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제 - MEMOIR OF A MURDERER, 2016

  원작 -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 2013’

  감독 - 원신연

  출연 - 설경구, 김남길, 설현, 오달수







  2013년에 나온 김영하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얼마 전에 개봉한 동명의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의 감독판이다. 극장판과 감독판은 포스터가 다르다. 극장판은 주인공이 무표정한 얼굴이지만, 감독판은 주인공이 입 꼬리를 올리며 웃고 있다. 영화를 끝까지 보고나면, 저 미소의 의미를 알 수 있다.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병수’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는다. 우연한 접촉사고로 마주친 ‘태주’를 본 순간, 병수는 깨닫는다. 바로 그가 한창 문제가 되고 있는 연쇄 살인사건의 범인이라는 사실을. 그가 그걸 알 수 있는 건, 17년 전 교통사고가 나기 전까지 병수도 연쇄 살인범이었기 때문이다. 병수는 태주가 살인을 저질렀음을 익명으로 제보하지만, 그가 미처 몰랐던 일이 있었다. 태주가 경찰이라는 것이다. 태주는 병수의 딸 ‘은희’에게 접근하고, 병수는 딸을 지켜야겠다고 다짐한다. 하지만 시도 때도 없이 그의 기억은 오락가락하고, 심지어 무엇이 환상이고 현실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워지는데…….



  처음에는 이 감독판을 볼 생각이 없었다. 그런데 극장판과는 결말이 다르다는 말을 듣고, 그럼 ‘어디 한 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말이 다소 모호하고 어딘지 모르게 영 애매했던 극장판과 달리, 감독판은 그럭저럭 깔끔하게 마무리를 지었다. 마지막 부분을 보면서 문득 외국의 어떤 영화가 떠올랐지만, 그걸 적으면 대놓고 스포일러가 되기에 지워버렸다. 음, 그런데 그걸 안 적으니 할 얘기가 없다.



  감독판은 극장판보다 10여분 정도 더 길다. 그만큼 추가된 장면도 있고, 빠진 부분도 있으며, 아예 달라진 곳도 있었다. 그러면서 영화의 분위기는 확 바뀌었다. 인물의 성격이 더 드러나고, 결말의 반전도 더 극적이었다……라지만 중후반부터 추측 가능했고, 외국 영화가 떠올랐다. 그래도 초반부터 주어진 퍼즐들이 결말부분에서 맞아떨어지는 과정은 마음에 들었다. 극장판과 달리 집중력이 흐트러지지 않았다고 해야 할까?



  극장판보다는 나았지만, 소설에 비교하면 좀 아쉬웠다. 소설의 결말은 심심하면서도 놀라웠는데, 감독판은 놀라우면서 좀 뻔했다. 그 외국 영화……. 그런데 왜 처음부터 감독판으로 극장에서 상영하지 않은 걸까? 사람들로 하여금 두 번 보게 해서 VOD 수입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배급사의 노림수인건가!



  그리고 이건 영화 외적인 부분이긴 한데, 포털 영화 소개에서 보면 극장판과 감독판의 구별이 가지 않는다. 포스터도 둘 다 똑같이 감독판이 올라와있고, 작품 설명도 똑같다. 극의 흐름이나 결말이 다르면, 다른 작품으로 구별해야 하는 거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