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소매상 유시민 작가가 청년시절에 읽은 책에대한 리뷰와 책에 얽힌 자전적 에세이 입니다. 제목만 듣고 읽지 않은 책, 사 놓고 아직 안읽은 책도 있고 몇 권은 반가운 책도 있습니다. 작가와 마찬가지로 중학생 시절 아버지 책장에서 빼서 읽었던 세로쓰기 ‘죄와벌‘과 ‘삼국지‘ 는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대학시절 읽었던 ‘역사란 무엇인가‘도 역시 기억이 나구요~ 누구에게나 청춘은 있고 그때 읽었던 책들은 기억속에 참 오래가는 것 같습니다.~



만약 개인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어떤 사회적 악덕이 존재한다면, 그러한 사회악은 도대체 왜 생겨났는가?

"아무리 선한 목적도 악한 수단을 정당화 하지는 못한다."

지금 두려움 없이 ‘공산당 선언‘을 읽는 나는 행복하다. 거기에서 진리를 찾을 수 있어서가 아니라, 오류를 담은 책을 마음대로 읽을 자유가 있기 때문이다.

‘인구론‘은 부자와 기득권층에 봉사하는 철학의 출발점과 종착점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그들을 관념적 월북으로 내몬 것은 광주에서 대학살을 저지르고 권력을 움켜쥔 정치군인들, 인권유린과 부정부패를 저지른 독재권력의 압도적인 물리력에 대한 증오감과 좌절감이었다.

슬픔도 노여움도 없이 살아가는 자는 조국을 사랑하고 있지 않다.

인간의 배는 배은망덕한 것이라서, 이전에 배불렀던 것은 금세 잊어버리고, 내일이면 또 시끄럽게 조를 것이 뻔하니까 말이다.

굶주림 앞에서 인간은 나약하고 비열한 짐승이 된다.

베블런에따르면 사람들이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돈으로 다른 사람을 이기려는 경쟁심 때문이다.

생산(Industry)이란 수동적인 물질에서 새로운 목적을 지닌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창의적인 제작자의 노고를 말한다. 반면 공훈(ex-ploit)은, 어떤 사람이 자기에게 유용한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다른 사람이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해 쏟았던 에너지를 자기의 목적에 맞게 전용하는 것이다.

어떤 토지의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그 토지의 위치일 뿐 비옥도가 아니다.

선거가 진실과 진리의 승리를 확인하는 무대가 되는 일이 가끔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선거에서 목격할 수 있는 것은 대중의 욕망을 활용하는 능력을 가진 잘 조직된 기득권의 승리다.

사회 전체가 창출한 지대는 반드시 사회 전체의 것이 되어야 한다.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끝없는 대화"라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름모모 2024-07-05 2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독 자극하게 하는 글귀들~ 잘 읽고 가네요.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