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영희평전>을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리영희 평전 - 시대를 밝힌 '사상의 은사'
김삼웅 지음 /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리영희 선생의 평전을 읽는 것은, 우리의 현대사를 읽는 것과 같다. 리영희 선생의 삶은 분단과 한국전쟁, 4.19 혁명, 5.16 군사쿠데타, 유신독재, 신군부와 광주, 6월 항쟁과 문민정부, 진보 정권, 그리고 이명박 정부까지 한국의 현대사와 오롯이 굴곡을 같이 한다. 리영희 선생은 그 숱한 현대사 굴곡의 최전선에서 가장 필요한 말들을, 그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해왔다. 그러나 이 평전을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깨닫게 된 것이 있다면, 리영희 선생의 말들은 대부분 우리를 향한 것이었지만, 그의 눈은 항상 밖을 향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의 사상은 분단과 독재로 점철된 갇힌 사고에 의해 끊임없는 제약을 받았지만, 그는 그 사고의 틀에 갇히지 않고, 세계사의 넓은 흐름 속에서 사고하려고 애썼다. 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리영희 선생을 '의식화의 원흉'이라고 부르거나, '진보적 지식인, 언론인' 혹은 더 나아가 '사회주의자'로 부르는 것은 오해와 이분법으로 점철된 우리의 현대사를 그대로 평가에 투영하는 것이며, 동시에 그가 지향하는 바를 왜곡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리영희 선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우상을 부수는 것이었다. 그의 저작의 제목 <우상과 이성>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선생은 이성의 힘으로 우상을 부수고자 하였다. 당시의 우리를 둘러싼 많은 우상들, 예를 들어 박정희 독재체제, 반공, 북한이라는 악마, 미국이라는 선, 중국에 대한 편협한 시각, 베트남전쟁의 당위성, 지역주의 등이 그가 원하는 파괴의 대상들 중 일부였다. 그것들이 이성의 힘에 의해 파괴되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바로 그러한 우상들 때문에 우리들 대부분이 올바른 사고를 하지 못하여, 가치관이 왜곡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시에 우리가 올바르게 사고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생존을 위험에 빠뜨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주 단순하게 말해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미국에 대한 의존과 중국을 하찮게 보는 태도는 우리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쳐서 우리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리영희 선생을 사회주의에 경도 되었다거나, 혹은 너무 진보적 관점에서만 세상을 바라보았다고 말하는 것은 한편으로 그간의 진보 보수의 이분법적 프레임에, 즉 다른 말로 하면 이분법의 우상에 사로잡혀 그를 평가하는 것의 다름 아니다. 그의 발언이 그간 진보적 관점에 너무 치우쳤다는 것은 그저 우리 사회에서 그동안 그런 우상들의 힘이 너무 강력했다는 것을 반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 우상들이 얼마나 강력함을 이 짧은 리뷰에 길게 적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사람들이 자주 드나드는 인터넷 게시판에 가서 더도말고 딱 1시간만 '눈팅'을 한다면, (리영희 선생의 많은 노력에도) 그 강력한 힘들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머리 속을 얼마나 휘어잡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관점에서 이 평전의 이러한 진술을 이해할 수 있다.

   
  리영희가 유럽 중세에 태어났으면 이단심문소에 끌려가 화형을 당했을지 모르고, 나치시대에 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살았으면 레지스탕스가 되었을 것이다. 제정러시아나 스탈린 시대 소련의 지식인이었다면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을 터이고, 문화혁명기 중국에 살았다면 하방下放의 표적이 되었을 것이다. 해방정국에서 북한에 머물렀다면 아오지 탄광에 일생을 묻었을 터이고, 조선시대의 선비였다면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려 출척을 당한 끝에 역모의 누명을 뒤집어 쓰고 사약을 받았을 것이다. (p.29)
 
   

