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읽기를 권함 - 2004년 2월 이 달의 책 선정 (간행물윤리위원회)
야마무라 오사무 지음, 송태욱 옮김 / 샨티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부터인지 우리 사회에 "독서"가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영어열풍이나 10억모이기 열풍같이 경쟁력 강화와 자기계발을 위한 "독서"가 또는 독서 "방법론"이 유행이다.  이 유행을 따라 사방에서 "독서 선생"이나 "강사"들이 활발하게 활동중이다.  취미로써 시작되고 평생을 가지고 갈 소중한 책읽기가 유행상품으로 격하되는 듯 하여 좀 씁쓸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요즘의 시류와는 반대의 독서를 주창한다.  한 동안 품절되어 살 수 없었는데 지금은 다시 구매가 가능한 듯 하다.  나는 근처의 서점에서 구입하여 읽을 수 있었는데, 온라인 서점에서 품절이 되어도 작은 서점에서 운 좋게 이런 책을 찾으면 그 하루는 마치 보물을 찾은 것 같아 매우 즐겁게 느껴진다.  홈즈를 사러 갔다가 발견하고 얼른 집어온 것이 기억난다. 

책 내내 흐르는 일관된 내용은 "독서란 천천히 읽는 것"이라는 것이다.  "독서라고 하면 우선 통독이다"  야마무리씨에 따르면 읽고 다시 뱉어내는 것은 직업적인 필요에 의한 읽기이며 이는 그가 정의하는 "독서"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  교과서나 매뉴얼을 읽는 것을 독서라고 하지는 않으니 일견 공감이 가는 말이다.   

하지만 "필요가 있어서 책을 읽을 때 나는 그것을 독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속독가이면서 다독가인 다치바나씨의 독서론만큼이나 한 쪽에 치우쳐져 있다는 생각이 들어 깊이 들어오지는 않는다.  나에게 있어 독서란 책을 "읽는" 그 행위 자체로 만족되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지 한 가지로 "독서"란 이런 것이다 라고 정의하는 것을 받아 들이기 힘들다는 것이다.  물론 요즘 유행하는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기" 또는 "책을 완독할 필요가 없다"는 분들의 말에는 절대 공감할 수 없다.  "책 한 권을 끝까지 다 읽는 것이 독서의 즐거움 가운데 하나"이고 책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구잡이로 많이 읽기를 경계하는 야마무리씨지만, 많이 읽는 것이 상식적으로 적게 읽는 것보다는 좋다고 이야기 해주니, 처음보다는 덜 거부감을 느낀다.  물론 이를 10권 대 1000권의 차이 정도를 이야기는 하는 것은 다시 오버스럽지만.  결국 천천히 깊이 음미하면서 많이 읽는 것이 그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독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21세기의 우리에게는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공감과 비공감이 교차함에도 불구하고, 외로운 "독서"행위에 벗할 수 잇는 책이라 생각되니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한 권쯤 소장해 둘 가치가 있을 것이다.  특히 때때로 구하기 어려워 질 수 있는 책이니 더더욱 "득템"에 대한 보람을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 

끝으로 다치바나씨의 책 만큼이나 일본 작가에 의해 쓰여진 데 대한 내용상의 한계는 옥의 티라고 하겠다. 

"눈이 글자를 좇아가다 보면 그에 따라 정경이 나타난다.  눈의 활동이나 이해력의 활동이 다 갖추어진다.  그때는 아마 호흡도 심장박동도 아주 좋을 것이다.  그것이 읽는다는 것이다.  기분 좋게 읽는 리듬을 타고 있을 때, 그 읽기는 사람 심신의 리듬이나 행복감과 호응한다.  독서란 책과 심신의 조화이다.

예전에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2008년 가을에 우연히 구입하게 되었었던 화가 오병욱의 귀농 (까지는 아니고, 낙향하여 미술활동을 하는)이야기 "빨간 양철지붕 아래서"라는 책이 있는데, 토요일 오후의 볕이 따뜻한 Barnes and Nobles 소파에 앉아서 따끈한 커피와 함께 그 자리에서 시간 가는줄 모르고 완독한 기억이 있는데, 이 2-3시간의 느낌이, 책 읽는 내내, 위의 문장에서 묘사한 느낌과 같았다고 생각된다.  마음이 푸근해 지던 그 때의 기억을 찾아 요즘도 좋은 책을 발견하면 서점카페로 달려가서 소파에 파묻히곤 한다면 심한 과장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11-08-06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빨간 양철지붕 이래서"의 저자는 는 화가 오영수가 아니라 화가 오병욱입니다.

transient-guest 2011-08-07 1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