 내놓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세상이라서 쉽게 믿을 수는 없다.
그런데 그의 글이 즐거운 이유가 단순히 젊을 때 '잘'쓴 글이라서만은 아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것은 어떤 감성에 대한 나의 몰입인데, 아마도 아날로그적인 냄새에 푹 잠겨버린 듯한 80년대의 글에서 오는 없었던 과거에 대한 향수가 아닌가 싶다. 83년에 있었던 이런 저런 에피소드를 보면 그의 80년대와 우리의 80년대, 나의 80년대와는 그야말로 하늘과 땅 정도의 거리를 느끼게 되는데, 그런 감성이 우리에게 다가오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표면적으로나마 군사독재도 사라지고, 데모할 힘도 슬슬 빠지기 시작한 시기였을 것이다 (라고 평론가들은 말했다). 뭐 그건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즐기는 그의 감성충만은 역시 80년대의 글이다라는 점은 확실하다 (에서 멈춰야지).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닌데, 4월 중에는 책을 마구 사들이는 바람에 이제 마구 읽어나가지 않으면 좀 미안한 시점이 되었다. 영어도 한국어도 엄청 쟁여버렸는데, 적당히 돈을 모아서 좀 한적한 교외에 작은 ranch를 곁들이 오두막을 구해서 서재를 꾸미고 살았으면 좋겠다. 일은 지금처럼 사무실과 집을 오가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한껏 이용하고, 동물하고 교감하면서 책을 보다가 운동을 하고, 그날의 먹거리를 만드는 여유까지 가는 것이 왜 이리도 어려운 것일까...
주말에는 심야식당의 류처럼 빨간 비엔나 소세지를 다듬어서 문어모양으로 볶은 안주에 맥주라도 마셔야겠다. 일본맥주도 좋고, 아니면 하루키가 가끔 즐긴다는 블루리본이라는 싸구려 미국맥주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