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Kvinden i buret, The Keeper of Lost Causes, 2013

  감독 - 미켈 노르가드

  출연 - 니콜라이 리 카스, 파레스 파레스, 쇠렌 필마르크, 미켈 폴스라르







  지원을 기다리자는 동료의 제안도 거절하고 무모하게 범죄 현장 진압하던 ‘칼’. 그는 손을 다치는 부상을 입었지만, 동료는 반신불수가 되는 큰 사고를 당하고 만다. 덕분에 다른 경찰들 사이에서 은근히 외면을 당하고, 상부에서는 강력계대신 새롭게 신설된 미결수사반으로 그를 배치한다. 그리고 그냥 서류 작업이나 하라는 의미로 실전 경험이 전혀 없는, 우편물 담당이었던 ‘아사드’를 파트너로 붙여준다. 그런 칼의 눈에 5년 전에 일어났던 정치인 ‘메레트 린가드’의 자살 사건이 들어온다. 탁월한 미모와 재능을 가진, 한창 떠오르는 신예 정치인이었던 린가드. 장애를 가진 동생과 페리호를 타고 가다 실종되었고, 경찰은 투신자살로 결론지었다. 하지만 시체가 발견되지 않은데다가, 초기 수사에 허점이 있었다는 걸 알아차린 칼은 직접 현장으로 나선다. 그리고 예전 수사팀들이 알아차리지 못했던 사실들을 하나둘씩 찾아내는데…….



  이야기는 칼과 아사드가 수사하는 현재, 5년 전 린가드가 사라지기 며칠 전부터의 일상 그리고 그녀가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교차로 보여준다. 그렇다. 린가드는 5년 전 납치되어 감금상태였다. 두 경찰은 그녀가 죽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누가 왜 그녀를 납치했는지 밝히려고 노력한다. 물론 이미 결론난 일을 왜 끄집어내냐는 상부의 질타와 자신이 마무리한 사건을 왜 다시 들추냐는 동료경찰의 반발은 빠지지 않는다. 영화를 보는 관객은 린가드가 감금되어있는 상황을 보았기에 둘을 징계하겠다는 상관의 말에 화도 나고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하지만 그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독단으로 행동해 동료를 불구로 만들고 좌천당해 조용히 구석에 처박혀있어야 할 사람이 설치고 다니면 화가 날 것 같다.



  초반에는 인물 소개로 진행이 그다지 빠르지 않다. 다소 느슨한 느낌? 하지만 본격적으로 수사에 들어가고, 살아있는 메레트가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조금씩 속도를 붙이기 시작한다.



  그녀가 미치지 않고 살아남으려고 애쓰는 모습에서 무척이나 감명 받았다. 강인한 사람이란 이런 것이라고 보여주는 것 같았다. 갇힌 공간에 불이 들어와 다른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것은 1년에 단 한 번, 매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통과 음식물이 담긴 통만이 쪽문을 통해 교체되고, 공기 압력을 평상시보다 높이 설치한 곳에서 5년을 버티다니……. 제일 압권이었던 부분은 이가 아프다는 그녀의 말에 범인이 뺀치를 던져주고 알아서 하라고 말할 때였다. 고민하던 그녀는 그걸 들고……. 그 장면이 너무 끔찍해서 보다가 멈췄었다. 차라리 살인마가 칼이나 톱을 들고 설치는 장면이 더 나았다. 그건 과장된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보겠는데, 이건 담담하니 너무 현실적이어서 더 와 닿았던 것 같다. 거기다 치과 치료를 받을 때 마취가 덜 된 상태를 경험한 적이 있어서, 그녀의 아픔이 더욱 더 생생하게 느껴졌다.



  범인의 정체를 알고 나서는 좀 멍해졌다. 아, 이건 뭐라고 해야 할까? 가해자는 잊어도 피해자는 잊지 못하는, 결국 남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어야 하는 그런 게 좀 마음이 아팠다.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이 있는데, 그 책 표지에 적힌 말이 바로 사건의 동기였다. ‘내가 고통받은 시간만큼 너도 고통 받아야 해!’ 음, 시간이 되면 책도 읽어봐야겠다.



  첫 이야기라서 그럴까? 과거와 현재를 계속해서 왔다 갔다 하는 진행 때문에 초반에 좀 헷갈리고, 인물 소개 때문에 흐름이 느슨했던 것 빼고는 그럭저럭 괜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