그래서 아마도 리영희 선생에 가장 가까이 있는 말로는 휴머니스트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휴머니스트를 여러 결로 정의해 볼 수 있겠지만, 가장 간단하게는 인간의 생존과 삶을 제1의 가치에 두는 사람들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의 정확한 이론적 탐구와 정세분석의 가장 밑바닥에는 우리 민중들의 삶과 생존에 대한 분노와 걱정이 깔려 있다. 안과 밖에서 이중으로 속박당하는 민중의 삶과 생존에 조금이나마 숨통을 틔워주는 것이 그 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하고, 리영희 선생은 글을 쓰고 행동했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그가 가장 존경한 인물 중의 하나였던 루쉰의 삶과도 맥이 닿아 있다. 루쉰은 왼쪽에 있는 자들에게는 너무 오른쪽이라고, 그리고 오른쪽에 있는 자들에게는 너무 왼쪽이라고 공격을 받았지만, 그가 가장 걱정한 것은 이중의 속박에서 고통당하는 중국 민중의 삶과 생존이었다. 그가 존경한 루쉰을 보면, 그의 삶 속에서 결국 가장 가까이에 있었던 것은 휴머니즘이 아니었겠는가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휴머니즘은 인간을 그저 생존시키는 것에 멈추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을 인간다운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다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다운 사고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세에 의한 분단이라는 아픔을 가지고 있는 우리들이, 그 외세에 동참하여 타인에게 같은 아픔을 안겨준 베트남전쟁에 대하여 진정으로 참회하고 반성하는 것, 그것은 리영희 선생이 말하는 인간다운 사고이며, 삶이며, 리영희 선생의 태도이기도 하다.

이 책 <리영희 평전>이 평전으로서의 균형감각을 잃고 있음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나는 그 문제를 지적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균형감각이라는 것을 말하려면, 적어도 그 평균대가 놓여진 평평한 대지를 우리는 상정하여야 할 것이다. 하워드 진의 유명한 말을 다시 한 번 가져와본다면,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 달리는 기차 위에서 억지로 균형을 유지하려고 했다가는, 기필코 넘어지고야 만다. 그리고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까, 넘어질 때는 힘을 더 가진 쪽으로 넘어지게 마련이다. 그리고 우리의 기차는 보통의 기차가 아니다. 이상한 방향으로 달리는, 아주 고르지 못한 땅을 달리는 고속의 기차이다. 그 고속의 기차 위에서 리영희 선생은 어떻게든 모든 핍박받는 자들을 안전하게 기차에 앉히려고 애썼다. 그것은 그 사상적 어린아이들을 어떻게든 부여잡아 다독이는 억센 손이다. 그 억센 손을 세밀하게 묘사할 때도, 균형감각이라는 것을 상정해야 할까. 그러한 무서운 고속의 기차 위의 균형이란 무엇을 위한 균형일까.

그런 리영희 선생은 2010년 12월 5일 타계하셨다. 우리는 최근 연이어 사상의 은사를 잃고 있다. 그러나 꽃은 졌지만 향기는 남는다. 아직도 수많은 우상은 우리곁을 맴돌지만, 선생이 남겨준 우상을 없애는 이성의 무기, 사상의 무기는 여전히 벼려진 채 우리에게 남아있다. 그러므로 그를 추도하고 기억하는 또다른 방법은 그가 남겨준 힘을 이용하여 우리 삶에 아직 남아있는 우상들을 조금씩 밀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우리가 조금씩 더 인간다운 사고를 하게 될 때 우리는 조금씩, 리영희 선생에게 진 빚을 갚아나가게 된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맥거핀 2011-02-28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제목은 예전에 읽었던 김서령 님이 김춘수 선생을 추모한 글의 제목을 조금 가져다 썼습니다.

네오 2011-02-28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상을 부수는 것이었다,,엄청나게 의미심장하게 다가옵니다..

아~ 반자본 발전사전을 서점에 가서 조금 읽어봤습니다..(아직은 사지는 않구여ㅠㅠ) 반드시 읽어봐야 할 책이네여,,좋은 책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맥거핀 2011-02-28 23:16   좋아요 0 | URL
조금 비싼 책이기는 하지만, 비싼 만큼의 값어치를 하는 책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리영희 평전>도 물론이구요.

2011-03-02 2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3-03 17: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반딧불이 2011-03-05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영희 선생의 말들은 대부분 우리를 향한 것이었지만, 그의 눈은 항상 밖을 향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릎을 치게 하는 말씀이세요.

맥거핀 2011-03-06 17:39   좋아요 0 | URL
리영희 선생님은 항상 전체적인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를 생각하셨던 것 같아요. 어쩌면 동시대의 분들 중에서 그런 흐름의 파악이 가장 빨랐던 분이 아닐까?..하고 생각도 해봅니다. 제가 생각했던 리영희 선생님의 모습보다 훨씬 큰 모습이 담겨 있어서 책이 참 좋았어요. 다음 책도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