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이야기 3권을 다 읽은 소감을 남기려고 하는데, 도대체 '남자 냄새가 물씬' 난다는 말, 그리고 '시오노 나나미는 강한 남성에 대한 페티시가 있는 것 같다는' 말 외에 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새 또 detail도 많이 잊어버리고, 무엇보다 책을 읽던 당시에 느낀 여러 포인트들이 하나 둘씩 흩어져 가고 있다.  가급적 책을 읽으면 바로 리뷰를 써야 하는데...

 

'모래그릇'이라는 세이초의 다른 작품을 어제 다 읽었다.  이 또한 빨리 쓰지 않으면 리뷰를 쓸 만한 그 무엇도 남지 않게 될 것 같다.  그런데, 역시 글이 써지지 않는다. 

 

다른 분들의 서재를 돌아다니면서 보게 되는 멋진 후기를 보면, 더더욱 약간은 주눅이 드는 것 같다.  난 왜 저런 글이 안 나오는 것일까? 

 

아직도 나의 책 소화는 그 기술적인 면에서 일단 갓 이유식을 뗀 아기와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견주기는 좋지만 비교해서 자신의 모자란 점에 focus하는 것은 발전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자꾸 다른 이들의 글을 의식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그래도 좀 뻔뻔하게 못쓰는 글이나마 자꾸 써야 연습이 되겠지 하면서 버텨보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건조기후 2012-07-09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리뷰든 좋은 이유를 하나씩은 다 가지고 있는 거 같아요. 배경지식이 풍부한 리뷰는 그것대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좋고 나름의 생각과 감성으로 쓴 글은 그것대로 공감하거나 새로운 시각을 보여줘서 좋고.. 어떤 글은 또 특별한 이유 없이 좋기도 하구요.ㅎㅎ 편안하게 우러나오는 대로 쓰시면 그게 가장 좋은 글이겠죠.. '내'가 쓴 글이니까요 ^^

사실 저도 말은 이렇게 하지만 리뷰는 좀 부담스러워서 페이퍼를 주로 이용합니다 ㅎ 특히 소설 리뷰가 조심스럽고 어렵더라구요.

transient-guest 2012-07-09 00:57   좋아요 0 | URL
분명한 자기만의 스타일을 확립하는 것, 그리고 적절히 내용과 감상을 조화시키는 것, 이 두 가지가 저에게는 화두가 됩니다. 물론 편안하게 나올때 제일 좋은 글이 써지는 건 확실한 것 같구요.ㅋㅋ 쉽지가 않네요 그게.

저는 가급적 비평은 자제하고, 그야말로 리뷰를 통한 남겨두기 정도만 하고 있어요. 함부로 다른 이의 글이 뭐가 좋다 나쁘다를 쓰는게 참 어려운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