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프로리그와 라이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이후에 세계를 돌아다니며 알게 됐지.인류의 역사는 끔찍한 실패로 점철되어 있고, 나의 비극은 비극 축에도 들지 못한다는 걸. - P25
수전 손택은 SF가 영화와 만났을 때 "예술의 가장 오래된 주제 가운데 하나인 재난"을 재현하며, 구경거리 위주의 형식을 취하면서 고난과 재난에서 미적인 쾌감을 즐기게 한다고설명한다. 이러한 쾌감은 칸트가 『판단력 비판』에서 설명한 ‘숭고sublime‘, 공포를 야기하는 대상이 위협할 수 없는 거리가 만들어낸 불쾌에서 쾌로 전이하는 감정에서 비롯한다. - P192
목격은 목격한다는 능동성으로 주체의 위치를 차지하고 목격을통과한 재난은 대상으로 재현된다. 이 목격이 종결되거나 그 바깥에서, 재난의 의미도 사라진다.이러한 가장 큰 문제는 목격으로부터 비롯된 재현과 서사의 작동이 재난 그리고 그와 관련한 상처와 고통을 타자화한다는 것이다. - P193
시간이흐르면 어떤 죽음은 투어의 대상이 된다. 여행자는 자유롭게 넘나드는 존재이면서 침범하고 훼손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 P201
안식일이라는 말보다 본질적이면서 중요한 개념은 ‘안식‘ 자체라고 해야 할 것이다. - P14
잠시도 쉬지 않는삶은 나 자신을 착취하는 것이며, 이것은 곧바로 다른 사람에 대한 착취로 이어진다. - P21
안식은 예배하는 날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하지 않는 날에 초점이있다는 것이다. - P26
우상 숭배거부의 초점은 타종교 배격이 아니라, 자기를 위한 신앙, 자기 욕망 충족을 위한신앙에 대한 결연한 배격이다. - P29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생긴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생긴 것이 아니다." - P49
한국교회의 주일관은 노동으로부터의 쉼을 누리는 안식하는 날로서주일, 말 그대로 ‘안식일로서 주일이 아니라 예배와 봉사에 초점을 두는 ‘예배하는 날‘로 이해한다. - P87
안식일의 맥락에서 죄는 노동이 허용된 시간을 넘어서 과도한 생산물을 축적하려는 불신앙이며, 더 많은 소유를 확보하려는 탐욕이며, 나의 이익을 위해 타인의 쉼의 권리를박탈하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은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행위이다. - P105
작가의 인기로 오래된 소설까지 최근작인듯 번역 출간되고있는 상황에 나름 제때 출간된 책이고 흔치않게 코로나 상황이 반영된 작품입니다이야기는 지방도시의 동창회를 앞두고 참석이 예정된 선생님이 집 뒷마당에서 목졸려 죽은 시체로 발견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범인을 밝히기위해 동창들의 알리바이가 조사되고 그들의 이야기가 하나 둘 밝혀지면서 사건은 실마리를 찾아갑니다.이 책에서는 죽은 선생님의 동생인 다케시라는 조금은 신비롭고 매력적인 마술사가 사건의 해결을 주도합니다. 두꺼운 책이지만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소비 패턴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1990년대 간부터 ‘필요‘보다는 ‘가치‘나 ‘이미지‘를 중시하는 소비가 확산되었는데, 그것을 주도한것이 중상위계층이었다. - P12
개신교 인구가 증가하던 시절 탄생한 대형교회는 새신자의 유입이 중요한 변수였지만, 개신교인구 정체/감소 시대에 등장한 대형교회는 수평이동신자의 유입이 더욱 중요한변수가 되었다. - P17
아무튼 후발대형교회에 속하는 교회들도 기본적으로 제도나 담론에서 권위주의적 성격이 강하다. 계몽 군주인지 독재자인지, 부드러운 독재인지 완고한 독재인지만 다를 뿐이다. - P39
요컨대 카리스마적리더십이라는것은 교회의 가용자원에 대한 독점적 지배 능력이다. - P42
제자훈련과 귀족영성이 교회 성장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본을 통한 부대조건들이 결합될 필요가 있었다. - P101
이 퇴행적 소년들의 시대는 그들의 아버지가 겪었던 산업화 시대만큼이나 급격한, 하지만 그 기저에는 성공의 희망보다는 실패의 두려움이 물결치던 시대였다. - P145
진보가 자유주의를 주장할때는 지배체제의 숨 막히는 규율 체계에 대한 해체 담론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 보수는 국가가 일정하게 재분배 정책을 펴는 것에 대한 저항의 기조와 관련이 있다. - P204
세 번의 대분열은 각기 이유도 다르고 양상도 달랐지만, 공통된 것은 한경직이 속한 다수파가 반대파를 배제한 사건이라는 점, 배제된 소수파는 미국장로교회로부터 온 각종기관의 재산권에 대한 접근권에서 멀어졌다는 점이다. - P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