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진처럼 읽기 - 내 몸이 한 권의 책을 통과할 때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 내 몸이 한 권의 책을 통과할 때

    저자 - 정희진

 

 

 

 



 

 

  처음 책을 접했을 때는, 유명 비평가가 쓴 리뷰의 모음이구나 싶었다. 그런데 저자의 약력을 보니 으음? 여성학 연구자? 순간 여기저기서 들은 몇몇 한국형 페미니스트에 대한 이미지가 떠올랐다. 그래서 잠시 책을 들었다 놨다 했다. 하지만 내가 들은 그런 류의 사람이라면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조목조목 짚으면 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모르던 부분을 알 수 있는 기회라는 생각을 했다.

 

  책의 인상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강렬했다.

 

  첫 장을 넘기면서부터 뭔가 심상치 않다는 생각을 했지만, 뒤로 가면 갈수록 짜릿짜릿한 것이 번개를 맞은 것 같기도 하고 누군가가 송곳으로 쿡쿡 찌르는 느낌이 들었다. 아, 어떻게 이 작품을 접하면서 이런 방향으로 발상의 전환을 할 수 있을까? 아니, 여기서 어떻게 그런 생각과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이 책은, 나에게는 거의 낯선 세계와 같았다. 내가 몰랐던, 아니 어쩌면 있는 건 알고 있었지만, 실상에 대해 알고 싶지 않아서 별로 관심도 주지 않았던, 그런 세상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다. 겉으로는 책이나 영화의 리뷰였지만, 그것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 싶었던 사회의 모순적인 부분에 대해 날카롭게 보여주고 있었다. 그건 피상적으로 작품을 겉핥기식으로 접했을 때는 말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사회에 대해 관찰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접합시킬 수 없는 얘기들이었다.

 

  그래서 왜 부제를 ‘내 몸이 한 권의 책을 통과할 때’라고 했는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책을 읽은 후 사고방식이나 인생관이 변화하는 책이 있기 때문이라고 저자를 말한다.

 

  저자가 접한 작품들은 위에서도 말했지만, 내가 거의 읽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세상은 넓고 책도 다양하다지만, 내가 들어보지도 못한 책들이 이렇게 많다니……. 뉴턴이 바닷가에서 노는 어린아이 얘기를 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그건 단지 책의 권수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독서를 해왔는지에 대한 자각이었다. 어쩌면 난 쉬운 책들만 읽으면서, 이만큼 읽었다고 자랑하는 재미로 서평을 써왔던 건 아닐까? 책을 읽고 나서 단지 ‘이건 재미있어, 저건 재미없어.’라는 이분법적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던 건 아닐까?

 

  책을 읽다가도 마지막 장을 덮은 다음에도 한참동안 생각에 잠기기도 하고 멍하니 바깥만 바라보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책에서 손을 놓을 수는 없었다. 다음 장에서는 또 어떤 놀라움과 다른 시각을 보여줄까 기대하는 마음이 더 이상의 충격은 거부한다는 마음을 이겼다고 할 수 있다.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한 작품들을 내가 읽을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내가 알고 싶어 하지 않는 분야에 대한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한번쯤은 읽어보고 싶다.

 

  책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였던 몇몇 문장들을 적어보겠다.

 

  우리를 다른 세계로 인도하는 책은 피사체를 내가 모르는 위치에서 찍은 것이다. 하늘 위에서가 아니라 건물 옆에서, 지하에서, 건물 뒤에서, 아주 멀리서, 혹은 나와 완전히 다른 배역에 있는 사람이 찍은 것이다. 건물 안에서는 건물을 볼 수 없다. 즉 피사체, 문제 대상(사회)을 자신과 동일시하거나 그 안에 있으면 자신을 알 수 없다. -.p.23

 

  남성들에게 집은 쉼터지만 여성에게는 노동의 공간이다. -p.142

 

  이해는 난이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영역이다. (중략) 이해는 사랑과 지식을 아우른다. 사랑은 수용이다. 상대를 수용할 때 이해는 따라온다.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