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왕국 일본의 알려지지 않은 진실 만화규장각지식총서 3
이현석 지음 / 부천만화정보센터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누가 뭐라고 해도, 일본은 만화와 게임 및 이들의 파생산업의 왕국이다.  일본의 애니매이션과 게임, 또는 피규어나 장난감과 함께, 가히 일본의 만화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의 위치에 있다고 하겠다.  물론 한국에도 만화가 있고, 미국의 경우도 상당히 유서가 깊고 작품성도 뛰어난 초인만화가 있지만, 만화라면 뭐니뭐니해도 일본이다. 

 

하지만, 모든 것에는 양쪽의 다른 면이 존재하는 법인데, 저자는 특히 일본만화의 이 다른 한 쪽을, 업계의 전반적인 정보와 인터뷰를 통해 조명해준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멀티밀리언셀러들이 물론 다수 존재하고 그들의 부와 명성은 상상을 초월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작가들은 손익분기점의 안팎에서 지분율을 높이고 수입을 올리기 위해 피가 튀는 고생을 하기도 한다.  솔직히 만화가라고 하면, 더구나 상당히 그 시스템이 전문화된 일본이라면, 좀더 편안한 환경에서 작업을 하면서, 적절한 수입을 올릴 것이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그 전문화 때문에 더욱 쉽지 않은 수익모델이 만들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면, 스토리 작가와 작화가의 수입배분, 거기에 출판사의 몫, 그리고 작화가가 스스로 부담하는 잔업작화가 비용을 빼면, 실제로는 평균적인 월급쟁이의 연봉만큼의 수입을 올리기에도 빠듯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일본의 만화산업은 우리가 유추하는 것과는 상당히 다르게도 여전히 비주류의 문화라는 점인데, 그 거대한 마켓과 세계적인 인지도를 생각할 때 조금 의아스럽기도 하다.  아마도 우리나라의 장르소설분야가 받는 문학계의 냉대와 차별을 떠올리면 조금 공감이 가겠지만, 그래도 이런 큰 산업을 '점잖은' 사람의 affair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 평균적인 일본인들의 인식이라는 점은 역시 놀랍기만 하다. 

 

따라서, 저자는 말한다.  일본의 만화업계에 대한 환상을 버리라고.  또한 유학을 통해 막연하게 일본에서 몇 년간 배우고 한국으로 돌아가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란 망상 역시 전혀 근거가 없다고. 

 

매사에 현실적인, 그리고 실질적인 내부의 모습을 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다소 지겹게 느껴지는 부분이 없지 않은 구성이지만, 그래도 한번 정도 읽어 볼 만하다.  참고서로도 유용한 것 같다.  별 것 아닌 지식이나마 이렇게 또 조금 늘어나는 것 역시 이 책이 준 선물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